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troducing 

Prezi AI.

Your new presentation assistant.

Refine, enhance, and tailor your content, source relevant images, and edit visuals quicker than ever before.

Loading…
Transcript

한용운의 일생 -수의비밀-

독립운동을 한 시인들

수의 비밀 -한용운-

수의비밀

나는 당신의 옷을 다 지어 놓았습니다.

심의도 짓고, 도포도 짓고, 자리옷도 지었습니다.

짓지 아니한 것은 작은 주머니에 수놓는 것 뿐입니다.

그 주머니는 나의 손때가 많이 묻었습니다.

짓다가 놓아두고 짓다가 놓아두고 한 까닭입니다.

다른 사람들은 나의 바느질 솜씨가 없는 줄로 알지마는,

그러한 비밀은 나밖에 아는 사람이 없습니다

.

나의 마음이 아프고 쓰린 때에는 주머니에 수를 놓으려면,

나의 마음은 수놓는 금실을 따라서 바늘구멍으로 들어가고,

주머니 속에서 맑은 노래가 나와서 나의 마음이 됩니다.

그리고 아직 이 세상에는, 그 주머니에 넣을 만한 무슨 보물이 없습니다.

이 작은 주머니는 짓기 싫어서 짓지 못하는 것이 아니라, 짓고 싶어서 다 짓지 않은 것입니다.

만해 한용운 -조종현

한용운의 일생

만해는 중이냐?

중이 아니다.

만해는 시인이냐?

시인도 아니다.

만해는 한국 사람이다. 뚜렷한 배달민족이다.

독립지사다. 항일투사다.

강철 같은 의지로 불덩이 같은 정열로 대쪽 같은 절조로

고고한 자세로 서릿발 갚은 기상으로

최후일각까지 몸뚱이로 부딪쳤다.

마지막 숨 거들 때까지 굳세게 결투했다…….

한용운의 일생

타임라인

승려가 되다

서울로

투옥되다

어린시절

독립운동의 시작

다시 설악산 오세암으로

설악산에서 불교 승려로 변신,불교 공부를 시작

불교를 넘어서 서양의 종교철학과 세계지리에까지

세계일주 여행길

블라디보스토크 항에 도착하자마자 일진회 회원으로 오인되어 죽을 고비를 넘긴 뒤 귀국해야 했음

세계여행을 포기하고 서울로 와 일본여행을 시도해봤지만 이도 여가 치 않자 고향으로 돌아옴

다시 입산한 한용운은 1905년 백담사에서 정식으로 불교에 입문

일본여행 : 일본에서 만난 최린과의 교우는 그를 3 •1운동으로 이끌었다

다른 민족대표가 “이렇게 갇혀 있다가 그대로 죽는 것은 아닐까” 염려

한용운의 대응 : “이 비겁한 인간들아. 울기는 왜 울고 뉘우치기는 왜 뉘우치느냐. 이것이 이른바 독립선언서에 서명을 했다는 민족대표란 말이냐! 이따위 추태를 부리려거든 당장에 취소해버려라'

피고는 금후에도 조선독립운동을 할 것인가’라는 질문에 “육신이 다하면 정신만이라도 남아독립운동을 할 것이다’라고 당당히 대답

〈조선독립에 대한 감상의 개요〉라는 제목으로 조선독립 이유서 작성

당시 최고형 이던 3년 징역의 유죄 선고를 받고 복역 중 1년 6개월 만에 풀려 나옴

이후 많은 강연을 하며 자유 • 평등 • 독립 사상을 고취시킴

다시 서울로 돌아와 집필 활동,강연과 불교운동

신간회 결성에 주도적인 역할

한편《불교》라는 잡지를 인수하여 고루한 전통에 안주하는 당시의 불교계를 통렬히 비판하고,승려의 자질향상,기강확립,생활불교 등을 제창했으며,신문에 장편소설을 연재하는 등 활발한 활동을 벌이다 1944년 5월 9일 말년에 마련한 거처 성북동 심우장에서 중풍으로 눈을 감았다.

1879년 8월 29일 충청도 흥주에서 한응준의 둘째 아들로 태어났다

어릴적 이름 : 유천

동학농민운동과 청일전쟁이 일어난 1894년 그는 집을 떠나 입산한다.

회고담 중 .

‘지금 이렇게 산골에 파묻힐 때가 아니구나 하는 결심을 품고 어떤 날 아침 담뱃대 하나만 들고 서울 길에 오르기 시작했다'

“에라,인생이란 무엇인지 그것부터 알고 일하자 는 결론을 얻고 서울 가던 길을 버리고 강원도 오대산의 백담사에 이름 높은 도사가 있다는 말을 듣고 여러 날 동안 산골 길을 따라 그곳으로 갔었다”

조선의 불교를 개혁하는 데 있다고 판단,《조선불교유신론》을 집필

이 책은 또한 그 당시 불교계가 보여주던 종교적 친일행위에 대한 반발과도 연결됨

팔만대장경(영인본)을 모두 열람하며《불교대전》을 편찬

《유심》이라는 불교 잡지를 창간

미국 대통령 윌슨(Wilson,T. Woodrow)의 민족자결주의가 제창

그는 민족대표 33인 가운데 한 사람으로 3 • 1운동에 참가하여,최남선이 작성한 독립선언서에 마지막 행동강령인 공약 3장을 넣고, “이제 우리는 조선의 독립을 선언했으니 죽어도 한이 없다’ 는 축사와 대한독립 만세 세번을 선창한 뒤 마포경찰서로 잡혀감

이상재와 손병희를 설득하고,가짜 육혈포를 꺼내 들며 운동자금을 확보

시집 《님의 침묵》 작성

서울대학교 송욱 교수의 평가 : “신문학은 한문과 작별하여 모국어로써 표현된 것이 특정이다. 그러나 신문학은 한문과 함께 사상까지 작별하고 말았다. 신문학사 전체를 통해서 오직 하나의 예외는 시집 《님의 침묵》이 있을 뿐이다”

Learn more about creating dynamic, engaging presentations with Prez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