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troducing
Your new presentation assistant.
Refine, enhance, and tailor your content, source relevant images, and edit visuals quicker than ever before.
Trending searches
1. 절대주의
2. 상대주의
3. 회의주의
<자기 이익>과 <도덕>이 충돌?
이런 생각은 ‘자아’에 대한 잘못된 이해에서 비롯
= 영혼(이성, 기개, 욕망)의 최적 상태
= 이성이 기개의 도움을 받아 욕망을 잘 통제하는 상태
= 도덕적 상태
1. 지행합일의 도덕관이 갖는 문제
다이어트에 실패하는 이유는 제대로 몰라서?
but...
다른 능력(공감, 절제 등)도 필요
3. 이성에 의한 욕망의 통제
<-- 사이코패스도 가능
2. 이성 중심의 도덕관
--> 억압 기제로 작용
금욕적, 자기부정의 도덕
(프로이트)
<시계태엽장치 오렌지(A Clockwork Orange)>
알렉스의 도덕적 행위가 도덕적이지 않은 이유
<하이눈(high noon)>의 보안관 윌 케인
인간의
도덕적 행위를 가치 있는 것으로
만들기 위해
'인간의 행복'이나 '인간의 본질'에 특별한 의미를 부여하거나,
'인간의 이성 능력'을 특별한 것으로 만드는 전략
우리의
"실천 이성"
옳은 행동이란
이 이성의 명령에 따를 때
인간의 가장 심오한 가치가 실현
1. 그의 독특한 (실천)이성관에 기초
2. 플라톤만큼이나 감정에 억압을 행하는
자기 부정적 도덕론
이익 독식
죄수의 딜레마가 주는 경고
법을 지키기로 한 약속을
지킨다 안 지킨다
나만 엄청 손해
손해 약간 만회
손해 약간 만회
이익 배분
나만 엄청 손해
이익 배분
나
타인
이익 독식
지킨다
안
지킨다
비도덕적이 되려는
죄수의 딜레마 상황을
어떻게 통제할 것인가?
+ 시민의식(시민의 감시와 참여)?
+ 철저한 도덕교육? 회초리?
이미 어그러져 있는 상황에서는?
연대를 해체하려는 온갖 방해를 뚫고
민주적 연대를 유지하면서
어떻게 결집된 힘을 만들어낼 것인가?
해결해야 할 문제:
죄수의 딜레마 상황
고통 없이 해방
팃포탯(Tit for tat) 전략
비협조적이었으면 협조하지 않음으로써 보복한다
여전히 죄수의 딜레마 상황
나선다 안 나선다
모진 고난 후 해방
억압 속 안전
억압 속 안전
해결 방안은?
어떻게 연대할 것인가?
그것도 민주적으로.
상당한 고난 후 해방
모진 고난 후 해방
상당한 고난 후 해방
나
타인
고통 없이 해방
나선다
안
나선다
다양성을 인정하는 민주적 연대를 유지하면서는 결집된 힘을 만들기도 어렵고,
결집된 힘을 만들기 위해 비민주적 독재와 술수를 용인하면 결국 그 힘이 또 다른 반지를 만드는 것으로 귀결
그래서 여전히 플라톤적, 칸트적 이성이 필요한지도.
그런 점에서 한국의 민주주의는 기적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