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troducing
Your new presentation assistant.
Refine, enhance, and tailor your content, source relevant images, and edit visuals quicker than ever before.
Trending searches
기원전 7세기
서아시아
(1) 건국: 티그리스강 유역의 작은 도시 국가에서 출발
(2) 발전: 기마 전술과 철제 무기, 전차를 바탕으로 (➊ )의 상당 부분 통일
① 도로·역전제 정비, 전국을 주로 나누고 총독 파견 → 중앙 집권 체제 강화
② 지구라트 건설, 왕립 도서관을 세워 학문 발전 촉진
(3) 쇠퇴: 피정복민에 대한 강압적인 통치(강제 이주, 무거운 세금 부과) → 멸망
수도 니네베
나는 수사의 지구라트를 부숴 버렸다. 나는 엘람의 사원을 파멸로 몰아놓었다, 나는 그들의 신들과 여신들을 바람에 날려 버렸다. 나는 그들의 조상과 옛 왕의 무덤을 짓밟았고 무덤에 햇빛이 들게 하였으며 그들의 뼈를 꺼내 아수르의 영토로 가져갔다.
기원전 6세기 중엽 '키루스'왕 : 아케메네스 왕조 수립, 서아시아 통일
다리우스 1세: 전국 20개 주 총독 파견
왕의 눈, 왕의 귀 (감찰관) 파견
왕의 길(도로, 역참제 정비)
화폐, 도량형 정비
피지배 민족에게 관용 정책
페르시아 전쟁에서 패배, 반란 발생으로 쇠퇴
기원전 4세기 알렉산드로스에게 정복 당함(기원전 330년 멸망)
로마 제국~ 인도, 중국을 연결하는 동서 무역로를 장악 (중계 무역으로 번영!)
사산 왕조 페르시아에 멸망 당함
아케메네스 왕조 부흥을 강조하고 로마와 경쟁하며 세력 확장
조로아스터교를 국교로 정하고, 마니교 등장
페르시아를 공용어로 사용
비잔티움제국과의 전쟁과 왕실 내분으로 쇠약 -> 이슬람 세력에게 멸망
종교:
조로아스터교
불을 숭배 / 천국과 지옥, 죽은 자의 부활, 최후의 심판 교리
(유대교, 크리스트교, 이슬람교에 영향)
마니교
불교, 크리스트교 등의 외래 종교 + 조로아스터교의 융합
금욕주의, 정신주의적 성향이 강하여 이단으로 탄압받음
여러 민족의 문화 융합 ,국제적 성격
사산왕조 페르시아 vs 비잔티움 제국의 대립
새로운 교역로 발달 (메카, 메다나 등의 도시)
무함마드가 이슬람교 성립
622년 메카에서 메디나로 이주(헤지라)
630년 메카로 돌아옴
알라를 유일신으로 하는 신앙
경전: 쿠란
정통 칼리프 시대
우마이야 왕조
아바스 왕조
무함마드 사후 칼리프 선출
무아위야(칼리프)가 왕조 개창
아랍인 특권 페지
이집트, 사산왕조 페르시아 정복
수니파 vs 시아파
탈라스전투 승리(교통로 장악)
칼리프 선출을 둘러싼 내분
수도: 다마스쿠스
아랍어 공용어 지정, 화폐 통일
아랍인 우월주의 (불만 세력 증가)
수도: 바그다드
동서 무역의 중심지
국제문화 발전
몽골 훌라구 군에게 멸망
3명의 칼리프 병존
파티마 왕조
후우마이야 왕조
아바스왕조
9세기 중엽부터 튀르크계의 이주로 아바스왕조의 친위대와 이슬람 지방 정권의 부대로 활약
10세기 중반 셀주크 튀르크가 바그다드에 입성한 뒤 칼리프 보호,
아바스 왕조로부터 술탄으로 임명 + 정치적 실권을 위임받음.
예루살렘과 비잔티움 제국을 압박 -> 십자군 전쟁의 배경
탈라스 전투를 계기로 주요 동서 교역로를 이슬람상인이 장악
이슬람교는 상업 행위를 긍정적으로 여김!
쿠란의 가르침이 일상을 지배하는 종교중심 사회
넓은 지역의 종교, 언어 통일 (아랍어 = 이슬람 문화권 요소)
신학, 법학 발달 (그리스 철학으로 이슬람교 체계화)
아리스토텔레스의 저술 연구, 유럽에 전해져 스콜라 철학에 영향
모스크 양식, 아라베스크 무늬
튀르크 계통의 오스만족이 소아시아(아나톨리아) 지역에서 건국(1299)
발칸반도 대부분 지배, 술탄 칭호 사용
신항로 개척에 따른 지중해 항로 중요성 감소, 레판토 해전에서 패배
17세기 말 점차 쇠퇴
티마르제 (일종의 군사적 봉건제)
술탄의 직할지에 토지조사, 촌락에 거주하는 기병에게 토지에 대한 징세권(티마르)을 주고 그 대가로 말과 무기를 갖추어 전쟁에 참여하도록 한 제도
밀레트 제도
비이슬람교도를 종교, 종파 단위로 장악한 제도
각 밀레트에 오스만 제국이 임명한 최고 성직자가 집단 내부의 질서 유지와 인두세(지즈야) 징수의 책임을 짐
티무르가 몽골 제국의 부활을 내세우며 건국, 수도 사마르칸트(14세기 후반, 1370)
명 정복 활동 중 병사하자 후계자 분쟁으로 점차 쇠약해지다가 우즈베크인들에게 멸망
티무르 왕조가 쇠퇴하자 페르시아에서 이스마일 1세가 사파비 왕조를 세움 (1501)
페르시아인들의 민족 의식 부흥에 힘씀! (페르시아의 군주 칭호인 '샤' 사용)
시아파 이슬람교를 국교로 정함
수니파 국가인 오스만, 무굴 제국과 대립
아바스 1세 때 수도를 이스파한으로 옮기고 군사력 강화
쇠퇴: 17세기 말 이후 왕실 내부의 갈등과 혼란, 아프간족의 침입 등으로 쇠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