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troducing 

Prezi AI.

Your new presentation assistant.

Refine, enhance, and tailor your content, source relevant images, and edit visuals quicker than ever before.

Loading…
Transcript

제 4부

제 7장 제품관리 : 제품의 개념 & 관리

01 제품의 개념과 분류

01

제품의 개념과 분류

기업은 어떠한 관점에서 제품을 보아야 하는가?

마케터는 보다 많은 마케팅기회를 포착하기 위해서 소비자의 관점에서 제품을 정의하고, 제품을 단순히 물리적 요소들의 집합이상의 것으로 광의의 정의를 내릴 필요가 있다.

확장제품

유형제품

신용

제공

판매 후

서비스

브랜드명

제품속성

핵심제품

다차원적 제품정의

핵심고객가치

배달

디자인

품질수준

패키징

설치

보증

제품을 분류하는 방식은 제품의 특성에 따라 다양하지만, 좋은 제품분류가 이루어지기 위한 기본요건은 분류된 제품들로부터 유용한 마케팅전략이 도출될 수 있어야 한다는 점이다. 제품은 크게 소비재와 산업재로 분류.

소비재 최종소비자가 소비를 목적으로 구매하는 제품인 데 반해, 산업재는 기업이 제품이나 서비를 생산하는 데 투입하기 위해 구매하는 제품이다.

(1) 소비재의 분류

소비재를 분류하는 여러 방법들 중 쇼핑습관에 따른 소비재 분류방식이 널리 받아 들여지고 있다.

- 편의품이란 자주 구매되고 소비자가 제품구매에 최소한의 시간과 노력을 투입하는 제품을 말한다.

편의품에는 비누, 치약, 샴푸 등 일상생활 용품이 포함된다.

- 선매품은 고객이 구매하기 전에 전 몇 개의 점포들을 방문하여 브랜드대안들의 가격, 품질, 스타일 등을 비교한 후 구매하는 제품이다.

-전문품은 브랜드마다 독특한 차별적 특성을 가지고 있고 소비자가 브랜드 간의 차이를 쉽게 식별할 수 있으며 대체재가 별로 없는 제품이다.

(2) 산업재의 분류

산업재는 제품 서비스 또는 서비스를 생산하기 위해 또는 업무를 수행하기 위하여 구매되는 제품이다.

-원자재와 부품은 제조업자의 제품생산에 완전히 투입되는 제품이며, 다시 원료, 가공재와 부품으로 세분될 수 있다.

-자본재는 완제품생산에 부분적으로 투입되는 제품으로, 기자재와 설비로 다시 나누어진다.

-소모품과 서비스는 최종 제품생산에 투입되지 않는 제품으로 운활유, 타이프용지, 필기구, 페인트,못 등의 업무 및 유지보수에 필요한 소모품은, 유지, 보수서비스, 경영자문 등의 서비스 등이 포함된다.

제품의 분류와 마케팅 전략적 시사점

개별제품관리

제품에 대한 의사결정은 세 가지 수준에서 이루어지는데, 개별제품에 대한 의사결정, 제품라인에 대한 의사결정 그리고 제품믹스에 대한 의사결정이 그것이다.

02

개별제품관리

03

제품라인관리

04

제품믹스관리

05

서비스마케팅

Learn more about creating dynamic, engaging presentations with Prez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