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troducing 

Prezi AI.

Your new presentation assistant.

Refine, enhance, and tailor your content, source relevant images, and edit visuals quicker than ever before.

Loading…
Transcript

3조

권우성 박효준 함영빈 노지우 정지혁

EMP 충격기 만들기

목차

1. EMP란 무엇인가?

-EMP란?

-EMP의 원리

2. 콤프턴 효과

3. 실험 설명

-실험 과정

-결과

4. 생각해보기

EMP란?

EMP란?

전봇대에 있던 수상한 전자기기가 터지자 강력한 전자파가 일대로 퍼져나가고 주변 마을은 삽시간에 블랙아웃(대규모 정전)에 빠진다.

휴대전화는 먹통이 됐고, 달리던 자동차도 일제히 멈췄다. 전기와 전파를 이용하는 모든 제품이 마비되고 만 것이다

EMP란?

lectro magnetic Pulse(EMP),

주로 인공적으로 발생시키는 전자기파 펄스의 총칭이다.

EMP의 원리

EMP는 전자기장에 의해 매우 짧은 시간에 발생하는 진동 현상을 뜻한다. 태양 흑점 폭발 때 지구에 통신장애가 일어나는 것도 같은 원리다. 태양 흑점 폭발로 방출된 고에너지 입자가 지구 자기권에 부딪히면서 전자기 폭풍이 발생하는 것이다.

콤프턴 효과

콤프턴 효과

먼저 EMP는 핵폭발이 일어나면 전자기파와 중성자가 생성되는데, 이때 강한 전자기파인 감마선이 대기중으로 확산되면서 콤프턴 효과를 일으킨다.

이때 콤프턴 효과란 간단히 말해 고에너지의 빛을 원자번호가 낮은 원자에 쏘면 전자를 방출하는 현상을 말한다.

마찬가지로 핵폭탄이 터질 때 발생한 강력한 빛(감마선)이 산소나 질소 분자에 부딪히면 높은 에너지의 전자가 튀어나오는데, 이것이 대기 중에 강력한 전자기장을 형성해 전자회로를 망가뜨린 것이다.

이때 EMP가 발생되고 에너지가 큰 EMP에 의해 전자회로가 파괴된다.

EMP는 크게 핵폭발에 의한 NEMP(Nuclear EMP),핵폭탄을 사용하지 않는 NNEMP(Non- Nuclear EMP)로 구분된다.

NEMP는 핵폭발시 방출되는 대규모 전자기파를 이용하고, NNEMP는 핵폭발 없이 기계적으로 방출하는 장치를 내장해 EMP효과만을 거둘 수 있다.

실험설명

실험설명

과정 1

1. 전기 파리체를 분해하고 전선들을 제거한 뒤 회로 판을 분리해낸다.

과정 2

2. 떼어낸 회로 판에 3v 전구 소켓을 배터리 부분에 연결해준다.

이때, +,- 에 알맞게 연결한다.

과정3

3. 둥근 물체(ex. 풀)에 에나멜선을 감아주고 케이블 타이를 이용해 고정시켜준다. 이후 에나멜선의 양 끝을 라이터로 지져준다.

과정 4

4. 납떔을 해서 에나멜선과 회로 판을 연결시켜준다. 이때 에나멜선의 한쪽은 회로에 완전히 붙이지 않고 살짝 떨어뜨려 글루건으로 붙여준다.

과정 5

5. 완성된 EMP 충격기를 전자장비에 가까이 해서 작동이 되는지 확인한다.

생각해보기

  • EMP탄의 원리를 보고 반들어본 EMP 충격기의 원리에 대해 생각해보자.

  • EMP무기는 수백~수천 km내의 모든 전자기기, 전자시설을 파괴시켜 현대 사회의 전 시스템이 붕괴되는 문제가 발생한다. 이런 EMP의 문제를 보았을 때, EMP무기의 사용이 옳을지 생각해보자
Learn more about creating dynamic, engaging presentations with Prez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