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troducing
Your new presentation assistant.
Refine, enhance, and tailor your content, source relevant images, and edit visuals quicker than ever before.
Trending searches
제6기 5차 확대운영위원회
■ 2019년 5대 목표
■ 2019년 평가
■ 2020년 계획
2019년 총 슬로건
노동조합 역량강화와 준비된 투쟁으로 조합원의 사회ㆍ정치ㆍ경제적 지위 향상
미조직 역량강화로 3만조합원 달성하고 모든 투쟁에 주인으로 참가하는 조합원
민주노총 민주일반연맹
공공연대노동조합
2019년 5대 목표
간부역량강화, 투쟁역량강화, 본조사업역량 강화로 힘있는 노동조합 건설
철저하게 준비된 투쟁으로 조합원의 사회정치경제적 지위 향상
3만 조합원 달성으로 산별연맹급 노동조합 건설
노동자의 시각으로 세상을 보게 하는 조합원 교육실현
조합원이 주인으로 참가하는 연대와 정치 및 통일사업
7월 공공부문 총파업투쟁
- 7,000여명 투표참여
- 2,500여명 현장투쟁
도로공사 요금수납원 직접고용투쟁
- 1억5천만원 조합원 모금
- 5,000명 공통투쟁
정규직전환 / 차별 투쟁 강력 전개
- ‘제대로 된 정규직전환’
- ‘직종별 차별없는 처우개선 투쟁’
직접고용 달성
- 국립대병원 직접고용 쟁취
- 고용노동부 콜센터 민간위탁 정규직전환
대정부/대국회 투쟁
- 국회토론회, 기자회견, 부처면담
- 공무직법 제정, 공무직위원회 설치 임박
해고투쟁 전부 승리
- 벡스코, 계룡시, 울산관제센터 등
노조 재정 안정화
- 조합비 정상화 시행 후 재정안정 정착
Click to edit text
년도별 2015년 대비 증가율(%)
간부 수 4년간 2배 증가
간부역량강화
평 가
-재정안정화 완료-490개 중 461개 사업장 조합비 완전 정상화(94%)
지회
사업장 수 1년간 2.3배 증가
4/10
3/27
6/11
6/3~
2/28
4/26~30
5/7
6/20~
6/27
조합원 확대
평 가
-지부간부의 책임사업장 수 과다
-지회ㆍ분회간부 교육미흡으로 교섭 및 투쟁을 중앙에 의존
-중앙ㆍ지부간부는 실무대응에 몰려 노조중심 교육, 홍보 체계확보 어려움
조합원 수
평 가
- 투쟁을 통해 문재인정부의 자회사 정책이 반노동정책임을 확인
- 톨게이트 투쟁은 비정규직 투쟁의 중심이며, 타 비정규직의 희망
- 톨게이트 투쟁은 투쟁의 전 과정에서 모범을 보임
평 가
-2019년 전략사업인 장애활동, 보육 등의 구체적 성과 부족
-기존 공공기관(용역)+지자체(기간제)에서부터
중앙행정. 공공기관, 국도시비 등 직종구성 다변화
-다수 직종/부처가 전국회의나 전국투쟁 진행중
* 생활체육은 소리소문 없이 조합원 증가, 4차례의 전국투쟁 성사
문체부 총파업찬반투표
전국 공동조정신청 기자회견
연맹상집
총파업결의
민주노총 공공파업위 결성 기자회견
노동법개악저지 전국노동자대회
국립대병원
천막농성
쟁의찬반투표기자회견
총파업찬반
투표진행
중앙행정기관 공무직
처우개선 청와대 농성
7/3
총파업
결의대회
교섭ㆍ투쟁
예산
4/3~5
3/7
4/16
5/11
5/1
6/10~
6/25
6/19
정책 역량
과 제
-수입/지출의 중장기적 재정혁신
-2020년 약 60억에 이르는 1년 조합비에 대한 활용방안을 고민
-중앙/지부/지회 조합비 사용에 대한 정형 마련추진
-각 지부/지회재정 실태조사(잔액상황 등), 및 효율적 재정운용 토론 필요
-조합원이 피부로 느낄수 있는 투쟁, 기획사업, 교육을 위한 준칙 마련
연맹총파업투본전환
중앙위 총파업결의
조정중지
민주노총 공공부문
비정규노동자 결의대회
5/1절 투쟁
2101명 참가
노동법개악저지 국회앞 집중투쟁
국립대병원
공동농성투쟁
연맹총파업
결의대회
사업장
7/3 총파업 지부별 참가현황
교육ㆍ홍보
수입 지출
46.3억 45.9억
수입 지출
32.1억 32.0억
과 제
-19년 미조직사업 예산 2억원 책정했으나, 사업집행 미미
-20년에는 실질적인 성과를 가져와야 한다.
7/3 총파업 지부별 참가인원
평 가
-문체부, 고용노동부와 아이돌보미, 일부 지자체 위주의 참석
-서경/전남/고용노동부 제외 대부분의 지부 참가부족
-5/1 중앙행정기관, 아돌, 생체가 각각 사전대회 진행
-7/3 아돌, 문체부, 고용노동부(중앙행정기관) 사전대회 진행
-사업장 별 요구에 기초한 다발적 흐름이 총파업대회 집중에 기여했는가
평 가
-문체부, 고용노동부와 아이돌보미, 일부 지자체 위주 참석
-서경/전남/고용노동부 제외 대부분의 지부에서 참가부족
-5/1 중앙행정기관, 아돌, 생체가 각각 사전대회 진행
-7/3 아돌, 문체부, 고용노동부(중앙행정기관) 사전대회 진행
-사업장 별 요구에 기초한 다발적 흐름이 대회 집중에 기여했는가.
미조직 사업
과 제
-총파업이 연례행사가 아닌 비정규직 철폐의 실제성과로 연결되어야
-정규직전환과 직종별 처우개선 투쟁 의제가 조합원들과 공유 필요
-투쟁현장의 불필요한 이탈ㆍ조귀 귀가 등 투쟁규율의 문제
과 제
-중앙ㆍ지부ㆍ지회 간 소통필요
-현행 교육 및 홍보 성과 및 한계, 향후 과제 도출 필요
-각 사업장별 조합원 전체와 간담회 필요
과 제
- 해고자 전원 직접고용 쟁취해야 함
- 복귀 후 직무 및 임금 투쟁진행
- 직고용 이후 현장 조합원 확대로 다수노조인 한국노총 돌파
- 업무배치와 직무, 임금에 대한 소송을 준비/진행
- 공공연대노조 영업소지회 재정비, 간부 충원
재정 안정화
과 제
-총파업이 연례행사가 아닌 비정규직 철폐의 성과로의 연결 과제
-정규직전환과 직종별 처우개선 투쟁 의제가 조합원들과 공유 필요
-투쟁현장의 불필요한 이탈ㆍ조귀 귀가 등 투쟁규율의 문제
2019년
2018년
조합원
2020년 계획
6기의 마지막 해
단일건설노조 준비
정규직전환 목표:
-> 실질적 처우개선
노동조합 역량강화와
준비된 투쟁으로
조합원의 삶과 지위 향상
간부역량 강화에 기반한
미조직사업 활성화로
3만 조합원 달성
목표1: 차별철폐! 처우개선 집중투쟁으로
조합원의 정치ㆍ사회ㆍ경제적 지위 향상
목표2: 3만 조합원 달성으로
비정규직 대표노조 지위 확고
목표3: 간부역량강화, 투쟁역량강화로
힘있는 노동조합 건설
목표4: 단일노조 건설 및 총선승리를 위한
공동투쟁 강화
법률국
1. 자문상담
2. 권리구제
3. 노동관계법령 교육
4. 교섭 등 지원
정책국
1.정책실무력 강화
2. 정책연구사업
3. 조합원 확대 복무
4. 정기국회 및 예산대응
5. 총선 대응
1. 조합원 확대사업
2. 조직강화사업
3. 교섭 및 투쟁사업
4. 생활체육지도자
5. 경남지역 사업계획
6. 인천지역 사업계획
총무국
1. 사무국장단 회의 정례화 및 강화
2. 조합비 및 조합원 관리 정상화
3. 노조내 데이터 체계적 관리
4. 지부단위 월 보고 체계 강화
5. 지회,분회 사무국 간부 역량강화
아이돌봄 분과
1. 근로시간면제 국회 토론회 진행
2. 직접일자리사업 제외에 따른
정규직화 추진
3. 아이돌보미 처우개선 총선공약
4. 아이돌봄지원법 개정안 대응
5. 아이돌봄 소송 대응
6. 조직확대 및 분과,지회,분회 체계 확립
보육교직원노조
1. 방향
2. 상/하반기 계획
공무직분과
1. 공무직법안 쟁취
2. 산업안전
3. 조합원 교육강화
발전분과
1. 주, 객관적 상황
2. 사업 목표
3. 일정 및 추진 계획
정치통일위원회
1. 정치교육사업 프로그램 개발
2. 총선승리를 위한 1인 5투표
3. 연2회 수련회 개최와
정치위원회 회의 정례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