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합리적 경제 활동 정보 제공
사회적 희소 자원의 효율적 분배
- 물건을 사고파는 행위가 이루어지는 장소
- 수요자와 공급자가 만나 거래하는 장소
경쟁 시장에서 수요량과 공급량이 일치할 때
형성되는 균형 가격
수요량 = 공급량 인 점
시장 균형가격 형성
거래 이루어짐
시장이 불완전하거나
재화나 서비스 특성 등으로 인해
자원의 효율적 배분X
시장 지배력 가진 소수 기업들이 담합해
생산량과 가격 조절 가능
어떠한 경제주체에 의해서 생산이 이루어지면
구성원 모두가 소비혜택을 누릴 수 있는 재화 또는 서비스를 말한다
ex) 국방, 치안 , 지상파 TV 방송
-비배제성 : 대가를 지급하지 않은 사람도 소비할 수 있음
=> 아무런 부담 없이 공공재 소비만을 누리려는
'무임승차' 문제가 발생한다.
-비경합성 : 한 사람이 소비한다고 해서 다른 사람이 소비할 수 있는
몫이 줄어들지 않음
한 경제 주체의 행동이 다른 경제 주체에게
의도하지 않는 이익이나 손실을 주고도
그에 대한 대가를 주거나 받지 못함
시장 한계의 사례
시장 경제에 참여하는 사람들 사이에
빈부의 격차가 생김
노동자와 사용자 간의 이익이 충돌하는 경우
노사 간의 갈등이 발생함
일할 능력과 의사가 있음에도
일자리를 갖지 못하는 경우가 발생함
오랜 기간에 걸쳐 물가가 지속적으로 상승하면서
화폐 가치가 하락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