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troducing 

Prezi AI.

Your new presentation assistant.

Refine, enhance, and tailor your content, source relevant images, and edit visuals quicker than ever before.

Loading…
Transcript

내 자녀 영어공부 어떻게 해야 할까?

김정렬 (한국교원대학교)

2015 교육과정

2015교육과정

5차 교육과정

7차교육과정

개요

2009교육과정

6차 교육과정

미래 사회가 요구하는 창의·융합형 인재를 양성할 수 있는 교육과정

Goal

성격

성격

가.국가 수준의 공통성과 지역, 학교, 개인 수준의 다양성을 동시에 추구하는 교육과정이다.

나. 학습자의 자율성과 창의성을 신장하기 위한 학생 중심의 교육과정이다.

다. 학교와 교육청, 지역사회, 교원・학생・학부모가 함께 실현해 가는 교육과정이다.

라. 학교 교육 체제를 교육과정 중심으로 구현하기 위한 교육과정이다.

마. 학교 교육의 질적 수준을 관리하고 개선하기 위한 교육과정이다.

영어교과 역량

Detail

  • 영어 의사소통 역량

  • 자기관리 역량

  • 공동체 역량

  • 지식정보처리 역량

목표

목표와 내용

  • 첫째, 영어로 듣기, 말하기, 읽기, 쓰기 능력을 습득하여 기초적인 의사소통능력을 기른다

  • 둘째, 평생교육으로서의 영어에 대한 흥미와 동기 및 자신감을 유지하도록 한다.

  • 셋째, 국제 사회 문화 이해, 다문화 이해, 국제 사회 이해 능력과 포용적인 태도를 기른다.

  • 넷째, 영어 정보 문해력 등을 포함하여 정보의 진위 및 가치 판단 능력을 기른다.

초등학교

가. 영어 학습에 대한 흥미와 자신감을 기른다.

나. 자기 주변의 일상생활 주제에 관하여 영어로 기초적인 의사소통을 할 수 있다.

다. 영어 학습을 통해 외국의 문화를 이해한다.

초등학교

듣기 말하기

내용 1

읽기 쓰기

내용 II

중학교

중학교

가. 영어 학습에 대한 흥미와 관심을 가지고 일상적인 영어 사용에 자신감을 가진다.

나. 친숙한 일상생활 주제에 관하여 영어로 기본적인 의사소통을 할 수 있다.

다. 외국의 문화와 정보를 이해하고 우리 문화를 영어로 간단히 소개할 수 있다.

듣기 말하기

내용 I

읽기 쓰기

내용 II

고등학교

가. 영어 학습에 대한 지속적인 학습 동기를 가지고 영어 사용 능력을 신장시킨다.

나. 친숙한 일반적인 주제에 관하여 목적과 상황에 맞게 영어로 의사소통을 할 수 있다.

다. 영어로 된 다양한 정보를 이해하고, 진로에 따라 필요한 영어 사용 능력을 기른다.

라. 우리 문화와 외국 문화에 대해 관심과 올바른 이해를 바탕으로 각 문화의 고유성을 존중하는 태도를 기른다.

고등학교

듣기 말하기

내용 I

읽기 쓰기

내용 II

방법

방법

방법

초등학교

• 노래, 찬트를 통해 • 강세, 리듬, 억양을 자연스럽게 익힐 수 있도록 지도

• 다양한 멀티미디어 자료를 활용하여 자연스럽고 흥미로운 학습

• 흥미와 자신감을 부여할 수 있도록 듣고 지시대로 행동하기, 듣고 이해한 것을 얼굴 표정, 자세, 동작 등을 이용하여 표현할 수 있도록 지도

방법

• 리듬, 강세, 억양, 어구나 문장의 연음, 축약 등을 인식하도록 지도

• 상황, 문맥, 배경지식 등을 활용하여 의미를 파악하도록 지도

• 다양한 방법으로 실시함으로써 학습 참여에 대한 동기를 유발

• 세부 정보 찾기, 빈칸 채우기, 잘못된 정보 알아내기, 그림 배열하기 등과 같은 다양한 기법을 통해 학습자들의 적극적인 수업 참여를 유도

중학교

방법

고등학교

• 대화의 세부 정보, 중심 내용, 맥락을 이해하도록 지도

• 의사소통 전략을 적절히 활용하여 상황을 이해하고, 자기 주도적 학습이 이루어지도록 지도

• 실제적인 의사소통능력을 신장할 수 있도록 말하기, 읽기, 쓰기 기능과 연계하여 지도

• 문맥을 통하여 낱말의 의미와 글의 내용을 유추하도록 지도

평가

평가

평가

• 낱말, 어구, 문장의 이해 여부는 질문에 대한 대답 및 그림, 동작 등 언어 이외의 방법으로도 표현하게 하여 확인

• 간단한 설명을 듣고 이해 여부를 그림으로 나타내기, 불충분한 그림 완성하기, 빠진 그림 그려 넣기, 목표 지점에 표시하기 등의 다양한 방법으로 평가

• 말하기 능력을 평가하고자 할 때는 가급적 수행평가를 실시

• 교수・학습 과정 중에 적절한 형성평가를 활용

초등학교

평가

중학교

• 평가의 목적과 학습자의 수준에 따라 사실적 이해, 추론적 이해의 문항 비중을 적절히 조절

• 원어민과 같은 발음보다는 이해 가능한(intelligible) 발음인지를 평가하는 기준을 적용

• 학습자 수준과 과업에 따라 유창성과 정확성을 추구하는 채점 기준을 적용

• 어휘 평가는 맥락 속에서 단어의 의미를 파악하는 능력을 중심으로 평가

• 지필평가, 포트폴리오, 수행평가 등을 포함한 다양한 방법으로 쓰기 능력을 평가

평가

고등학교

• 평가의 목적에 따라 독백, 대화, 담화 등 다양한 형태의 입력 언어를 사용

• 사실적 이해, 추론적 이해, 종합적 이해 문항의 비중을 적절히 조절

• 읽기 평가에서 문법 사항을 직접 측정하는 문항은 지양

• 내용, 정확성, 적절성, 글의 조직, 과업 완성도, 기술적인 사항(철자, 구두점) 등의 요소 중에서 선택하여 등급을 나누는 분석적 채점이나, 전반적인 인상에 대해 등급을 나누는 총괄적 채점을 활용

Learn more about creating dynamic, engaging presentations with Prez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