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troducing
Your new presentation assistant.
Refine, enhance, and tailor your content, source relevant images, and edit visuals quicker than ever before.
Trending searches
Presented by KKY
in KNU
무인결제시스템
무인상권가로 변하다
무인시스템 중에서 기술적으로, 사회적으로 제일 많은 변화를 겪게 될 분야일 것이라고 예상이 되며 자본주의 사회에서 재화, 서비스 이용에 대한 대가 지불, 사람 또는 법인(회사) 간의 거래는 매우 중요한 요소이다. 그러므로 다가올 미래에 결제시스템이 어떻게 변화하며 그것에 대한 대비를 미리 해야한다는 것에 의미를 두고자 했다.
'불편한 소통' '편한 단절'
무인(Ummaned), 셀프(Self), 자동화(Autonomous) 방식과비대면이라는 공통분모를 가진 서비스들의 통합개념
장단점
대면에 대한 피로감이 없어짐, 쉽고 빠르게 소비 가능
일자리 감소, 기술에 익숙하지 않은 소비자를 소외시킴
마케팅의 목적
서비스의 프리미엄화
오늘날 서비스는 제품을 둘러싼 모든 것, 즉 제품과 연결되고 융합된 것으로서 제품 차별과 마케팅의 주요 전략이 되고 있다.
시장 분석가들에 따르면 사업 모델은 소비자들의 시간분석을 효율화하고 수치화가 어려운 감성적 만족도를 조사해 효과적으로 서비스의 퀄리티를 올릴 수 있을 것이라고 의견을 냈다
정원에 있는 파빌리언(pavilion) 을 뜻하는 단어
현대에 와서 작은 가게, 독립된 단말기를 가리킨다.
식품업계(프랜차이즈)매장은 속속 무인시스템을 도입하여 주문 형태를 바꾸고 있으며, 업체는 소비자들의 빅데이터를 활용해 취향에 맞는 음식을 추천해주기도 한다.
도입된 키오스크는 ‘단말기 무인 자동 배출형’과 ‘문자 전송형’ 두 가지 방식으로 운영된다. 또 단말기에 따라한국어와 영어, 중국어, 일본어의 4개 국어 서비스와 메뉴 이미지를 화상 지원한다.
개발 비용이 상대적으로 저렴하고 기계에 접촉하는 방식으로 인식률이 높아 가장 많이 활용되고 있죠. 스마트폰에서도 가장 먼저 지문 인식 방식이 채택될 정도로 활용도가 높다.
사람마다 고유한 특성을 가진 안구의 홍채 패턴을 이용한 기술인데요. 검은 동공과 흰자위 사이에 있는 도넛 모양의 띠가 바로 홍채입니다. 홍채 인식은 정확성, 안정성, 사용 편리성, 처리 속도 면에서 가장 진일보한 생체 인식 기술로 평가받고 있습니다.
홍채인식은 카메라를 2초 정도만 바라보는 것만으로 인식할 수 있어 매우 편리하고 정확하다.
각기 다른 화각(렌즈가 볼 수 있는 각도)을 가진 두 개의 카메라를 통해 들어온 데이터를 통합해서 3D 디지털 이미지를 만든 후, 각 사람을 자동으로 식별하는 컴퓨터 응용 프로그램을 말한다. 쉽게 말해서, 컴퓨터가 사람의 얼굴을 인식해 컴퓨터 안에 저장된 데이터와 대조하면서 그에 맞는 얼굴을 찾는 것이다. 측정한 3D 데이터는 데이터베이스로 구축해 다양한 분야에 활용할 수 있다.
정맥 인식 기술은 손바닥, 손등, 손목에 있는 정맥 형태를 인식하는 기술이다. 적외선과 필터를 사용해 혈관을 투시한 후 잔영을 이용해 정보를 추출한다. 혈관의 모양을 인식하는 시스템이기 때문에 복제가 거의 불가능하다는 장점이 있어서 금융업계 등에서 보안이 중요한 곳에서 실용화하고 있다.
ALL-IN-ONE 카드
국내 최초의 범용 올인원 카드인 KT 클립카드는 신용카드와 동일한 모양과 크기에 신용/직불카드 10장, 멤버십 카드 10장, 교통카드 1장 총 21장의 카드를 담을 수 있다. 두 개의 버튼으로 사용할 카드를 선택할 수 있고, 전자잉크 디스플레이를 통해 사용하는 카드와 관련된 정보를 확인할 수 있다.
기존 간편결제 서비스와는 달리 모바일 앱을 통해 한 번 카드를 등록한 후에는 스마트폰 없이 클립카드 만으로 이용할 수 있으며, 결제 시 앱을 실행하는 등의 번거로운 절차가 필요없다. 또한 별도의 디지털 디바이스이기 때문에 간편결제처럼 통신사나 운영체제, 특정 단말 등 플랫폼에 따른 제약이 없다.
무인자판기 형식의 편의점
손바닥 정맥으로 결재하는
무인 핸드페이 시스템 편의점
자율주행 카트 '일라이'
결제 기능 탑재해 계산대에서
기다리지 않고 카트서 바로 결제
사람 인식 센서, 음성인식 기능, 상품 무게 인식 센서 탑재
판매인력 ‘제로’… 신용카드 인식-피팅-결제면 ‘끝’
오프라인 차별화·인건비 상승 이슈에 관심 증폭
매장 구축 비용, 일반 매장보다 30% 가량 높아
가장 눈에 띄게 보이는 것은 최저임금 인상, 기술 발전에 따른 소비자 편의성 확대 등의 환경 변화로 인해 유통가에서 무인결제와 간편결제 등 새로운 결제 서비스가 급속히 확산되고 있다.
무인 창업의 증가
계속되는 경제 불황으로 인한 비용 절감과 기술 발전, 운영의 편리성 등 여러 복합적인 요인으로 무인점포를 선호하는 예비 창업주들이 늘어나는 추세다. 특히 1인가구가 주요 소비자층으로 떠오르는 추세라 그들을 겨냥한 맞춤형 창업 아이템이 생겨나고 있다. 음식점 뿐만 아니라 노래방, 카페, 독서실, 셀프 빨래방 등 다양한 업종들이 무인점포를 내걸고 있다.
최저임금 인상에 따라 무인주문기를 도입하는 매장이 늘어나면서 직접적인 수혜를 볼 것으로 전망된다. 실제 이들 기업은 최근 주문량이 늘어나며 실적 성장이 예상되고 있다.
한국거래소에 따르면 한국전자금융과 푸른기술, 엘리비젼의 최근 1개월 주가는 상승 흐름을 나타내고 있다. 특히 푸른기술의 경우 한 달 새 무려 70% 가까이 올랐다.
최저임금 인상이 주가에 긍정적 영향을 미친 것으로 풀이된다. 앞서 최저임금위원회는 지난 7월 내년도 최저임금을 올해보다 10.9% 상향했다. 이후 무인결제시스템 관련 종목들은 대부분 상승세를 타다가 조정을 겪었다. 그중에서 한국전자금융과 푸른기술, 엘리비젼은 꾸준한 오름세를 보이고 있다.
무인단말기가 비장애인을 중심으로 설계되는 것은 자연스러운 현상일 수 있다. 무인단말기에만 국한되는 문제도 아니다. 때문에 '장애인 배려'에 대한 이슈가 생길 때마다 일부에서 "소수 때문에 다수가 불편해지는 건 역차별 아니냐"는 목소리도 들려온다. 그러나 장애인을 위한 시스템을 고려해 설계하는 것과 이런 고민이 전혀 없는 설계는 차원이 다른 문제다.
'역차별'이라는 일부 시선에 대해 '비장애인의 인식을 개선해야 한다'는 주장도 있다. 고등학생 C씨는 "표현은 역차별이지만 '장애인은 당연히 불편을 감수하라'는 뉘앙스로 들릴 때가 많다"고 말했다. 50대 직장인 D씨는 "누구나 장애인이 될 수 있다는 말처럼 후천적 장애를 겪는 사람도 많은데 사람들이 너무 쉽게 생각하는 것 같다"고 아쉬운 마음을 표했다.
무인단말기가 사회 전반으로 확대되는 건 인건비를 절감하기 위해서다. 효율을 높이겠다는 취지지만 정작 '사람'이 피해를 보는 상황이 됐다. 대학원에 재학 중인 20대 남성 E씨는 "개발 비용이 추가로 들어가겠지만 진작 논의돼야 했던 부분"이라며 "매장마다 무인단말기가 여러 대 설치되는데 1대 정도라도 장애인 전용으로 만드는 것도 방법이라고 생각한다"고 주장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