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ading…
Transcript

창의적 공학설계

-종이다리 만들기

한명없조(6조)

정아현

이민형

봉가현

목차

목차

1. 창의적 공학 설계

1.1 팀소개

1.2 문제정의

1.3 아이디어 창출

1.4 아이디어 평가와 판정

1.5 아이디어 실행

1.6 특허조사

1.7 설계구성요소와 현실적 제한조건 검토

1.8 제작

2. 결론 및 설계후기

창의적 공학설계

창의적 공학설계

팀소개

이민형(서기)

  • 임무 보고서 요약
  • 요약 문서를 팀원들에게 배포함.
  • 회의록을 작성함.

한명없조(6조)

정아현(팀장)

  • 팀의 책임자
  • 과업 성공을 위해 필요한 활동을 수행함.
  • 팀의 모든 일을 총괄함.

봉가현(촉진자)

  • 팀에 부과된 일에 대한 팀의 집중을 유지시킴.
  • 팀원이 제시한 의견이 침해되지 않도록 노력함.

문제정의

<문제정의>

어떻게 하면 종이다리가 14kg의 무게를 버텨낼 수 있을까?

  • 어떤 종이로 다리를 만들 것인가
  • 어떤 형태로 종이다리를 만들 것인가
  • 어떤 접착제를 사용할 것인가
  • 종이의 강도를 높이기 위한 방법은 무엇인가

<문제 정의문 다시 작성하기>

바꾸어 말하기

→ 14kg의 무게를 버틸 수 있는

종이다리를 만든다.

1.

정반대로 정의하기

→ 종이가 14kg의 무게를 버틸

수 있는가

2.

초점을 넓혀라

→ 실제로 사람이 버틸 수

있는 종이다리

3.

초점의 방향 전환

→ 종이가 아닌 다른 재질로 이루어

진 다리가 14kg의 무게를 버틸

수 있을까?

4.

아이디어 창출

Brainstorming

<어떤 종이로 다리를 만들 것인가>

  • 스케치북 사용하기
  • 잡지 종이 이용하기
  • 셀로판지 사용하기
  • 교과서 표지 사용하기
  • 닥나무 종이 이용하기
  • 안 읽는 책의 두꺼운 종이 사용하기
  • 화선지로 만들기
  • 휴지심을 모아서 만들기
  • 포스터 종이 사용하기
  • 종이컵을 모아서 만들기
  • 우드락 사용하기
  • 종이 쇼핑백 재활용하기
  • 화장품 포장 상자 이용하기
  • 일회용 종이 접시 이용하기
  • 달력 이용하기
  • 문제집 종이 이용하기
  • 여러 종류의 종이를 합쳐서 사용하기
  • 휴지 사용하기
  • 신문지로 만들기
  • A4용지로 만들기
  • 우유팩 종이 사용하기
  • 라이싱지 사용하기
  • 하드보드지 사용하기
  • 로얄지로 만들기
  • 골판지 사용하기
  • 아트지 사용하기
  • 모조지 사용하기
  • 스노우지 사용하기
  • 대형 종이상자 이용하기
  • 한지로 만들기
  • 포장지 사용하기
  • 색종이 사용하기
  • 창호지 이용하기

Brainstorming

<어떤 형태로 종이다리를 만들 것인가>

  • 판형교로 만든다.
  • 강상자형교로 만든다.
  • 강상자판형교로 만든다.
  • PSC Box교로 만든다.
  • PC Girder교로 만든다.
  • 연속교로 만든다.
  • 게르버교로 만든다.
  • 위에서 언급한 구조 중 여러개를 혼합하여 만든다.
  • 다리 구조물 속에 빛이 통과해야 하므로 다리 속을 채우지 않고 비운다.
  • 다리 속을 비우되, 보강재를 넣어 튼튼하게 한다.
  • 아치형교로 만든다.
  • 고정되어 있는 고정교로 만든다.
  • 이동할 수 있는 가동교로 만든다.
  • 고정교인 이차교로 만든다.
  • 고정교인 사장교로 만든다.
  • 고정교인 캔틸레보교로 만든다.
  • 고정교인 현수교로 만든다.
  • 고정교인 형교로 만든다.
  • 가동교인 도개교로 만든다.
  • 가동교인 승개교로 만든다.
  • 가동교인 선개교로 만든다.
  • 단순교로 만든다.
  • 트러스교로 만든다.
  • 라멘교로 만든다.
  • 거더교로 만든다.
  • T형교로 만든다.
  • 보강재를 가로로 쌓는다.
  • 보강재를 세로로 쌓는다.
  • 위, 아래에서 다리를 받치는 구조로 만든다.
  • 다리 속으로 빛이 통과해야 하므로 보강재로 다리 속을 꽉 채우지 않는다.
  • 다리 바깥쪽에 지지역할을 해주는 보강재를 놓는다.
  • 보강재를 전체적으로 배치한다.
  • 보강재를 질서정연한 구조로 넣는다.
  • 보강재는 무게가 있는 물체르 매달 부분에 중점적으로 넣는다.

Brainstorming

<어떤 접착제를 사용할 것인가>

  • 딱풀 사용하기
  • 목공풀 사용하기
  • 우드락 본드 사용하기
  • 물풀 사용하기
  • PVC 본드 사용하기
  • 수지 접착제 사용하기
  • 무수지 접착제 사용하기
  • 타일 접착제 사용하기
  • ABS 접착제 사용하기
  • 고무 풀 사용하기
  • 글루건 사용하기
  • 밀가루 풀 사용하기
  • EVA 접착제 사용하기
  • 합성 고무 접착제 사용하기
  • 에폭시 접착제 사용하기

Brainstorming

<종이의 강도를 높이기 위한 방법은 무엇인가>

  • 글루건으로 종이 칠하기
  • 다리 내부에
  • 접합부분을 종이로 감싸기
  • 페인트 칠하기
  • 니스칠하기
  • 종이 코팅하기
  • 물풀 종이에 바르기
  • 신문지를 물에 적셔 단단하게 하기
  • 종이를 여러 번 접어보기
  • 종이를 여러 개 겹치기
  • 한지에 풀 먹이기
  • 다리 내부에 보강재 넣기
  • 다리 바깥쪽에 보강재 붙이기
  • 신문지로 보강재 만들기
  • 골판지로 보강재 만들기
  • A4용지로 보강재 만들기
  • 한지로 보강재 만들기
  • 도화지로 보강재 만들기

아이디어 평가와 판정

<아이디어 평가>

(아이디어 중 실현가능성이 있는 것 4개씩 선정)

<종이>

<형태>

강도 무게

안정성 실현가능성 무게

// /

/

우유팩

트러스교

아치형교

/

///// /

라이싱지

판형교

/

/// /

하드보드지

단순교

/// //// //

A4

////

<아이디어 평가>

<접착제>

<강도>

접근성 접착력

무게 강도

// ////

보강재

//// ////

목공풀

// //

페인트칠

///

글루건

니스칠

딱풀

//

////

/ /

종이코팅

물풀

/

<아이디어 판정>

판정결과에 따라서,

다리의 소재는 라이싱지, 연결 접착제는 목공용 풀을 사용하고, 다리 모양은 단순교의 형태로 제작한다. 또한 보강재를 추가하여 무게를 지탱하는 강도를 높인다.

창의적 공학설계

창의적 공학설계

아이디어 실행

<제작과정>

*가격-라이싱지(2900원), 골판지(1000원),

목공용 풀(구매하지 않고 있던 재료를 활용함)

1.

라이싱지를 300mmX250mm,

300mmX230mm로 각각 2개씩 자른다.

(250mm는 상,하단 230mm는 측면)

측면이 될 라이싱지의 가운데 부분에 삼각형 구멍을 만든다.

(다리의 무게를 줄이기 위해서)

2.

<제작과정>

골판지를 10mmX23mm로 12개 자른다. (다리의 강도를 보강하기 위해)

3.

골판지를 23mm로 길게 3개 정도를 잘라 말아준 후 접착제로 고정한다.(다리내부의 지지대 역할)

4.

<제작과정>

3.

다리 하단에 골판지 기둥과 라이싱지 측면을 붙인다.

다리 상단을 부착해 고정시켜 완성한다.

4.

<내부 구조 스케치>

특허조사

<특허조사>

출처 : http://kpat.kipris.or.kr/kpat/biblioa.do?method=biblioFrame

설계구성요소 및 현실적 제한조건

설계구성요소

<설계구성요소>

  • 목표설정 - 종이와 접착제만을 사용하여 14kg을 버틸 수 있는 경량의 종이다리 제작
  • 합성 - 사용할 종이의 종류, 다리 구조의 형태, 접착제의 종류, 단단하면서 가볍 게 제작하는 방법 등 다양한 관점에서 종이다리 설계방법 제시
  • 분석 - 신선하고 개방적인 창의적 아이디어를 발상해 냄
  • 제작 - 폐지를 사용하진 않았지만 조원들의 협업으로 종이다리 제작이 가능했음
  • 평가 - 종이다리는 14kg의 무게를 잘 버티고 상당히 가볍다고 생각됨

현실적 제한조건

<현실적 제한조건>

  • 경제성 - 다리를 제작하는데 사용한 총 액수는 3900원으로 저렴하다.
  • 윤리 - 조원들끼리 상의하여 보강재와 종이다리의 무게를 줄일 방법, 14kg의 중량을 잘 버틸 수 있을 방법을 독창적으로 생각해냈다.
  • 미관 - 다리의 실용성뿐만 아니라 남은 골판지를 활용해 겉을 장식함으로써 심미적 가치를 높였다.
  • 평가 - 시제품은 14kg의 무게를 충분히 버틴다. 또한 다리의 겉면을 대칭적인 역삼각형 모양으로 구멍을 내어 다리의 무게를 최대한 줄여 가벼우면서 단단하게 제작하였다.
  • 환경 - 폐지를 사용하지는 않았지만 사용하고 남은 라이싱지는 과방에 보관하여 후배에게 물려주기로 하였다.
  • 산업표준 - 주어진 조건인 25mm*25mm*300mm에 맞게 다리를 제작하였다.

설계후기

<후기>

종이로 다리를 제작하는 것은 가능하다고 생각했다. 그러나 종이와 접착제만을 이용하여 만든 다리가 과연 14kg을 버틸 수 있을까? 하는 의문이 생겼고, 이 궁금증을 최대한 가능한 방향으로 해결하기 위해 조원들과 종이의 종류, 접착제의 종류, 구조, 강도를 높이는 방법 등에 관한 창의적인 아이디어를 창출하였다. 이 과정에서 가장 실현 가능하고 실용적인 몇 가지 항목들을 선택하고 직접 제작하여 실험함으로써 초기의 궁금증을 해결할 수 있었다. 처음에는 어떻게 해야 저렇게나 무거운 물체를 올려도 다리가 붕괴되지 않을까하는 염려가 컸지만, 조원들과의 충분한 회의를 통해 막연함을 점차 실현가능함으로 바꾸어 나갔다. 이 과정에서 많은 사람들과 아이디어를 공유하고 적절한 아이디어를 선정하여 직접 제작·실험하는 대범한 도전정신을 배우고 실천하게 되어 뿌듯했다.

정아현(팀장)-

이민형(서기)-

종이로 만든 다리가 14kg을 버틸 수 있을지 처음에는 의문이었다. 그러나 제작하는 과정에서 흔한 A4 용지가 아닌 다른 종이를 찾으면서 단단한 다리를 만들게 되었고 무게를 견뎌내는 다리를 만들어내 불가능한 일이 아니라는 것을 깨달았다. 색다른 경험이었다.

봉가현(촉진자)-

종이로 만든 다리가 처음에 무게를 견딜 수 있을지 그리고 어떤 구조로 만들어야 더 잘 버틸 수 있을지 걱정을 하며 프로젝트를 시작했다. 하지만 브레인스토밍 과정을 거치고 아이디어 창출과정을 거치면서 다양한 구조설계를 할 수 있다는 사실을 알게 되었고 또한 종이로 만든 다리가 14kg을 버티는게 불가능한 일이 아니라는 것을 알아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