북유럽: 일조량 확보
차별이나 구속이 있는 지역: 민족 및 종교간 갈등 해소와 평화, 정치적 안정
복지국가 선진국: 소득불평등 해결, 여가시간과 문화생활 향유를 통한 국민 삶의 질 향상
건조기후지역: 생존에 필요한 물 확보
가난한 지역: 물질적 안정, 빈곤탈출, 의료혜택
선사시대
물질적 궁핍 해소 -> 생존
철학적 성찰 -> 지혜, 덕
고대그리스시대
전쟁 혼란 탈피 -> 평안
헬레니즘시대
신의 은총 -> 구원
서양중세시대
물질적 풍요
산업화시대
현대사회
주관적 만족감
일제식민지
주권탈환 -> 독립
보편적 행복: 의식주에 대한 기본적 욕구충족. 신체 및 정신적 건강.
+주거, 소득, 고용, 수명 등과 같은 객관적 기준 제시.
시대 및 지역을 뛰어넘는 인간의 공통된 행복기준이 있음(UN이 발표한 행복지수
강녕
부
유호덕
수
고종명
유교: 하늘로부터 부여받은 도덕적 본성을 보존하고 함양하면서 다른사람과 더불어 살아가며 덕, 인을 실현하는 것
불교: 청정한 불성을 바탕으로 '나'라는 의식을 벗어버리기 위한 수행과 고통받는 중생을 구제하는 실천 -> 해탈의 경지인 열반에 이르는 것
+ 연기설: 모든 현상에는 원인과 조건이 있고, 서로 연결
도교
정약용: 열복(사회적 성공) / 청복(맑고 청아한 행복)
삶의 궁극적 목적은 행복, 최고선인 행복은 덕을 따르는 정신의 활동
인간의 세 기능: 생명, 감각과 운동, 정신의 이성적 활동
행복은 인간만이 가진 이성적 기능을 잘 발휘하여 사려깊은 사람이 될 때 이루어짐
일생을 통해 한결같이 이성을 잘 발휘하게 하는 성품(중용의 덕)이 필요
전쟁과 사회적 혼란에 따른 불안에서 벗어난 상태
에피쿠로스학파: 육체에 고통이 없고 마음에 불안이 없는 평온한 삶인 아타락시아 상태
스토아학파: 정년에 방해받지 않는 초연한 태도로 자연의 질서에 따라 사는 아파테이아 상태
유한한 인간이 참된 행복에 도달하려면 신앙필수
완전한 존재인 신과 하나가 되어야 함
칸트: 인간으로서 마땅히 지켜야 할 도덕법칙을 실천하는사람은 행복을 누릴 자격이 있음
벤담: 최대다수의 최대행복, 행복은 쾌락이며 삶의 목적
나의 행복 기준은 무엇인지 성찰해 볼까?
행복의 조건
개인적, 사회적 측면의 고려
물질적, 정신적 가치의 조화
의미있는 목표의 설정과 추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