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차시
고지자기의 활용
[지과Ⅰ01-02] 지질 시대 전체에 걸친 대륙 분포의 변화와 현재 대륙 이동 속도 자료를 통해 미래의 변화를 추정할 수 있다.
부제 : 대륙은 언제 움직였나? 어떻게 알지?
고지자기 기술 발달이
대륙이동의 확실한 증거를 제공
고지자기
고지자기와 잔류자화
암석은 형성될 당시의 자극의 위치를 기억
과거 지질시대에 암석이 생성될 시기에
지구자기장의 방향에 따라 형성된, 암석에 있는 영구적인 자기.
고지기기
잔류자화
해령에서
화성암속
자철석
(자성광물)
580℃ 이하의 온도에서 외부 자기장이 없을 때의 불규칙한 영구 자화
580℃ 이상의 온도에서 원자 진동에 의해 나타나는 불규칙한 방향성
580℃ 이하의 온도에서 외부 자기장이 있을 때의 규칙적인 영구 자화
< 현재의 강한 쌍극 자기장 >
< 역전된 강한 쌍극 자기장 >
: 자침이 수평면과 이루는 각
복각(magnetic dip)
- 자기 적도에서 0°,
자북극에서 +90°,
자남극에서 -90°
고지자기 복각은 위도에 의해서만 결정
고지자기극의 이동경로가 왜 대륙이동의 증거인가?
고지자기극의 이동경로가 왜 대륙이동의 증거인가?
1. 고지자기극 위치 변화: 어느 지각에서 측정한 고지자기극의 위치가 달라지는 이유는 실제 고지자기극의 위치가 변화하였거나, 또는 지각의 위치가 변화한 것 중 하나임
2. 정자극기와 역자극기를 고려하여 현재의 유럽과 북아메리카 지각에서 측정한 고지자기극의 각 시기별 평균적인 위치는 서로 일치하지 않음
3. 같은 시기에 지자기 북극의 이동 경로가 서로 다르게 나타남->같은 시기에 지자기의 이동이 다르게 나타날 수 없으므로 두 지각에서 측정한 고지자기극이 일치하도록 지각의 위치를 조정하면 과거 대륙의 분포를 복원할 수 있음
지질 시대 동안 인도 대륙의 위치는 어떻게 변했을까?
해보기
탐구
1. 과거 대륙의 변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