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troducing 

Prezi AI.

Your new presentation assistant.

Refine, enhance, and tailor your content, source relevant images, and edit visuals quicker than ever before.

Loading…
Transcript

<표준 발음법>

두 번째 시간

경음화: 제23항

제22항

받침 'ㄱ(ㄲ, ㅋ, ㄳ, ㄺ), ㄷ(ㅅ,ㅆ,ㅈ,ㅊ,ㅌ), ㅂ(ㅍ, ㄼ, ㄿ, ㅄ)' 뒤에 연결되는 'ㄱ,ㄷ,ㅂ,ㅅ,ㅈ'은 된소리로 발음한다.

다음과 같은 용언의 어미는 [어]로 발음함을 원칙으로 하되,

[여]로 발음함도 허용한다.

국밥[국빱] 깎다[깍따] 삯돈[삭똔]

닭장[닥짱] 칡범[칙뻠] 뻗대다[뻗때다]

넓죽하다[넙쭈카다] 읊조리다[읍쪼리다] 값지다[갑찌다]

피어[피어/피여] 되어[되어/되여]

경음화: 제27항

경음화: 제26항

[붙임] '이오, 아니오'도 이에 준하여 [이요, 아니요]로

발음함을 허용한다.

관형사형 '-(으)ㄹ' 뒤에 연결되는 'ㄱ,ㄷ,ㅂ,ㅅ,ㅈ'은

된소리로 발음한다.

경음화: 제27항

음의 첨가: 29항

[붙임] '-(으)ㄹ'로 시작되는 어미의 경우에도 이에 준한다.

한자어에서, 'ㄹ'받침 뒤에 연결되는 'ㄷ,ㅅ,ㅈ'은

된소리로 발음한다.

할 것을[할꺼슬]/ 갈 데가[갈떼가]/ 할 바를[할빠를]

할 수는[할쑤는]/할 적에[할쩌게]/ 갈 곳[갈꼳]

할 도리[할또리]/ 만날 사람[만날 싸람]

합성어 및 파생어에서, 앞 단어나 접두사의 끝이 자음이고

뒤 단어나 접미사의 첫 음절이 '이, 야, 여, 요, 유'인 경우에는 'ㄴ'음을 첨가하여 [니, 냐, 녀, 뇨, 뉴]로 발음한다.

할걸[할껄]/ 할밖에[할빠께]/ 할세라[할쎄라]

할수록[할쑤록]/ 할지라도[할찌라도]

할지언정[할찌언정]/ 할진대[할찐대]

다만, 끊어서 말할 적에는 예사소리로 발음한다.

솜-이불[솜니불]/홑-이불[혼니불]/막-일[망닐]

삯-일[상닐]/맨-입[맨닙]/꽃-잎[꼰닙]

내복-약[내봉냑]/한-여름[한녀름]/신-여성[신녀성]

색-연필[생년필]/담-요[담뇨]/식용-유[시굥뉴]

갈등[갈뜽] 발동[발똥] 절도[절또] 말살[말쌀]

불소[불쏘] 일시[일씨] 갈증[갈쯩] 물질[물찔]

발전[발쩐] 몰상식[몰쌍식] 불세출[불쎄출]

다만, 같은 한자가 겹쳐진 단어의 경우에는 된소리로 발음하지 않는다.

허허실실 절절하다

제18항

경음화와 사잇소리

제20항

제20항 예외사항

경음화

사잇소리 현상

받침 'ㄱ(ㄲ, ㅋ, ㄳ, ㄺ), ㄷ(ㅅ, ㅆ, ㅈ, ㅊ, ㅌ,ㅎ),

ㅂ(ㅍ, ㄼ, ㄿ, ㅄ)'은 'ㄴ,ㅁ'앞에서 [ㅇ,ㄴ,ㅁ]으로 발음한다.

'ㄴ'은 'ㄹ'의 앞으나 뒤에서 [ㄹ]로 발음한다.

다만, 다음과 같은 단어들은 'ㄹ'을 [ㄴ]으로 발음한다.

울림소리(모음)+안울림 예사소리

반드시 합성어에서만 일어남

수의적 현상

안울림소리+안울림소리

어간 받침 'ㄴ,ㅁ'+안울림소리

어간 받침, 한자어,

관형사형'ㄹ'+안울림소리

필수적 현상

유음화 일어나지 않음

유음화

신라[실라] 난로[날:로] 천리[철리] 광한루[광할루]

칼날[칼랄] 물난리[물랄리] 줄넘기[줄럼끼]

먹는[멍는] 국물[궁물] 깎는[깡는]

목몫이[몽목씨] 긁는[긍는] 흙만[흥만]

옷맵시[온맵시] 맞는[만는] 밟는[밤:는]

의견란[의:견난] 임진란[임:진난] 생산량[생산냥]

결단력[결딴녁] 동원령[동:원녕] 상견례[상견녜]

횡단로[횡단노] 이원론[이:원논]

[붙임] 첫소리 'ㄴ'이 'ㅀ'. 'ㄾ'뒤에 연결되는 경우에도 이에 준한다.

음의 첨가: 제30항

사이시옷이 붙은 단어는 다음과 같이 발음한다.

2. 사이시옷 뒤에 'ㄴ,ㅁ'이 결합되는 경우에는 [ㄴ]으로 발음한다.

닳는[달른] 뚫는[뚤른] 핥네[할레]

콧날[콛날→콘날] 아랫니[아랟니→아랜니]

툇마루[퇻마루→퇸마루] 뱃머리[밷머리→밴머리]

[붙임] 두 단어를 이어서 한 마디로 발음하는 경우에도

이와 같다.

3. 사이시옷 뒤에 '이'음이 결함되는 경우에는 [ㄴㄴ]으로 발음한다.

베갯잇[배겓닏→베겐닏] 깻잎[깯닙→깬닙] 나뭇잎[나묻닙→나문닙]

ex) 책 넣는다 [챙넣는다] / 옷 맞추다 [온마추다]

경음화: 제24항

음의 첨가: 제29항

어간 받침 'ㄴ(ㄵ), ㅁ(ㄻ)' 뒤에 결함되는 어미의 첫소리

'ㄱ,ㄷ,ㅅ,ㅈ'은 된소리로 발음한다.

다만, 다음과 같은 말들은 'ㄴ'음을 첨가하여 발음하되

표기대로 발음할 수 있다.

제19항

신고[신:꼬] 껴안다[껴안따] 앉고[안꼬] 얹다[언따]

삼고[삼:꼬] 더듬지[더듬찌] 닮고[담꼬] 젊지[점:찌]

다만, 피동/사동의 접미사 '-기-'는 된소리로 발음하지 않는다.

표준발음법 제5장 : 음의 동화

17항

안기다 감기다 굶기다 옮기다

경음화: 제25항

이죽-이죽[이중니죽/이주기죽]

야금-야금[야금냐금/야그먀금]

검열[검:녈/거:멸]

금융[금늉/그뮹]

어간 받침 'ㄼ, ㄾ'뒤에 결합되는 어미의 첫소리

'ㄱ,ㄷ,ㅅ,ㅈ'은 된소리로 발음한다.

받침 'ㅁ,ㅇ'뒤에 연결되는 'ㄹ'은 [ㄴ]으로 발음한다.

받침 'ㄷ.ㅌ(ㄾ)'이 조사나 접미사의 모음 'ㅣ'와 결합되는 경우에는,

[ㅈ,ㅊ]으로 바꾸어서 뒤 음절 첫소리로 옮겨 발음한다.

경음화: 제28항

넓게[널께] 핥다[할따] 훑소[훌쏘] 떫지[떨:찌]

곧이듣다 [고지듣따] / 굳이[구지] / 미닫이 [미:다지]

땀받이 [땀바지] / 밭이 [바치] / 벼훑이 [벼훌치]

표기상으로는 사이시옷이 없더라도, 관형격 기능을 지니는

사이시옷이 있어야 할(휴지가 성립되는) 합성어의 경우에는

뒤 단어의 첫소리 'ㄱ,ㄷ,ㅂ,ㅅ,ㅈ'을 된소리로 발음한다.

담력[담:녁] 침략[침냑] 강릉[강능]

항로[항노] 대통령[대:통녕]

[붙임] 'ㄷ'뒤에 접시마 '히'가 결합되어 '티'를 이루는 것은

'치'로 발음한다.

문-고리[문꼬리]/ 눈-동자[눈똥자]/ 신-바람[신빠람]

산-새[산쌔]/손-재주[손째주]/길-가[길까]

술-잔[술짠]/아침-밥[아침빱]/등-불[등뿔]

[붙임] 받침 'ㄱ,ㅂ'뒤에 연결되는 'ㄹ'도 [ㄴ]으로 발음한다.

음의 첨가: 제29항

음의 첨가: 제30항

굳히다 [구치다] / 닫히다 [다치다] / 묻히다 [무치다]

사이시옷이 붙은 단어는 다음과 같이 발음한다.

[붙임1] 'ㄹ'받침 뒤에 첨가되는 'ㄴ'음은 [ㄹ]로 발음한다.

막론[막논→망논] 백리[백니→뱅니]

협력[협녁→혐녁] 십리[십니→심니]

독립[독닙→동닙]

1. 'ㄱ,ㄷ,ㅂ,ㅅ,ㅈ,'으로 시작하는 단어 앞에 사이시옷이

올 때에는 이들 자음만을 된소리로 발음하는 것을 원칙으로 하되, 사이시옷을 [ㄷ]으로 발음하는 것도 허용한다.

들-일[들릴]/솔-잎[솔립]/설-익다[설릭따]

물-약[물략]/불-여우[불려우]/서울-역[서울력]

물-엿[물렫]/휘발-유[휘발류]/유들-유들[유들-류들]

냇가[내:까/낻:까] 샛길[새:낄/샏:낄] 빨랫돌[빨래똘/빨랟똘]

콧등[코뜽/콛뜽] 깃발[기빨/긷빨] 대팻밥[대:패빱/대:팯빱]

햇살[해쌀/핻쌀] 뱃속[배쏙/밷쏙] 뱃전[배쩐/밷쩐]

고갯짓[고개찓/고갣찓]

음의 첨가: 제29항

[붙임2] 두 단어를 이어서 한 마디로 발음하는 경우에도

이에 준한다.

한 일[한닐]/ 옷 입다[온닙따]/ 서른여섯[서른녀섣]

3연대[삼년대]/ 먹은 엿[머근녇]/ 할 일[할릴]

잘 입다[잘립따]/ 스물여섯[스물려섣]

다만, 다음과 같은 단어에서는 'ㄴ(ㄹ)'음을 첨가하여 발음하지 않는다.

6·25[유기오]/ 3·1절[사밀쩔]/ 송별-연[송:벼련]/ 등용-문[등용문]

Learn more about creating dynamic, engaging presentations with Prez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