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troducing
Your new presentation assistant.
Refine, enhance, and tailor your content, source relevant images, and edit visuals quicker than ever before.
Trending searches
HISTORY
국제개발협력의 역사
GOAL
MDGs에서 SDGs로
CONCEPT
국제개발 컨셉들
PROBLEM
개발의 문제점
문제에 대한 대안
SOLUTION
기아대책의 대안
VOC
공적개발원조
(Official Development Assistance)
개발재원
(Resources for Development)
국제개발협력의 목적_빈곤퇴치
1945-1960
2차세계대전 후 1960년대까지
1970-1990
데탕트 이후 1990년대까지
1990-2000-2015
세계화 이후 UN주도 개발
2008-2020
KOICA-DAK의 시대
1945-1988
6.25전쟁 이후 1988년 서울올림픽
1988-2008
공여국전환 이후 금융위기전까지
개발
효과성
원조
효과성
멕시코 몬테레이 city
2002.3월 멕시코 몬테레이에서 개최된 UN개발재원국제회의에서는 개도국의 지속가능한 개발을 위해서는 개도국·선진국간 상호책임과 파트너쉽 구축이 중요하다는 몬테레이 컨센서스가 합의되었다.
동 컨센서스는 개도국은 ownership에 의거하여 governance, 제도, 정책 개선 등의 노력을 통해 자국의 개발을 위한 주도적인 역할을 수행하여야 하며, 국제사회는 ODA 확대, 무역개방 및 개도국의 역량배양 등에 대한 지원을 강화할 것을 강조하였다.
아울러 지속가능한 개발을 위한 재원마련 수단으로서 국내재원 동원, FDI, 무역, ODA, 외채탕감, 국제금융 및 무역체제의 일관성 향상을 강조하였다.
제 2차 고위급회의
2005년 파리
제 1차 고위급회의
2003년 로마
제 2차 고위급회의는 공여국과 수원국이 원조효과성에 대한 약속과 이를 성취하기 위한 상호 책무성에 처음 합의를 이룬 자리입니다. 이를 담고 있는 파리선언(Paris Declaration)은 원조의 질과 개발에 미치는 영향을 개선하기 위해 보다 실질적이고 행동지향적인 로드맵을 제시하고 있습니다. 특히 파리선언은 구체적인 이행 조치와 더불어 성과 측정과 공여국/수원국 상호책임을 위한 모니터링 체제를 수립하였습니다. 파리선언의 5가지 중점 원칙은 다음과 같습니다.
제 1차 고위급회의는 원조효과성에 대한 6가지 원칙이 구체적 선언을 통해 수립되었다는 점에 의의가 있다고 할 수 있습니다. 로마선언은 아래와 같은 행동사항들을 우선순위로 제시하고 있습니다.
1. 원조 공여국의 정책, 절차, 관행을 수원국의 시스템과 일치
2. 공여국의 수원국에 대한 요구사항을 간소화하여 거래비용을 감소
3. 수원국의 원조조정에 대한 주인의식을 강화하고 이를 위한 능력배양 지원
4. 빈곤감소전략(PRS) 등 수원국의 우선순위를 고려한 원조 실시
5. MDGs 달성에 대한원조 공여국들의 기여를 제고
6. ICT활용 및 동료간 압력을 통한 원조 조화를 촉진
제 3차 고위급회의, 2008년 아크라
1. 주인의식: 참여 국가들은 개발과정에서 폭넓은 정책을 형성하는 데 참여하여 원조 조화 부분에서 더 강한 리더십을 갖고 국가의 원조 실행 체제를 활용하도록 한다.
2. 포괄적 파트너십: 모든 파트너들(OECD DAC 회원국, 개발도상국, Non-DAC공여국, 재단 및 시민사회)이 충분히 참여하도록 한다.
3. 성과지향: 원조는 개발에 얼마나 실질적이고 측정 가능한 영향을 미치는가에 중점을 두도록 한다.
UN 새천년개발계획
상당한 빈곤의 감소가 있었음에도 불구하고 지역격차 및 재원 마련에 한계가 보였으며, 환경문제도 발생함.
상당한 빈곤의 감소가 있었음에도 불구하고 지역격차 및 재원 마련에 한계가 보였으며, 환경문제도 발생함.
상당한 빈곤의 감소가 있었음에도 불구하고 지역격차 및 재원 마련에 한계가 보였으며, 환경문제도 발생함.
상당한 빈곤의 감소가 있었음에도 불구하고 지역격차 및 재원 마련에 한계가 보였으며, 환경문제도 발생함.
1. 모든 곳에서 모든 형태의 빈곤 종식
2. 기아 종식, 식량 안보 달성, 개선된 영양상태의 달성, 지속 가능한 농업 강화
3. 모두를 위한 전 연령층의 건강한 삶 보장과 웰빙 증진
4. 모두를 위한 포용적이고 공평한 양질의 교육 보장 및 평생학습 기회 증진
5. 성평등 달성과 모든 여성 및 여아의 자력화
6. 모두를 위한 물과 위생설비에 대해 가용성과 지속 가능한 유지관리 보장
7. 모두를 위한 적정가격의 신뢰할 수 있고 지속 가능하며 현대적인 에너지에의 접근 보장
8. 모두를 위한 지속적 · 포용적 · 지속 가능한 경제성장, 생산적인 완전고용과 양질의 일자리 증진
9. 복원력 높은 사회기반시설을 구축하고, 포용적이고 지속 가능한 산업화 증진 및 혁신 장려
10. 국내 및 국가 간 불평등 감소
11. 도시와 주거지를 포용적이며 안전하고 복원력 있고 지속 가능하게 보장
12. 지속 가능한 소비와 생산 양식 보장
13. 기후변화와 그로 인한 영향에 맞서기 위한 긴급 대응
14. 지속가능발전을 위한 대양, 바다, 해양자원의 보존과 지속 가능한 사용
15. 지속 가능한 육상생태계 이용을 보호·복원·증진, 삼림을 지속 가능하게 관리, 사막화 방지, 토지 황폐화 중지 및 복구, 생물다양성 손실 중단
16. 지속가능발전을 위한 평화롭고 포용적인 사회 증진, 모두를 위한 정의에의 접근제공, 모든 수준 에서 효과적이고 책임성 있고 포용적인 제도 구축
17. 이행수단 강화, 지속가능발전을 위한 글로벌 파트너십 활성화
#이론
#주체
#개발
#빈곤
PROCESS
1. '빈곤을 어떻게 정의할 수 있을까요?
2. '개발'이란 무엇이라고 생각하실까요?
PERSPECTIVES
개발은 ‘근대성(modernity)’ 개념과
긴밀히 연계되어 ‘바람직한 것’으로 인식되어 왔음. 사회적, 경제적, 정치적,
문화적 상황에 따른 ‘근대’개념은 시간과 지역에 따라 달라짐. 개발도상국이란 '근대화'를 향해서 개발을 해 나감을 뜻함.
‘근대화된 상태’는 서유럽의 경험에 기초하여 특정한 형태의 경제상태 및 사회제도를 나타내는 것을 의미. 경제적 측면에서 ‘근대’는 산업화(industrialization), 도시화(urbanization), 모든 경제적 측면에서 기술사용 증대를 의미함. 또한 사회적, 문화적인 측면에서 기술과 과학적 원칙이 반영되는 것을 지칭함.
일반적으로 개발을 나타내기 위해 부의
측정지표를 사용하는 것은 경제적 부의 수준이 높아질수록, 보건, 교육, 삶의
질 향상 등 다른 혜택들도 이루어질 수 있다는 점에 기반하고
미르달(Myrdal)은 개발을 ‘전사회
체계의 상향적 운동’으로 정의하고,
사회체계에는 경제적 요인뿐만 아니라
비경제적 요인도 포함하는 것. 즉 사회의 생산수준이나 소비
수준은 개인적 소비만이 아니라
교육, 위생 등의 공동소비를 포함하여
사회적 구성, 사회 내의 권력구분 등
제도 및 태도도 포함
경제정책을 위한 세계적 어젠더 설정; 세계적 평화증진; 지원 및
기술지원의 중요한 원천임; 국제통화기금, 유엔, 세계은행
이해를 공유하는 사람들의 집단; 대개 주거지역(마을 혹은 도시지역)을 공유하는 것에 기초하나 사회적 정체성을 공유하는 지역사회를 지칭함
일정한 반경에 거주하며 공유된 정체성과 지속적인 관계를
맺으며 사는 사람들
지역, 시단위정부에서부터 국가정부까지 다양한 단계로 작동; 경제적 틀을 설정하는데 중요함; 개입자 혹은 개발에서 규제하는
역할을 수행함.
소득, 계층, 성, 민족, 연령, 기타 사회적 변수에 따라 선택과 영향이 달라짐.
국가 혹은 이윤추구 기관으로 역할을 하지 않음; 지역사회에게 서비스 제공을 위한 사업구상, 소득창출 기회 마련, 사회적 관계 제고를 도움; 소규모 기구일수도 있으나, 세계적인 조직을 가진 대규모 기관일수도 있음
1980
2000
1950
1970
1990
시장중시; 정부는 경제활동에 대한직접 개입을 자제해야 함.
다양한 사회적, 문화적 집단이 개발과정으
로부터 얼마나 다르게 영향을 받는 지에 대
한 인식이 커짐.
모든 국가들은 유럽형 모델을 따름
빈곤국가들은 국내 경제발전을 이루기 위
해 세계경제와의 상호관계를 최소화.
현세대의 개발수요와 차세대의 환경적 및 기타 관심사들을 조화시킬 필요
개발에 대한 견해가 식민주의와 유럽중심주의(Eurocentrism)의 형태로 표출, 이러
한 것들은 민중적 차원에서 도전되어야 함.
정부 및 지원정책의 관심은 최빈국 주민들의 기본적인 욕구를 충족하기 위한 것이 되어야 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