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ranscript
1단계 : 지출관리
1단계
지출관리
- 지출은 통상 세전 소득의 80퍼센트 이하가 적당.
- 가계부로 지출 현황 제대로 파악
- 부부 모두 솔직하게 소득과 지출 공개
- 예산 (지출 계획) 세우고 지키기
- 특히 교육비는 미리 한도를 정하기
- 지출 습관 개선하려면 가족 모두의 협조 필요
- 지출 습관표 및 가족 회의
2단계 : 대출(부채) 관리
2단계
대출(부채)관리
- 매월 총 대출상환금은 통상 세전 소득의 25% 미만이 적당
- 연체 방지가 무엇보다 중요
- 대출 상환 표 정리하고 챙기기
- 대출 상환 먼저, 지출은 나중에
- 부족한 생활비는 마이너스 통장 보다 “비상예비자금” 계좌로 마련 하기
- 여윳돈 생길 때마다 주택 담보 대출 원금부터 갚아 이자부담 줄이기!
3단계 : 보험 점검
3단계
보험 점검
- 월 총 보험료는 통상 세전소득의 8~10%
- 가입된 보험 점검 및 필요 없는 보험료 줄이기
- 불필요한 보험과 특약 해지
- 보험금 축소 (감액, 감액완납제도)
- 보험 기간 단축 (연장정기보험제도)
- 3~5년 단위의 지속적 보험 관리
4단계 : 노후준비
4단계
노후 준비
- 필요한 노후소득을 바탕으로 노후 준비를 위한 월 저축 금액 산정
- 저축 국민연금 내 연금 (http://csa.nps.or.kr)
- 퇴직금 및 현재 저축액 산정.
- 국민연금을 꾸준히 납부 하는 것이 중요
- 전업주부 임의 가입
- 반환 일시금 반납, 보험료 추후납부, 미납금 납부 등을 통한 연금 증액
- 연금보험, 연금저축 (펀드, 신탁, 보험) 등 활용 가능
- 지속적 체력 관리 및 자기 계발
5단계 : 목돈 마련
5단계
목돈 마련
- 1~4 단계를 거친 후 남은 돈은 목돈마련을 위하여 저축!
- 적금, 펀드, 저축성보험 활용하기 : 저축의 목적과 상품의 특징에 따라 적절한 금융상품 선택
- 적금 : 금융사별로 금리를 비교
- 펀드 : 투자 전략이 각기 다른 펀드의 수액 식 분산투자가 필수
- 주식 : 성장성 있는 회사의 주식을 구매 및 장기 보유 (관리는 필요)
6단계 자기 관리
- 평생 현역
- 경제적 자유
- 자신만의 경쟁력 확보
- 정식적 자유
- 마음의 평안
6단계
자기관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