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ading…
Transcript

표현

부산과학기술대학교

공현준

표현의 한계

표현은 과연 치료적으로 도움이 되는가?

의미

표현이 도움되는 대상

표현을 하지 못했던 사람

대상

말을 많이 하거나 험한 말을 쉽게 하는 사람

일방적으로 말하는 사람

의사소통유형

행동화

직접적인 행동으로

마음이 분출되는 현상

표현

실패

상담현장에서 행동화는 저항행동

예술치료에서는 치료적행동

현장에서 보는 행동화

예시

  • 도화지에 그림을 그리다가 마음에 안 든다고 연필을 집어 던진다
  • 도화지를 구겨 버리고 찢는다
  • 찰흙으로 어떤 형상을 만들다가 원하는 대로 되지 않는다고 뭉개 버린다
  • 집어던지기도 한다
  • 그림을 그렸는데, 함부로 휘갈긴 모습니다
  • 자기 마음을 표현하느라 닥치는대로 그렸다고 한다
  • 그림이 어떻게 보일지에 대해서는 일부러 신경 쓰지 않았다고 한다
  • 완성 후에 '그림은 선생님 가지세요'라고 말하는데

소중한 것을 준다는 느낌이라기 보다는 방치적 느낌을 준다.

표현인가? 행동화인가?

  • 조절할 수 있는가?
  • 미술작품이 유지가 되는가?
  • 충동성이 조절되는가?

경계선

행동화를 이해

내담자의 행동을 버텨주며

내담자의 행동화를 버텨나갈 힘을 제공

내용이 없는 경우

내용

빈약

예시들

  • 무엇을 그려야 할지 아무런 생각이 없다
  • 간신히 단순한 대상 1~2개만 그렸다
  • 그림을 조금 그리다가 이내 글씨를 쓰기 시작한다
  • 그림에 대해 물어보면 '그냥 그렸어요'정도로 대답 내용이 단순하다

예시

내용이 빈약한 이유

1. 생각이나 감정을 느낄 정신 과정이 빈약할 경우

2. 정신 과정은 유지되나, 정서가 메말라서 이미지가 나오지 않는 경우

3. 이미지는 충분하지만 그림을 그리기에는 당장에는 부족한 경우

이유

표현을 도와주기

도움

기본 전제

사람들의 표현 방식이 무엇이든 그것을 따라가면서 힘을 실어준다

1. 기다려준다

2. 치료자의 확신을 투명하게 전달한다

3. 그래도 안되는 경우

- 이미지 만드는 방법을 전환한다

- 재료를 바꿔본다

- 이미지가 안나오면 감각 수준으로 내려간다

방법

이해하기

이해

이해의 순서

1. 이미지의 대표적인 부분을 생각하기

2. 작품에 표현 된 내용을 살펴보기

3. 작품 완성의 과정을 기억하기

시선

역동적 접근의 미술치료

역동적?

사람의 마음속, 심리 내적인 힘들이 서로 경쟁하며 힘겨루기를 하고 있다는 입장

표현된 것들은 그 나름대로의 의미를 지니고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역동적

주제의 중요성

마음은 패스트푸드가 아니기에 한순간에 알 수는 없다.

더 깊은 이야기를 위해서는 시간이 요구된다.

또한 방어는 해체가 아닌 이해의 대상이며, 중요한 이해의 촉진제로서 사용할 수 있다.

모든 이야기는 맥락적인 접근이 중요하다.

주제

변화에 주목하라

그림에서 나타나는 과정과 왜곡에 주목하라

과장과 왜곡은 이해와 공감을 해주는 모성적인 방식과 직면을 통해 진행하는 부성적인 측면이 있다.

변화

반복에 주목하라

표현자는 자신이 반복한다는 것을 인지하지 못한다

내면적 기제가 드러나는 것으로 내면의 허전함을 드러내는 중요한 구조이다.

반복되는 것은 평가보다는 이해받기를 요구한다.

표현을 공감하기

공감

정서적 공감 : 느낌

인지적 공감 : 마음 읽기

지각적 공감 : 추측, 가정없이 보기

운동 공감 : 동작과 제스처를 따라가기

버텨주는 힘

때가 되면 투명하게 열어서 함께 보는 힘

투사

투사적 동일시

투사는 대인관계상에서의 요소를 내포하고 있다

동일시가 일어나면 투사하는 사람은 자기 내면의 환상에 맞춰

행동하는 것을 합리화할 수 있다.

실제 동일시의 대상은 내담자가 소화하지 못해서 제대로 다루지도

처리하지도, 생각하지도 못하는 것을 의미한다.

상담자는 마음에 어떤 느낌을 불러일으키게 되고

부인된 어떤 부분들을 내담자 대신에 내담자를 향해 느끼는 것