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troducing 

Prezi AI.

Your new presentation assistant.

Refine, enhance, and tailor your content, source relevant images, and edit visuals quicker than ever before.

Loading…
Transcript

한국사 1조

조장:홍진하

조원:김고궁,김혜빈,손정윤

청동기와 철기,

그리고 고조선

청동기 문화의 형성

청동기

  • 기원전 3500년경에 메소포타미아 지역에서 세계최초로 청동기를 사용하는 문명 발생.

  • 농업 생산력 증가→잉여 생산물 증가

청동제 무기사용→정복활동이 활발해짐

▶빈부격차,계급발생

  • 만주와 한반도에서는 언제 청동기 문화가 보급되었을까?

▶B.C.2000~B.C.1500 만주와 한반도에 청동기 보급

청동기의 쓰임

  • 청동기는 어디에 사용되었을까?

▶비파형 동검,거친무늬 거울 등

주로 무기와 제기, 장식품 등에 사용되었다.

  • 나머지 생활용품은 무엇으로 만들었을까?

▶농기구는 주로 석기로 만들었으며

반달돌칼 등 더욱 발전된 석기를 이용해 농사를 지었다.

→why?

청동기가 보편화 되지 않았고 귀했기 때문이다.

Detail 1

청동기시대 생활모습

▶농업:조,피,보리,수수 등 밭농사 중심

▶민무늬 토기에 곡식을 저장

▶강을 끼고있는 낮은 산, 구릉지대에 주거지 형성

▶집터 유적: 배산임수 형태, 마을의 규모↑,집터 모양은 대체로 사각형/원형

→인구증가로 정착생활 규모 확대되었음을 보여준다.

↱산지보다 규모가 작고 대지보다 침식되어 완만한 경사면과 골짜기가 있는 지역

↱산을 등지고 물을 바라보는 지세

Detail 2

청동기 사회 모습

  • 정치권력,경제력에서 우세한 부족→주변정복

▶지배자-군장(족장)

-정치와 제사 모두 주관

-하늘의 자손, 청동 검/청동거울/청동방울 등으로 자신의 권위를 세웠다.

▶지배층의 무덤:고인돌

↱군장이 소유한 부와 권력 짐작가능

  • 바위그림:사냥 및 고기잡이의 성공,풍요기원

ex)울산 울주 대곡리 반구대 바위그림

경북 고령 장기리 바위그림

철기

철기

  • 이 시기를 청동 2기라고도 한다.
  • 만주와 한반도에 철기가 언제 보급되었을까?

▶B.C.500(기원전 5세기경)

  • 어디에서 들어왔을까?

▶북방계통,중국계통

  • 철기는 청동기에 비해 재료를 쉽게 구할 수 있고,단단하고 날카로워 쓰임새가 많았다.

▶철제농기구 사용→농업생산량 크게 증가

→인구증가

▶철제 무기 사용 →부족 간의 전쟁증가

철기 보급 후,청동기는

어떻게 되었을까?

  • 처음에는 청동기&철기 함께사용

→철기 확산

→ 청동기는 주로 제사용 도구로 사용

  • 한반도:청동기 문화가 독자적으로 발전

▶세형동검, 잔무늬 거울 등이 제작되었다.

▶자체 제작이가능해졌다→거푸집 발견

비파형 동검 세형 동검

철기시대 파고들기

철기시대 파고들기

  • 토기

▶민무늬 토기,덧띠 토기,검은 간 토기 등

  • 무덤양식

  • 출토된 유물

▶중국화폐

-명도전,반량전,오수전

→중국과의 교류가 활발하였다.

▶붓(경남 창원 다호리 유적)

→한자의 전래 추정가능

▲독무덤

▲널무덤

고조선 연표

B.C 5세기

:철기 보급

청동2기(철기)

청동1기

고조선

B.C 2000~1500

만주,한반도 청동기 보급

위만 조선

↱B.C 194년

'왕'칭호 사용

↱B.C 4세기

B.C 108멸망

B.C 2333 고조선 성립

B.C 5세기

U

철기 비약적 발전

고조선 성립

  • 청동기가 사용됨에 따라 한반도의

서북부 지방의 부족 사회에서 군장 출현

→ 세력이 강한 군장이 여러 부족 사회 통합

→ 고조선 성립(우리 민족 최초의 국가)

고조선의 역사

  • 삼국유사 "단군은 농경 문화를 바탕으로 고조선을 건국"하였다.

▶삼국유사

+그밖에도 제왕운기,동국여지승람 등에서 단군의 건국에 관한 기록을 살펴 볼 수 있다

고조선 문화범위

고조선

문화범위

  • 탁자식 고인돌 출토범위
  • 비파형 동검 출토범위

고조선 중기

  • B.C 5세기 철기 보급
  • B.C 4세기 '왕'이라고 칭하며 연과 겨룰만큼 강한 나라로 성장

고조선 중기

  • B.C 3세기 연의 침략을 받아 일시적으로 세력 약화

위만 왕조(고조선 후기)

배경

▶중국의 진·한 교체기(B.C.300)에

위만이 중국 연에서 무리를 이끌고 고조선으로 들어왔다.

→철기 유입

▶고조선의 준왕,위만에게 서쪽변경을 수비하라는 임무를 맡김

위만왕조

▶이후 세력을 키운 위만, 준왕을 몰아내고 고조선의 왕이 되었다.

(B.C.194)

특징

철기 비약적 발전

철기문화를 본격적으로 수용

철제무기이용

철제농기구 사용→농업발달

진·한 사이 중계무역을 통해 경제적으로 성장

고조선의 멸망

▶고조선이 강성해지고 흉노와 연결하여 한을 압박

▶한무제, 대군을 보내 고조선을 공격

→패수에서 대승을 거두는 등 1년여 동안 완강히 저항

고조선의 멸망

▶지배층 내분이 일어나 왕검성 함락

▶고조선 멸망(B.C. 108)

고조선의 정치 조직

  • 제정일치 사회
  • 3세기경부터 왕권 세습→ 정치 조직 안정

고조선의 정치 사회모습

  • 풍백·우사·운사(건국 이야기)에 해당하는 관직이 농사,형벌 관리

→국가 발전

왕 밑에 비왕,상,경,대부,대신,장군,박사를 둠

  • 상: 왕 밑에서 국무를 담당하던 직책

▶신분이 높은 귀족이 담당함.

▶왕과 함께 회의 참여

▶직접 다스리는 영역과 주민이 존재

고조선의 사회 모습

  • 8조법: 사회 질서 유지 목적,
  • 현재에는 3가지 조항이 전해짐.

고조선의

사회 모습

① 살인자는 즉시 사형에 처한다

② 남의 신체를 상해한 자는 곡물로써 보상한다

③ 남의 물건을 도둑질한 자는 소유주의 집에 잡혀들어가 노예가 됨이 원칙이나, 자속(배상)하려는 자는 50만 전을 내놓아야 한다十

→계급 사회,개인의 생명과 노동력 중시, 사유 재산의 개념 존재

고조선 멸망이후...

Learn more about creating dynamic, engaging presentations with Prez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