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troducing
Your new presentation assistant.
Refine, enhance, and tailor your content, source relevant images, and edit visuals quicker than ever before.
Trending searches
다문화 가정 개요
역사 - 성경/우리나라
당면한 이슈들
한국 교회의 섬김들
정의
규모
특징
가. 「재한외국인 처우 기본법」 제2조제3호의 결혼이민자와 「국적법」 제2조부터 제4조까지의 규정에 따라 대한민국 국적을 취득한 자로 이루어진 가족
나. 「국적법」 제3조 및 제4조에 따라 대한민국 국적을 취득한 자와 같은 법 제2조부터 제4조까지의 규정에 따라 대한민국 국적을 취득한 자로 이루어진 가족
- 다문화가정지원법 2조 1항
한국부모에게 태어난 자녀는 모두 하나의 문화에 속한 사람으로 간주하는 것!
2015년 기준 89만명
2020년 100만명 예상
한국 출생 남자와 결혼하는 비한국 출생 여자의 수가 그 반대의 경우보다 훨씬 많다.
언어/문화적 갈등
부부사이 큰 나이차
경제적 어려움
먼 고향 - 누군가에게
자녀 양육의 어려움
도시는 수, 지방은 비율
성경 속의 다문화 가정
1980년대부터
다문화 가족 형성의 배경 BY 장은정
글로벌 시대
결혼 경사 현상
높은 연령, 낮은 학력, 재혼, 농촌, 낮은 경제력의 한국 남자
성비 불균형
부수적으로, 지방 정부의 정책, 결혼이주회사, 한류의 영향
한국 사회에 어떻게 적응할 것인가?
어떻게 잘 성장할 것인가?
언어, 문화 차를 어떻게 극복할 것인가?
청소년기, 청년기
동화 ? 무지개?
방과후 공부방, 지역아동센터,
친정 나들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