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troducing
Your new presentation assistant.
Refine, enhance, and tailor your content, source relevant images, and edit visuals quicker than ever before.
Trending searches
출처 : https://njp.ggcf.kr/collections
https://terms.naver.com/entry.naver?docId=935274&cid=43667&categoryId=43667
1932년 7월 20일 출생
1947년 이건우와 신재덕을 통해 20세기 신음악에 관심을 가짐
12음 기법을 처음 만든 아르놀트 쇤베르크의 작품 세계에
매료됨
1956년 미학과 졸업 후 서독으로 이주,
철학과에 입학하여 음악학, 미술사 공부
1958년 쾰른 WDR 전자음악연구소에서 음악가로 활동
1960년 텔레비전, 물리, 전자 연구에 몰두하기 시작
1963년 부퍼탈 갤러리 파르나스에서 첫 개인전 《음악의 전시 - 전자 텔레비전》을 열고 <총체 피아노>, <랜덤 액세스>, 실험 텔레비전 등을 전시
1964년 <로봇 K-456> 제작
뉴욕으로 이주
첼리스트이자 전위 음악가인 샬럿 무어먼을 만남
1966년 샬럿 무어먼과 <오페라 섹스트로니크> 공연 중
음란죄로 경찰에 연행되면서 표현의 자유에 대한
사회적 논의를 촉발
1968년 「종이 없는 사회를 위한 확장된 교육」
1970년 「비디오 합성기 플러스」
「글로벌 그루브와 비디오 공동시장」 저술
1974년 「후기 산업 사회를 위한 미디어 계획」 저술
뉴욕에서 《전자예술 IV》를 열고 <TV 바다>를 전시
『열린 회로: 텔레비전의 미래』에 참여
1975년 《비디오 아트》에 참여하여 <TV 정원>을 전시
뉴욕 마사 잭슨 갤러리에서 <물고기 하늘을 날다>와 <TV 물고기>를 전시
1977년 구보타 시게코와 결혼
1978년 《백남준. 비디오 정원》 전시 진행
1980년 《레이저 비디오》 전시 진행
1982년 회고전 《백남준》을 개최
<실제 물고기/생방송 물고기>와 <TV 시계> 등을 전시
전시 기간 중에 미술관 앞에서 <로봇 K-456>의 교통사고를 연출
《백남준, 삼색 비디오》 전시 진행
1984년 1월 1일에 첫 번째 위성 프로젝트 <굿모닝 미스터 오웰>을 전 세계에 생중계
1986년 10월 5일 두 번째 위성 프로젝트 <바이바이 키플링>을 생중계
1988년 과천 국립현대미술관 개관 기념 <다다익선>을 설치
9월 11일 세 번째 위성 프로젝트 <세계와 손잡고>를 생방송
1991-92년 《백남준: 비디오 때 비디오 땅》을 개최
1993년 제45회 베니스 비엔날레 독일관 작가로 참여하여 선보인
《전자 초고속도로: 베니스에서 울란바토르까지》로 황금사자상을 수상
1996년에 뇌졸중으로 쓰러짐
<달에 사는 토끼>를 제작
1999년 <삼원소>를 제작
2000년 《백남준의 세계》를 열고 레이저 작품 <삼원소>와 <동시 변조>를 전시
2002년 서울시립미술관에 <서울 랩소디>를 설치뉴욕에서는 《트랜스미션》을 개최하고 레이저 공연
2004년 베를린 도이체 구겐하임 미술관에서
《백남준: 글로벌 그루브》를 개최
2006년 1월 29일 마이애미 자택에서 타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