모두학교는 마을학교인가?
단일화된 학교인가, 네트워크형 학교인가?
- 단일화된 학교 구축은 쉽지 않다. 현재의 소속 단체들이 잘 하는 것을 부각시키자.
- 네트워크 학교의 컨트롤러는 필요한가?
- 마을 공동체를 위해 단일화된 학교가 필요하다.
지속가능한 모델은 무엇인가?
- 지원을 받지 않고 자립하는 것이 가능할까?
- 자립하기 위해서는 전문성도 필요하고, 누군가의 손해(희생?)가 발생한다.
왜 지속해야 할까?
- 왜 하는가와 같은 질문
형식을 가질 것인가, 비형식으로 갈 것인가?
- 형식적으로 간다면 인증제도, 디플로마 형태
- 개별적인 수업형식이 아닌
공동의 작업과 실험,
그 결과물을 지역에서 펼쳐내는
프로젝트형 프로그램으로
마을공동체 형성에 기여한다.
- 세대 간 교류와 협력으로
젊은 세대가 지역의 주인으로
커갈 수 있는 환경을 만들고,
지역에 대안적 청소년,
청년 교육문화를 만들어낸다.
공동
작업과 실험
프로젝트
마을공동체
세대간
교류와 협력
젊은 세대
지역의 주인
대안적 교육문화
마을합창 / 락밴드 / 리코더 합주 / 풍물
라이프코칭 / 마을방송국 / 집 관리 / 마을 역사지도
요리, 식생활 / 시나리오 쓰기 / 소리테라피
긍정적 평가
네트워크 형성, 세대간 교류
부정적 평가
협업, 소통, 홍보의 부족
동천마을네트워크 교육분과 주관
연중 운영
동천동에서 운영중인 프로그램으로 시작
입시 교육 지양
마을공동체 추구
마을사람들이 강사로
슬로우시티
생태마을
관광마을
협동조합마을
문화소비마을
매월 주제를 정하기
음악, 미술, 독서, 스터디, 놀이, 자기계발 등
마을 소개와 연계된 1일 패키지 학교 운영
오전 마을투어 - 점심식사 - 오후 학교체험
우리 마을에서만 경험할 수 있는 것은?
매력적인 먹거리가 더 필요하다.
모두학교 > 동아리 >
새로운 컨텐츠 > 비즈니스 모델
> 창직, 새로운 모두학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