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troducing 

Prezi AI.

Your new presentation assistant.

Refine, enhance, and tailor your content, source relevant images, and edit visuals quicker than ever before.

Loading content…
Transcript

문명의 탄생과 발달

4대 문명

메소포타미아

중국

인도

이집트

기원전 3000년경 전후 ( ➊ 큰 강 ) 유역에서 문명 발생

황하? VS 중국?

문명과 사회변화

북부 산악 지역의 눈 녹은 물은 바빌로니아 평원에 매년 홍수를 가져왔는데, 그 결과 토양은 물기를 머금게 되었고 대단히 비옥한 진흙층이 그 위를 덮게 되었다.

강의 범람에도 불구하고 홍수가 물러간 지 몇 주일 뒤에는 땅이 돌처럼 딱딱하게 굳어졌다. 그러므로 비옥한 토양을 유지하기 위해서는 관개가 필수적이어서, 이 지역에서는 오래 전부터 정교한 댐과 관개용 운하가 지금으로부터 5000년 전에 이미 구축되었다.

순은 왕위에 즉위한 이후 여러 신하들을 전문적인 직분에 따라 임명하였으며 사방의 오랑캐를 정벌하고 회유하여 넓은 강역에까지 통치가 미치게 되었다. 특히 홍수를 다스리기 위해 우를 등용하여 마침내 치수에 성공하였다. 우의 성공적인 치수로 농토가 증대되고 천하의 모든 사람들이 순왕의 뛰어난 인재 등용을 칭송하였다. 순왕은 우를 치하하며 그에게 구슬을 하사하였다. 우의 공로가 뛰어났고, 순의 아들 상균이 왕위에 적합하지 않았기 때문에 순은 재위 22년 만에 우를 하늘에 천거하여 후계자로 삼았다.

작물 생육에 좋은 조건을 만들기 위하여 조직적으로 경지에 물을 대어서 하는 농업.

(2) 사회 변화

① ( ➋ 관개 농업 ): 생산력 증대, 인구 증가

② 청동제 무기 사용: 정복 전쟁 촉진

③ 교통수단 발달: 수레와 배 등 → 교역 증진

④ 문자 발명: ( ➌ 역사 ) 시대 진입

⑤ 사유 재산 제도 성립 → 직업 분화 → 계급 발생 → 국가 출현

메소포타미아 문명

메소포타미아 문명

최초로 문자 사용, 이집트 문명과 중동 문명 등에 영향을 끼침

1) 자연환경

① 티그리스강과 유프라테스 강 사이의 지역에 위치

② 토지 비옥 → 높은 농업 생산력

③ 개방적 지형 → 교역 활발, 잦은 이민족 침입

비옥한 초승달 지대

수메르-아카드-아무르

(2) 수메르인: 인류 최초로 도시 국가 건설, 아카드인에게 정복당함.

(3) 바빌로니아 왕국

① 아무르인이 건설

② ( ➍ 함무라비 )왕: 메소포타미아 전역 통일

③ 『함무라비 법전』: 동해보복법, 엄격한 신분 구조, 부족적 관습에서 벗어난 다수의 합리적 조항 포함

바빌로니아 왕국- 함부라비 법전

동해 보복 = 탈리오 원칙

•1조 - 사람이 타인에게 죄를 돌려 살인죄로 그를 고발하고 그에게 확증하지 못하면, 그에게 죄를 돌린 자(즉 고발자)를 죽인다.

신분에 따른 차등 처벌 적용

•196조 - 평민이 귀족의 눈을 쳐서 빠지게 하였으면, 그의 눈을 뺀다.

•197조 - 평민이 귀족의 뼈를 부러뜨렸으면, 그의 뼈를 부러뜨린다.

•198조 - 귀족이 평민 눈을 쳐서 빠지게 하였거나 평민의 뼈를 부러뜨렸으면, 은 1 미나를 치러야 한다

•199조 - 귀족이 평민의 노예의 눈을 쳐서 빠지게 하였거나 노예의 뼈를 부러뜨렸으면, 그의 값의 1/2을 그 주인에게 물어야 한다.

•200조 - 귀족이 자기와 같은 계급의 사람의 이를 빠뜨렸으면, 그의 이를 빠뜨린다.

•201조 - 귀족이 평민의 이를 빠뜨렸으면, 그는 은 1/3 미나를 물어야 한다.

•202조 - 사람이 자기보다 상급인 사람의 뺨을 때렸으면, 민회에서 소가죽 채찍으로 60번 맞는다.

•203조 - 귀족이 자기와 같은 계급인 귀족의 뺨을 때렸으면, 은 1 미나를 물어야 한

•204조 - 평민이 평민의 뺨을 때렸으면, 은 10 셰켈을 물어야 한다.

•205조 - 노예가 귀족의 뺨을 때렸으면, 그의 귀를 자른다.

메소포타미아 문명

왕은 신의 대리자로서 최고의 사제

(4) 정치: 왕이 최고 제사장이자 전사 → 신권 정치

(5) 문화:

① 태음력, 60진법, 점토판에 쐐기 문자 기록, ( ➎ 지구라트 ) 건설

② 현세적 성격이 강한 다신교, 점성술 발달, 길가메시 서사시

1년 12개월, 1개월 30일로 나누고 3, 4년에 한 번씩 윤달을 둠

천문학 발달 -> 일식·월식 인지

표음 문자로 발전보존력이 높음

수학 발달: 곱하기·나누기, 분수·대분수 사용

1시간을 60분, 1분을 60초, 원의 각도를 360도로 나누었다.

7일을 1주일로 정하고, 1일을 24시간으로 나눈 것도 여기서 유래

현세적 문화, 길가메시 서사시

수메르 도시국가인 우크라의 왕 길가메시가 행한 위대한 공적과 영생의 추구를 주제로 읊은 대서사시.

우르크의 왕이자 영웅인 길가메시가 절친한 친구 엔키두의 죽음을 보고 충격을 받아 영생을 찾아 광야를 헤매다가 우연히 만난 여인의 충고를 듣는 장면

이집트문명

이집트 문명

역사가 헤로도토스

"나일강 유역이 에티오피아에서 운반한 진흙으로 이루어져 있기 때문에 흙을 일구지 않아도 되고 적당한 시기에 씨를 뿌려 거두기만 한다."

1) 자연환경

① 나일강의 주기적인 범람 → 토지 비옥

② 폐쇄적 지형 → 여러 도시 국가를 통합한 (BC 3000년 경) 왕국 출현, 장기간 통일 국가 유지

나일강 상류에 우기가 시작되면 큰 비가 내린다. 7월부터 나일강 하류에 서서히 물이 불어나 10월에 최고조에 달한 후 점차 줄어든다. 그러므로 이집트인은 나일강이 불어나는 정도를 미리 정확하게 파악할 수 있다. 따라서 물이 불었을 때는 피해 있다가 물이 빠지면 돌아온다. 물이 다 빠지면 나일강이 운반해 준 흙위에 씨를 뿌린다.

사막 등 폐쇄적 지형

나일강의 대규모 관개 사업을 위해서는 강력한 공동체가 필요

이집트 문명

(2) 정치: 왕( ➏ 파라오 )는 태양신 ‘라’의 아들로 간주

→ 절대 권력 행사, 신권 정치

죽은 파라오는 미라가 되어 영생한다고 믿음

피라미드는 사후 세계의 파라오의 거주와 통치를 위한 궁전(사후세계)

이집트인들은 몸을 떠난 영혼이 저승 세계의 여러 관문을 통과한 뒤 죽은 자의 신 인 오시리스의 심판을 받는다고 믿었다. 내세에 자리를 얻으려면 현세에서 도덕적인 삶을 살아야 하고, 「사자의 서」라고 불리는 두루마리에 나오는 주문과 특수한 문구를 외워 내세로 가는 여정에 대비해야 했다.

(3) 문화

① 다신교, 영혼 불멸과 사후 세계(미라, 사자의 서, 피라미드)

② 파피루스로 종이 제작, ( ➐ 상형 ) 문자 사용

③ 태양력, 10진법, 천문학, 측량술과 기하학 발달

이집트 문명

인도 문명

인도 문명

기름진 평야지대, 서아시아 일대와 연결

(1) 성립

① 기원전 2500년경 인더스강 상류 펀자브 지방에 드라비다인이 건설

② 하라파, (➊ 모헨조다로 ) 등 계획 도시 건설

③ 청동기와 채도, 문자 사용, 밀과 보리 재배

④ 메소포타미아 지역과 해상 무역에 종사

인도 문명의 쇠퇴와 아리아인들의 등장

(2) 아리아인의 이동

① 기원전 1500년경: 중앙아시아의 아리아인이 펀자브 지방에 정착

② 기원전 1000년경: 갠지스강 유역까지 진출

③ 농업: 철제 농기구와 관개 사업으로 생산력 증대

④ 특징: 가부장적 사회 구성, 소를 신성시함

(3) (➋ 카스트 )제: 정복한 선주민을 지배하기 위한 엄격한 신분제

→ 브라만, 크샤트리아, 바이샤, 수드라 등으로 계급 구분

(4) 브라만교 성립

① 자연현상 신격화, 복잡한 종교 의식 → 특권 유지

② 경전: ​베다​​

카스트제도

중국 문명

중국 신석기 문명

① 기원전 8000~6000년경 황허강 유역에서 시작

② 황허강 일대를 비롯하여 만주 서부, 창장강 유역에도 신석기 문화 발달

③ 채도, 흑도 등 다양한 토기와 도구 사용

① 황허강 중하류의 황토 지대를 중심으로 초기 형태의 국가 등장

② 청동기 사용, 정치 조직 출현

→ 중국 전설상 최초의 왕조인 ( ➌ 하 ) 추정

(확인된) 중국 최초의 왕조, 상

① 은허 유적 → 실재가 확인

② 정치: 신권 정치, 점의 내용을 갑골에 기록( ➍ 갑골문 ) → 한자의 원형

③ 도구: 무기와 제기는 주로 청동, 농기구는 석기와 목재로 제작

④ 특징: 태음력, 순장 풍습

덕으로 통치하다, 주나라

① 기원전 11세기경 상을 무너뜨리고 호경(현재의 시안)에 도읍

② ( ➎ 봉건제 ) 시행: 왕이 제후에게 토지와 백성을 하사

조공과 군사적 의무를 부과

㉠ 주로 왕의 형제나 친척을 제후로 임명하여 혈연관계를 기반으로 함

㉡ 종법과 예법 확립

③ 정치사상: 천명사상과 덕치주의를 내세움

Learn more about creating dynamic, engaging presentations with Prez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