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troducing 

Prezi AI.

Your new presentation assistant.

Refine, enhance, and tailor your content, source relevant images, and edit visuals quicker than ever before.

Loading…
Transcript

색채와 인물화

색채의 인식

1. 가시광선의 영역

2. 흡수, 반사, 굴절을 일으키는 대상의 특징

3. 눈과 뇌의 지각적 요소

4. 심리적 요소

색채

심리

인물화란?

인물화

DAP(Draw A Person)

HFD(Human Figure Drawing)

1

인물화의 역사

1

구디너프 F.Goodenough(1926)가

‘인물화 지능 검사를 발표

(그림의 세부묘사를 기준으로 아동의 지능을 측정함)

카렌 마초버Machover(1949)

『인물 그림에서의 성격 투사』

(그림을 그리는 사람의 성격에 집중, 정서적 요인)

성인용 성격검사 DAP로 확장함

렙 Levy(1952)

『투사검사로서의 그림』

오오토모 시게루(1956)

임상의 연구용으로 활용함.

17개 항목의 성격진단을 위한 분석기준 고안

(인물화 신체부위 특징, 인물의 운동 측면이나 크기 등)

2

검사의 목표

2

성격 및 정서적인 측면

인물상에 담겨진 자아상의 투사,

무의식적인 동기와 욕구의 표현,

개인의 충동, 불안, 갈등, 보상 등

개인적 욕구와 사회에 대한 가치규범에 대한 태도 등

초기에는 아동의 지능검사도구였으나

현재는 성인의 성격, 인성, 전반적 태도

까지 범위가 넓어짐

3

도구 및 실시 방법

3

1. 종이 한장과 연필

"사람을 그리세요"

2. 한장을 그리고 난 후, 그린 사람의 성별을 묻고 반대되는 성별의 사람을 그리도록 함

3. 그림에 대한 표현은 자유, 질문에 대해서

구체적인 대답은 하지 않도록 한다

4. 그림이 완성되고 나면 나이, 성격, 배경

신분등을 질문한다

해석의 목록

1. 그림의 과정

- 그림 그리는 순서

- 그림 그리는 태도

- 지움(수정, 생략)

2. 전체적 인물상

- 인물상의 균형, 대칭 비례

- 나체, 대칭, 균형, 방향등

해석

- 인물상의 크기

- 인물상의 방향

- 인물상의 음영과 미완성된 그림의 형태

- 세부묘사와 같은 내용

기타

그림의 그리는 순서

그림의 순서

인물상

위치적

인물상

성별의 의미

성의 특징적 표현은 성 역할, 적대감, 의존성, 힘의 우위와 성적수준의

미숙함에 의한 고착 등과 성과 관련된 갈등 영역을 확인

성별

형태

작게 표현한 인물은 자신을 작게 느끼거나 열등감을 반영

크게 표현 된 인물은 과대망상과 공격적 성향을 반영함

크기

운동성

방향

음영

정서와 심리

인간의 신체에 대한 묘사

인간의 복장에 대한 묘사

구체적평가

검사에 대한 일반적 지표

정상지표

머리카락

머리의 경우

신체의 핵심 부분. 지능에 대한 관심, 공상 영역 몰두,

합리적인 통제, 개인 상호관계에 대한 관심과 자아개념

마음의 창. 내면의 감정을 드러내는 것.

외부와의 접촉을 형성하는 기관

다른 사람과 의사소통을 위한 중요한 요소.

외부세계의 감각적 자료들을 처리

신체 내부로 향하는 작용과 외부지향적 기능과

관련한 두가지 해석 가능

얼굴

정체성을 보여주는 가장 중요한 신체부위.

세상을 나타내는 전면

성적 관심과 권력 투쟁의 상징

어깨

가슴

생명을 주는 모유,

어머니와 어머니로부터 받는 대상의 상징을 제공. 주는 것보다 받는 것, 의존성과 관련

몸통

신체적 충동의 원천

손가락

환경을 다루기 위한 도구. 사회적 접촉의 장소,

공격 가능성, 의사소통 가능성을 의미

신체

사례

‘욱해서 결혼했다.’면서

결혼을 후회 하는 여성의 그림

그림은 신부로 보이고 표정은 행복 해 보이지 않으며 손을 몸 뒤로 감추고 있다

자신감이 부족한 상태를 의미

손의 생략: ‘내 손으로 어떻게 할 수

가 없다.’라는 자포자기식 심정

사례2

Learn more about creating dynamic, engaging presentations with Prez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