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ading…
Transcript

물 주지 않는

실내정원

해수 담수화

물의 여행

물의 여행

물 모으는 장치

물의 이용

물 부족 현상

해결방법

물을 주지

않아도 되는 실내 정원

물을 주지 않아도 되는 실내 정원 만들기

1. 투명한 플라스틱 컵에 꽃삽으로 거름흙을 1/3​ 정도 넣습니다.

2. 그 위에 식물을 세우고, 식물의 뿌리가 충분히 묻힐 정로 다시 거름흙을 넣습니다.

4. 다른 플라스틱 컵을 3의 플라스틱 컵 위에 거꾸로 올리고, 그 사이를 셀로판테이프로 붙입니다

3. 물이 담긴 분무기로 식물과 거름흙에 물을 뿌립니다.

함께 만든 실내 정원 관찰하기

▣ 투명한 플라스틱 컵 안에서 나타나는 변화를 꾸준히 관찰해 봅시다.

물을 주지 않아도 되는 실내 정원

▣ 물을 계속 주지 않아도 식물이 자라는 까닭을 이야기해 봅시다.

- 뚜껑이 닫혀 있어서 처음에 있던 물이 밖으로 빠져나가지 못해 생명을 유지하는 것 같다

▣ 다음 시간에는 물은 어떻게 이동하는지에 대해을 관찰해 봅니다.

▣ 다음 사진에서 물은 어디에 있나요?

▣ 이 물은 어디에서 왔을까요?

물은 어떻게 여행할까

▣ 물의 순환 과정을 알아보는 실험을 하여 실제 물이 순환하는 모습을 추리할 수 있다.

▣ 물은 이동하거나 상태가 변하면서 끊임없이 순환하고 있음을 설명할 수 있다.

(과 106-109p, 실54-56p)

준비물 : 조각 얼음, 투명한 컵, 지퍼 백 등

물의 여행

방울이의 이동 과정 알아보기

방울이의 이동 과정

방울이의 이동 과정 알아보기

▣ 『과학』 107쪽의 ‘방울이의 여행 이야기’를 읽습니다.

방울이의 이동 과정 알아보기

▣ ‘방울이’를 찾아 방울이가 이동한 과정을 『과학』 106~107쪽 그림에 화살표로 표시해 봅시다.

방울이의 이동 과정 알아보기

▣ 친구들이 표시한 화살표와 비교해 봅시다.

방울이의 이동 과정 알아보기

▣ ‘방울이의 여행 이야기’에서 방울이가 이동한 장소를 찾아서 방울이의 상태가 어떻게 바뀌는지 써 봅시다.

수증기

방울이의 이동 과정 알아보기

▣ 내가 방울이의 친구가 되어 물의 이동 과정을 생각하며 방울이에게 들려줄 여행 이야기를 써 봅시다.

찰랑이의 여행 이야기

안녕? 나 찰랑이야. 난 열매 속에서 한참을 머물렀어. 그러던 어느 날 사람의 입속으로 들어가 가늘고 긴 관을 따라 몸속 구석구석을 탐험하고 나서 몸 밖으로 나왔어. 화장실 변기를 지나 긴 여행을 하는 동안 나는 점점 깨끗해지면서 강으로 이동했어. 강에서 놀고 있는데 온몸이 따뜻해지면서 하늘 위로 올라갔어. 더 높이 올라가니 갑자기 추워지면서 구름이 되었지. 곧 다른 친구들의 손을 잡고 땅으로 내려갈 거야. 그때 너와도 만났으면 좋겠구나.

방울이의 이동 과정 알아보기

▣ ‘방울이의 여행 이야기’를 읽고 물의 이동에는 어떤 특징이 있는지 설명해 볼까요?

☞ 물은 상태가 변하면서 여러 곳을 끊임없이 이동한다.

☞ 물은 이동하면서 상태가 달라지기도 한다.

☞ 물은 여러 곳에서 볼 수 있다.

물의 순환

물의 순환

‘물의 순환’ 용어 의미 알기

▣ 『과학』 106~107쪽에 표시한 방울이의 이동 과정과 『과학』 108쪽의 그림을 비교해 봅시다.

☞ 물은 상태가 변하면서 이동한다.

☞ 두 화살표의 방향이 비슷하다. 둘 다 물이 돌고 도는 느낌이다.

‘물의 순환’ 용어 의미 알기

▣ ‘물의 순환’이란 무엇일까요?

☞ 물의 상태가 변하면서 육지, 바다, 공기 중, 생명체 등 여러 곳을 끊임없이 돌고 도는 과정이다.

▣ 물의 순환 과정을 통하여 알 수 있는 것은 ?

☞ 물은 상태가 변하면서 끊임없이 순환하지만, 지구 전체 물의 양은 변하지 않는다.

물의 순환 과정

물의 순환 과정 알아보기

▣ 물의 순환 실험 장치를 만들기

① 조각 얼음 다섯 개를 투명한 플라스틱 컵에 담습니다.

② 얼음을 넣은 플라스틱 컵을 지퍼 백에 담아 지퍼를 닫습니다.

③ 전자저울로 지퍼 백의 무게를 잽니다.

④ 햇볕이 잘 드는 창문에 지퍼 백을 셀로판테이프로 고정합니다.

♣ 3일 동안 물의 순환 실험 장치에서 어떤 변화가 나타나는지 관찰해 봅시다

물의 순환 과정 알아보기

▣ 3일 동안 물의 순환 실험 장치에서 어떤 변화가 나타나는지 관찰한 내용을 정리해 봅시다.

물의 순환 과정 알아보기

▣ 3일이 지난 뒤 지퍼 백을 떼어 내 전자저울로 무게로 재고 처음 측정한 무게와 비교해 봅시다.

물의 순환 과정 그림으로 그리기

▣ 지퍼 백에서 컵과 물을 빼낸 뒤 물의 순환 과정을 그림으로 나타냅니다.

학습내용 정리

학습 내용 평가

학습 내용 평가

물의 순환

학습 내용 평가

▣ 다음 시간에는 물을 어떻게 이용하는지에 대해 알아봅니다.

▣ 물이 순환하면서 다양하게 이용되는 경우를 찾을 수 있다.

▣ 물이 순환하면서 생활에 다양하게 이용되는 것을 통해 물이 중요한 까닭을 설명할을 수 있다.

물은 어떻게 이용될까요?

(과 110~111p) 실 (57p)

물의 이용

▣ 물을 이용하는 경우를 알아봅시다.

이용한 물이 이동하는 과정

☞ 입으로 마신 물은 몸속을 순환하면서 필요한 영양분을 몸 곳곳에 운반해 주고 노폐물은 땀이나 오줌으로 내보냅니다

☞ 우리 몸 밖으로 빠져나간 물 중 땀으로 나간 것은 수증기가 되고, 오줌으로 나간 것은 하수 처리 시설을 거친 뒤 하천과 강을 지나 바다로 다시 흘러갑니다

다양하게

이용되는 물

다양하게 이용되는 물

▣ 『과학』 110-111쪽의 그림에서 물을 이용하는 경우를 찾아봅시다.

다양한 지형을

관광자원으로 이용

떨어지는 힘을 이용한

수력발전

농작물 키우기

공장에서 물건을 만들 때

물건 씻기, 주변 청소나 설겆이

생명 유지

신선한 보관을 위한

얼음이용

물 역할극 놀이

다양하게 이용되는 물 역할극 놀이

▣ 물을 이용하는 경우 중 한 가지를 정하고, 물의 이동 과정이 나타나도록 모둠별로 역할놀이 계획을 세워 봅시다.

농작물을 키우려고 물을 뿌리는 장면

식물 뿌리로 흡수된 물

농작물에 뿌린 물 →

흙 속의 물 →

→ 식물의 잎에서 공기 중으로 나온 수증기

식물 뿌리로 흡수된 물

(몸을 웅크렸다가 펴며) 갑자기 나를 ‘쑥’ 잡아당기는 느낌이 들어서 눈을 감았다가 떴더니, 식물의 뿌리 속이었어. 식물이 잘 자랄 수 있도록 도와주기 위해 줄기와 잎끝까지 여행해야 겠어. 친구들아! 안녕? 우리 함께 위로 올라가 보자

물의 중요성

▣ 물을 이용하는 경우를 떠올리며 물의 중요성을 설명해 봅시다.

☞ 물은 우리 생활에 다양하게 이용되므로 중요하다.

☞ 물은 식물이나 동물의 몸속을 순환하면서 생명을 유지시킨다.

☞ 빗물은 땅속에 스며들어 나무와 풀을 자라게 한다.

학습내용 정리

학습내용 평가

학습내용 평가

학습내용 평가

▣ 다음 시간에는 물 부족 현상을 어떻게 해결할지에 대하여 알아봅니다.

물 부족현상 해결방법

▣ 물 부족 현상을 해결하기 위한 창의적인 방법을 조사할 수 있다.

▣ 우리 생활에서 물 부족 현상을 해결하기 위해 실천할 수 있는 방법을 토의할 수 있다.

(과 112~113p) 실 (58p)

물 부족현상 해결방법

▣ 우리가 물을 물 쓰듯이 해도 될까요?

물 부족 원인

물 부족 현상의 원인 찾아보기

▣ 112쪽의 ‘나라별 물 부족 현황’을 보고 물이 부족한 곳을 찾아 써 봅시다.

중국, 인도, 우리나라, 아프리카 대륙의 위쪽과 아래쪽에 붉은색이나 노란색으로 색칠된 곳

물 부족 현상의 원인 찾아보기

▣ 113쪽의 방울이가 보내온 엽서를 보고 물이 부족한 까닭을 써 봅시다.

건조 기후로 강수량이 적고 증발량이 많아 이용할 수 있는 물의 양이 부족하다.

물 부족 현상의 원인 찾아보기

▣ 113쪽의 방울이가 보내온 엽서를 보고 물이 부족한 까닭을 써 봅시다.

인구가 계속 증가하여 물 이용량이 늘어나면서 물이 점점 부족해지고 있다.

물 부족 현상의 원인 찾아보기

▣ 113쪽의 방울이가 보내온 엽서를 보고 물이 부족한 까닭을 써 봅시다.

공장이 많아지면서 물 이용량이 늘어나고, 공장에서 나오는 폐수가 물을 오염시켜 깨끗한 물이 줄어들고 있다.

물 부족 현상의 원인 찾아보기

▣ 113쪽의 방울이가 보내온 엽서를 보고 물이 부족한 까닭을 써 봅시다.

물 이용량은 늘어나지만 사람들이 아껴 쓰지 않아서 물이 부족하다.

물부족현상 해결방법

물 부족 현상을 해결할 방법 찾기

▣ 물 부족 현상을 해결할 다양한 방법을 조사하여 모둠 구성원과 토의해 봅시다.

물 부족 현상을 해결할 방법 찾기

▣ 모둠별로 도출된 해결 방안을 발표해 봅시다.

‑ 기름기가 있는 그릇은 휴지로 닦고 설거지를 합니다.

‑ 빨래는 모아서 한꺼번에 합니다.

‑ 인공 강우

‑ 바닷물을 이용(해수담수화)

‑ 빗물 저장조 활용

‑ 물절약 운동 습관화

‑ 세면, 양치 할때 물 잠그기

물 절약 약속카드

물 절약 약속카드 만들기

▣ 물 부족 현상을 해결할 방법 중에서 우리가 실천할 수 있는 것을 골라 물 절약 약속 카드를 만들어 봅시다.

학습내용 정리

학습내용 평가

학습내용 평가

학습내용 평가

우리나라는 물이 부족한 단계에 속한다.

그 이유는 집집마다 물 사용량은 늘어나지만 아껴 쓰지 않아서이다.

▣ 다음 시간에는 물의 순환을 이용해 물 모으는 장치 설계해 봅니다.

물 모으는 장치 설계하기

▣ 물 모으는 장치를 설계하는 활동에 즐겁게 참여할 수 있다.

▣ 물의 순환을 이용해 물 모으는 장치를 창의적으로 설계할 수 있다.

(과 114~115p) 실 (59p)

물 모으는 장치 설계

와카워터

물 부족 국가에서 식수 구하는 모습

▣ 물이 부족할 때 여러분은 물을 어떻게 구하나요?

▣ 114쪽의 ‘와카워터’는 물을 모을 수 있는 탑인데, 어떻게 물을 모을 수 있을까요?

물 모으는 장치 설계

물 모으는 장치 설계를 위한 의논

▣ 물 모으는 장치가 필요한 곳을 생각해 봅시다. 장소에 맞게 물을 모으는 장치를 설계하기 위해 필요한 조건을 친구들과 함께 이야기해 봅시다.

물 모으는 장치 설계를 위한 의논

▣ 물 모으는 장치를 설계하기 전에 친구들과 함께 이야기한 내용을 써 봅시다.

비가 잘 내리지 않고 낮과 밤의 기온 차가 큰 지역

공기 중의 수증기가 응결하여 생긴 물 모으기

투명한 비닐, 돌멩이, 컵이나 물통, 꽃삽

고깔 모양으로 구덩이를 깊게 판다.

물 모으는 장치 설계하기

▣ 모둠에서 생각한 물 모으는 장치를 그림과 글로 나타내고, 그 장치의 특징이 잘 드러나도록 이름을 써 봅시다.

햇볕이 잘 드는 곳에 그림처럼 구덩이를 파서 설치하면 흙에서 증발한 수증기가 응결되어 투명한 비닐에 맺힌 물이 아래로 떨어져 물통에 모인다. 파 놓은 구덩이의 모양이 고깔 모양의 과자를 닮아서 ‘워터콘’이라고 이름을 지었다

물 모으는 장치

▣ 물 부족 현상을 해결할 수 있는 기술의 예

여러가지 물 모으는 장치

해수 담수화

바닷물을 먹는 물로 바꾸는 과학 기술

▣ 물 모으는 장치가 필요한 곳을 생각해 봅시다. 장소에 맞게 물을 모으는 장치를 설계하기 위해 필요한 조건을 친구들과 함께 이야기해 봅시다.

물 모으는 장치 설계를 위한 의논

▣ 물 모으는 장치를 설계하기 전에 친구들과 함께 이야기한 내용을 써 봅시다.

비가 잘 내리지 않고 낮과 밤의 기온 차가 큰 지역

공기 중의 수증기가 응결하여 생긴 물 모으기

투명한 비닐, 돌멩이, 컵이나 물통, 꽃삽

고깔 모양으로 구덩이를 깊게 판다.

물 모으는 장치 설계하기

▣ 모둠에서 생각한 물 모으는 장치를 그림과 글로 나타내고, 그 장치의 특징이 잘 드러나도록 이름을 써 봅시다.

햇볕이 잘 드는 곳에 그림처럼 구덩이를 파서 설치하면 흙에서 증발한 수증기가 응결되어 투명한 비닐에 맺힌 물이 아래로 떨어져 물통에 모인다. 파 놓은 구덩이의 모양이 고깔 모양의 과자를 닮아서 ‘워터콘’이라고 이름을 지었다

물 모으는 장치

▣ 물 부족 현상을 해결할 수 있는 기술의 예

여러가지 물 모으는 장치

학습내용 평가

학습내용 평가

학습내용 평가

▣ 다음 시간에는 물의 여행을 정리 해 봅니다.

단원 학습

내용 정리

5. 물의 여행

▣ 물의 순환은 어떻게 일어날까요?

물이 상태를 바꾸면서 육지, 바다, 공기 중, 생명체 등 여러 곳을 끊임없이 돌고 도는 과정

5. 물의 여행

▣ 물은 왜 중요할까요?

5. 물의 여행

▣ 물 부족 현상을 어떻게 해결할 수 있을까요?

단원 평가

증발

응결

순환

단원 평가

단원 평가

단원 평가

- 양치할 때는 컵을 사용한다.

- 샴푸를 많이 쓰지 않는다.

- 빗물을 모아 화단을 가꾸거나 청소할 때 이용한다.

단원 평가

수증기

구름

댐의 높은 곳에서 떨어져 전기를 만들기도 하고, 다른 친구들과 땅의 모양을 바꾸기도 했어

뿌리

공장에 갔다가 몸이 오염되었기 때문이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