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ading…
Transcript

PNF

Proprioceptive Neuromuscular Facilitation

20164553 박보현

20164588 최민지

<INDEX>

01.PNF 역사

02.PNF 철학

03.PNF 기본절차/원리

04.PNF 원칙/패턴

05.PNF 기법

06.PNF 치료과정/절차

PNF history

HISTORY

' PNF는 언제시작되고 어떤

역사를 가지고 있을까? '

1940's

  • 고유수용성신경근촉진법이라는 용어는 'Proprioceptive Facilitation Technique' 과

'Neuromuscular Rehabilitation' 의 결합임

Dr. Herman Kabat

  • PNF의 창시자인 Dr. Herman Kabat는 박사학위

를 받고 신경학과 해부학 연구함

1940's

  • Dr. Kabat는 1945년에 같이 일할 물리치료사를

찾았을 때에 Margaret Knott를 만남

  • 1946년에 첫 Kabat-Kaiser 연구소를 설립
  • 1948년에 캘리포니아 Vallejo 에 있는 Center를 열고 PNF를 본격적으로 연구함

Margaret Knott

1950's

  • 1951년 대단위 운동의 인식과 구체화, 그것의 운동패턴 개발을 완성함

1950's

  • Dorothy Voss는 물리치료학과협회가 주관하는 PNF발표회에 참석하여 미국과 해외로 홍보하며 1954년까지 같이 일함

Dorothy Voss

  • 첫번째 PNF 서적이 Knott와 Voss에 의해 출판사에서 처음 출판되었음

1960's ~ 1980's

  • 1965년 Magaret Knott는 중추신경계 손상아를 위한 촉진과 억제라는 제목으로 발표함
  • 1972년 대각선 방향을 설명하면서 'In the Groove' 라는 용어를 사용함

1960's ~ 1980's

  • 대부분 두부손상, 척수손상으로 인한 경련을 동반한 환자를대상으로 PNF가 주목받음
  • 1978년 이재학 교수가 PNF책을 한국어로 번역
  • 1978년 Magaret Knott 사망

1980's ~ PRESENT

  • 1985년 International PNF Instruction group 창립
  • 1990년 The international PNF Association(IPNFA) 설립

1980's ~ PRESENT

  • 1994년 Dr.Kabat 사망
  • 2014 현 IPNFA 회장 Reba Butler

PHILOSOPHY

philosophy

긍정적 접근

  • 긍정적 평가

- 장점을 평가하고 장점을 치료에 사용

  • 긍정적 치료

긍정적 접근

- 할 수 있다는 자신감을 심어줌

- 환자가 잘할 수 있는 것부터 시작함

- 잘 상용할 수 있는 부분을 이용하여 치료 시작

- 통증없이 치료

기능적 접근

  • 환자가 원하는 수준의 기능 회복에 초점
  • 국제적 기능분류(ICF model)를 이용한

치료와 평가

기능적 접근

- 신체구조와 기능 (Body function&structure)

- 활동 (Activity)

- 참여 (Participation)

ICF model

ICF 모델

  • ICF는 국제보건기구(WHO)가 건강상태와 건강관련상태를

설명하기 위해 제안한 개념 틀

  • ICF의 활동(activity)과 참여(participation)를 구별하기는 어렵다.

ICF 개념틀 적용

ICF 개념틀 적용

  • PNF는 가능한한 가장 높은 수준의

기능을 얻기 위해 각 환자의 정보를

파악하고 평가하고 중재를 적용한 후

그 결과를 측정하여 가설을 고찰하는

일련의 과정을 거친다.

  • 가장 중요한 과정은 활동제한과 그에 영향을 주는 손상들의 관계를

설정하는 것이다.

잠재적 동원

  • 숨어있는 잠재력 개발

잠재적 동원

- 능동적 참여 (Active participation)

- 강도 높은 훈련 (Intensive training)

- 다양한 반복 (Repetition&variations)

- 다른 사람과의 협력 (Co-Working with other

persons)

인간전체 고려

  • 국소적으로 보지 않고 전체적인 것을 고려

- 신체적 요소 (Physical Factor)

인간전체

고려

- 심리적 요소 (Psychological Factor)

- 사회적 요소 (Social Factor)

- 환경적 요소 (Environmental Factor)

운동조절 및 운동학습 이론

  • 운동조절 이론 이용

- Mobility

- Stability

운동조절 및

운동학습 이론

- Mobility on the Stability

  • 운동학습 이론 이용

- Cognitive Stage

- Associatied Stage

- Autonomous Stage

STEP & PRINCIPLE

STEP

&

PRINCIPLE

' PNF 치료법은 어떤 절차와 원리로 치료가 되지? '

외부수용성 자극

촉각자극

외부수용성 자극

청각자극

시각자극

촉각자극

- 근육 활동을 향상시킴

- 몸통에 적용하면 몸통 안정성을촉진함

- 안전과 신뢰를 제공함

- 접촉ㆍ운동감각 지각을 촉진함

청각자극

- 움직임의 시작을 가이드해줌

- 근육 수축 강도 또는 이완의 영향을 줌

- 환자의 집중력을 촉진함

- 기능적 활동을 학습하는데 도움을 줌

시각자극

- 협응성, 근력과 안정성과 같은 근육 활동을

자극함

- 치료사는 자극을 주었을 때 적절한지에 대한

정보를 제공

- 협응적 상호 작용을 성취하기 위한 의사소통을

제공해 줌

고유수용성 자극

신장자극

저 항

고유수용성 자극

견 인

압 축

신장자극

- 연장 된 근육에 자극

- 단기 연장(빠른 stretch 없이)

- 빠른 신장 (초기 신장)

- 수축으로 긴장된 근육에 신장 (재신장)

- 억제를 위해 근 연장 유지

저 항

- 환자 상태와 운동 목적에 따른 적절한

저항

- 근육의 형태는 정적과 동적(구심성,

원심성)으로 나뉨

- 움직임의 조절과 지각을 향상시킴

- 근육을 수축시키고, 운동학습을 향상시킴

압 축

- 빠른압축과 느린압축으로 나뉨

- 팔 다리 또는 몸통의 압박

- 안정성을 촉진

- 체중지지와 항중력 근육의 촉진

- 바로세운반응의 촉진

견 인

- 치료사에 의한 팔다리 또는 몸통 폄을 의미

- 관절 통증 감소를 제공

- 신장 반사와 신장 자극에 위한 준비에

도움을 줌

- 신장 반사를 사용할 때 근육 조직의 늘어남에

도움을 줌

절차

패턴

타이밍

절 차

신체

자세/기전

방산

패 턴

- 3차원 근육사슬/ 근수축 반응 촉진

- 신체 - 대각선

- 움직임이 끝난 자세로 패턴의 이름을 정함

타이밍

  • 정상적 타이밍

- 지속적이며, 협응된 상태로 먼쪽에서 몸쪽으로

나타남

- 정상적 움직임의 협응력을 향상 시킴

  • 강조의 타이밍

- 부분적 근육 또는 원하는 활동을 강조하기 위하여

정상적 동작의 순서를 변화하여 사용함

- 강한 근육에서 약한 근육으로의 에너지 전환

신체자세와 신체기전

- 치료사,환자의 움직임과 자세는 그루브

(GROUVE) 내에서 치료목적에 따라 실시

- 치료사가 자신의 체중을 적절히 이용함으로써

피로를 피함

- 움직임의 방해 없이 효율적인 환자의 자세

유도함

방 산

- 중추신경계 내에서 흥분의 확산에 의한 방산은

인체의 다른 부위의 근육을 자극함

-주어진 자극에 대한 신경 신호 반응의 퍼짐을

의미함

-근육 수축의 촉진을 목표로 함 (반대쪽도 같음)

pattern

PATTERN

' PNF의 Pattern으로 어떻게 치료를 하지? '

Upper extremity pattern

  • 4개의 패턴으로 나뉘며 몸통과 나선상으로 연결되는 3차원적 움직임으로 구성되어 있음

  • 상지 패턴에는 팔 움직임에 동원되는 모든 상지의 관절들의 움직임이 포함되어 있음

  • 어깨관절, 견갑골, 아래팔, 손목, 손가락 관절들이 포함

Upper extremity pattern

D1 Flexion 패턴의 하위 관절 구성요소

D1 Flexion

  • Shoulder : Flexion, Adduction, External Rotation

  • Scapular : Anterior Elevation, Abduction

  • Forearm : Supination

  • Wrist : Flexion-Radial Deviation

  • Finger : Flexion, Adduction

D1 Extension 패턴의 하위 관절 구성요소

D1 Extension

  • Shoulder : Extension, Abduction, Internal Rotation

  • Scapular : Posterior Depression, Abduction

  • Forearm : Pronation

  • Wrist : Extension-Ulnar Deviation

  • Finger : Extension, Abduction

D2 Flexion 패턴의 하위 관절 구성요소

D2 Flexion

  • Shoulder : Flexion, Abduction, External Rotation

  • Scapular : Posterior Elevation, Abduction

  • Forearm : Supination

  • Wrist : Extension-Radial Deviation

  • Finger : Extension, Abduction

D2 Extension 패턴의 하위 관절 구성요소

D2 Extension

  • Shoulder : Extension, Abduction, Internal Rotation

  • Scapular : Anterior Depression, Abduction

  • Forearm : Pronation

  • Wrist : Flexion-Ulnar Deviation

  • Finger : Flexion, Adduction

Lower extremity pattern

  • 4개의 패턴으로 나뉘며 몸통과 나선상으로 연결되는 3차원적 움직임으로 구성되어 있음

  • 하지 패턴에는 다리 움직임에 동원되는 모든 하지의 관절들의 움직임이 포함되어 있음

  • 해당 관절로는 엉덩관절, 골반, 발목 발가락들이 포함됨

Lower extremity pattern

D1 Flexion

D1 Flexion 패턴의 하위 관절 구성요소

  • Hip: Flexion, External Rotation

  • Pelvis: Anterior Elevation

  • Foot: Dorsiflexion, Inversion

  • Toes: Extension

D1 Extension

D1 Extension 패턴의 하위 관절 구성요소

  • Hip: Extension, Internal Rotation

  • Pelvis: Posterior Depression

  • Foot: Plantarflexion, Eversion

  • Toes: Flexion

D2 Flexion

D2 Flexion 패턴의 하위 관절 구성요소

  • Hip: Flexion, Internal Rotation

  • Pelvis: Posterior Elevation

  • Foot: Dorsiflexion, Eversion

  • Toes: Extension

D2 Extension

D2 Extension 패턴의 하위 관절 구성요소

  • Hip: Extension, External Rotation

  • Pelvis: Anterior Depression

  • Foot: Plantarflexion, Inversion

  • Toes: Flexion

Upper & Lower extremity pattern

PNF Patterns: Upper and Lower Extremities

TECHNIC

technic

' PNF의 여러기법들을 어떤 사람에게 어떻게 사용해야 할까? '

율동적 개시

율동적 개시

  • 특성 - 사지나 신체의 율동적 운동은 요구되는 범위에서 행해지며, 수동적 운동에서

시작하고 능동저항 운동으로 진행함

  • 목표 - 운동의 개시를 촉진

- 협응력과 운동감각 촉진

- 증가/감소를 통한 비율의 정상화

  • 적응증 - 운동을 시작하는데 어려움을 가지는 경우

- 운동이 너무 느리거나 빠른 경우

  • 설명 - 치료사는 리듬감이 있기 위해 구두 지시의 속도를 사용하여 환자의 수동적

움직임으로 시작함

- 원하는 방향으로 능동적으로 움직이게 하기 위해 환자에게 지시함

등장성 기법

등장성 기법

  • 특성 - 이완없이 한 근육의 한 그룹에 구심성, 원심성, 안정성 수축을 결합시킴

  • 목표 - 협응의 능동적 조절

- 근력 강화

- 운동의 원심성 조절에 대한 기능적 훈련

  • 적응증 - 원심성 조절의 감소

- 협응력과 원하는 방향으로의 운동능력 결핍

- 능동적 운동범위의 감소

  • 설명 - 치료사가 원하는 범위에 걸쳐 능동적으로 움직이는 환자의 운동에 저항을 가함

- 운동이 끝났을 때 환자에게 그 위치를 유지하라고 지시함 (안정적 수축)

길항적 기법

길항근 기법 (동적 반전)

  • 특징 - 능동적인 운동은 정지나 이완없이 한 방향에서 반대방향으로 변화함

  • 목표 - 능동운동 범위 증가

- 지구력 증진

- 피로의 예방이나 감소

  • 적응증 - 능동운동 범위 감소

- 운동의 방향 전환 능력 감소

- 운동을 한 근육의 피로가 시작될 때

  • 설명 - 치료사는 보통 더 강하거나 더 좋은 방향에서 한 방향으로 환자의 움직임에 저항 줌

- 원하는 운동 범위에 접근함에 따라 치료사는 움직이는 분절의 원위부를 잡고 반전

시키고 방향 전환을 준비하기 위해 명령 내림

- 치료사는 이완없는 방향 반전을 위해 행동지시를 내리고 원위부에 시작하는

새로운 운동 저항을 줌

길항근 기법 (안정적 반전)

  • 특성 - 교대로 하는 등장성 수축은 운동을 저지하는 충분한 저항에 의해 대응함

  • 목표 - 안정성과 균형 증가

- 주동근과 길항근 사이에 협응력 증진

  • 적응증 - 감소된 안정성

- 환자가 등척성 근수축을 하지 못함

  • 설명 - 치료사의 힘에 대응하도록 환자에게 가장 강한 방향으로 시작하면서 저항을 줌

- 환자가 그 힘에 충분히 저항을 할 때 치료사는 한 손을 움직이고 다른 방향에서

저항을 주기 시작함

길항근 기법 (율동적 안정화)

  • 특성 - 운동이 일어나지 않게 저항에 대응하면서 하는 교대적인 등척성 수축

  • 목표 - 능동 및 수동 운동 범위의 증가

- 근육 강화

- 안정과 균형 증가

  • 적응증 - 제한된 운동범위 금기증 - 소뇌성 장애

- 길항근군의 약증 - 환자가 나이, 언어장애, 뇌 기능장애로

- 감소된 균형 지시를 따를 수 없을 시

  • 설명 - 새로운 저항은 천천히 증가되며 환자의 반응함으로써 치료사는 길항근 운동에

저항을 주기 위해 다른손을 움직임

반복 신장

반복 신장 (시작범위)

  • 특징 - 신장 반사는 늘어난 상태로 긴장하에 있는 근육으로부터 유도함

  • 목표 - 초기운동의 촉진

- 능동운동범위 증가

- 근육강화

  • 적응증 - 약화나 강직 금기증 - 관절의 불안정

- 피로나 운동 인식의 감소 - 골절 또는 골다공증, 탈골

  • 설명 - 치료사는 패턴에서 근육이 완전히 늘어나는 동안 준비지시를 줌

- 근육을 더 연장시키기 위해 빠른 TAP을 주고 신장반사 유발시킴

- 신장반사와 동시에 반사반응과 함께 신장된 근육의 수축을 위해 수의적 노력을

지시하고 저항을 가함

반복 신장 (전범위)

  • 특성 - 신장반사는 수축으로 인한 근긴장이 있을 때 이끌어냄

  • 목표 - 능동운동 범위 증가

- 원하는 방향으로 운동 유도

  • 적응증 - 피로 금기증 - 관절 불안정, 통증

- 원하는 운동의 감소된 인식 - 손상된 근육

  • 설명 - 치료사는 운동 패턴에 저항을 가함으로써 모든 교육이 수축할 수 있고 긴장하게 됨

- 환자에 의해 새롭게 증가된 노력과 신장반사를 협응되도록 하여 저항함

수축-이완

수축-이완

  • 특성 - 제한된 근육(길항근)에 저항이 가해진 등장성 수축은 증가된 범위에서 이완과

운동을 유도함

  • 목표 - 증가된 수동운동 범위의 증가

  • 적응증 - 수동운동 범위의 증가

  • 설명 - 치료사는 근육, 회전근 모든 확실한 근수축이 이루어 질 수 있도록 지시한 후

환자에게 이완이라고 말함

- 환자가 능동적으로 하든지 수동적으로 하든지 간에 관절 또는 신체 부위가 수동

범위의 새로운 한계로 재위치됨

유지-이완

유지-이완

  • 특성 - 저항이 가해진 길항근의 등척성 수축은 이완을 일으킴

  • 목표 - 수동운동 범위 증가

- 통증 감소

  • 적응증 - 수동운동 범위의 감소 금기증 - 환자는 등척성 수축을 할 수

- 환자의 등장성 수축이 너무 강할 때 없음

  • 설명 - 통증을 감소시킴

- 환자를 편안하게 위치시키고 통증 있는 분절에 영향을 미치는 근육이 등척성

수축에 저항을 가함

복 제

복 제

  • 특성 - 기능적인 활동의 운동학습을 촉진하기 위한 기법

  • 목표 - 운동의 끝 위치를 환자에게 가르침

- 주동근이 짧아졌을 때 수축을 유지하기 위한 환자의 능력을 평가함

  • 설명 - 환자는 치료사가 모든 요소들에 저항을 가하는 동안 자세를 유지해야함

- 운동의 각각의 복제를 위해서 더 많은 운동의 범위를 통해서 환자가 도전할 수

있도록 운동의 시작을 점점 증가시킴

- 이완을 환자에게 요구하고 수동적으로 반대방향으로 짧게 환자를 저항하고

끝자세로 다시 돌아오도록 요구함

pnf process

' PNF 컨셉으로 환자의 문제를

해결할때는 어떻게 해야될까? '

process of treatment

PNF 컨셉으로 환자의 문제를 해결하기

PNF 컨셉으로 환자의 문제를 해결하기

어떤 활동을 할 때 우리가 생각해야 하는 것

- 어떤 것을 중요하게 생각하는지?

- 어떤 절차로 치료를 하는지?

- 무엇을 중요하게 평가하는지?

사례 1

PNF 사례 예시 2

클라이언트: 50대 A남성

특징

- 뇌졸중에 의한 편마비 환자

- 정형외과적 손상이 없으며, 보조없이 기립자세의 유지는

가능하나, 보행이 불완전한 상태

- 시야에 대한 제한이없으며 과제수행에 제한을 주는 통증

없음

요구사항: 보행과제를 하는데 있어 개선되기를 바람

SMART

S: 이 남성은 이동하는 것을 완전히 독립적으로 하는 것이다

M: 이 남성은 독립적으로 일어서고 보행을 할수있어야 한다

A: 이 남성과 치료팀은 혼자서 기능적 이동을 할 수 있을 것이다

R: 환측에 운동기능과 감각기능의 일부 소실이 있지만, 이 남성이 이동을 완전히

수행하는 것은 가능하다

T: 이 남성은 10개월 뒤에 독립적으로 이동을 할 수 있을 것이다.

문제 해결방법

  • 환자의 일반적 보행 특성을 알아본다.

  • PNF 운동패턴에 입각하여 편마비 환자의 골반 운동유형을 조사하고

골반의 운동이 정상적으로 일어나는지 알아본다.

  • 골반의 전방거상, 전반하강, 후방거상운동 중 어떤 유형의 제한이 있는지

알아보고 이것이 보행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본다.

  • 편마비 환자에게 PNF의 골반운동패턴 적용한다.

사례 2

PNF 사례 예시 3

클라이언트 : 50대 여성

특징

-오른쪽 뇌혈관장애로 인해 왼쪽 반신마비

-수동적 어깨관절 벌림과 굽힘 시에 끝 범위에서 위팔 어깨관절의 약한 통증 호소

-인지적 평가에서는 실행증과 좌측 편측 무시가 있음

-주의력과 기억력 지남력이 좋고, 과제의 이행도 적절함

요구사항 : 일상생활을 하는데 몸통유지와 자세정렬

SMART

S: 이 여성은 ADL을 수행하는데 있어 완전하게 몸통유지와 자세정렬을 하는 것이다.

M: 이 여성은 독립적으로 몸을 굽혔다 펼 수 있다.

A: 치료사와 이 여성은 혼자서 모든 균형을 잡을 수 있을것이라 기대한다.

R: 어깨관절의 제한과 실행증과 좌측 편측 무시가 있지만, 이 여성은 독립적으로

몸통유지와 자세정렬을 할 수 있다.

T: 이 여성은 5주 후에 모든 움직임에 대한 균형을 잡을 수 있게 됐다.

문제 해결방법

  • 왼쪽 인식, 앉은 자세 그리고 몸통의 균형의 문제점을 측정한다.

  • 활동하기 이전에 머리와 목의 굽힘, 폄, 회전 패턴을 실시한다.

  • 왼쪽으로 회전을 강화 시키기 위해 치료사는 환자의 왼쪽에 서 있고, 물품들을 환자의 왼쪽에 둔다.

  • 왼쪽 상지의 몸쪽 안정성을 촉집하는 기법과 고유감각 입력을 제공한다.

  • 인지적 과제를 대각선운동으로 치료한다.

결론

conclusion

  • PNF는 손상으로 인한 제한을 치료할

좋은 기회를 제공

  • PNF는 다른치료 개념과도 쉽게 결합

할 수 있음

  • PNF 접근법에서 모든 감각처리과정과 인지처리과정은 운동출력을 결정하는 입력으로 간주하는데, 상호적 상황의 핵심요소는

정보교환임

  • 특히 운동학습의 첫 단계에서 매우 중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