물의 정수
실험 과정과 결과-1,2
실험동기 및 원리
느낀점과 보완할 점
공업폐수와 농업폐수
때문에 물이 오염되어
자연파괴 및 생태계파괴
실험목표
제 3국가에서도 현지의 재료로 쉽고 간단하게 만들어
바로 사용할 수 있는 간이정수기 실험을 해봐야겠다고 결심!
안트라 사이트
종합
결과 관찰
간이 정수기에 깨끗한 물을 넣어 3회이상 세척해준다.
정수된 물이 빠져나갈 구멍을
10개 정도 뚫는다.
메틸렌블루 용액을 준비하고 정수기를 통해 여과한다.
바닥에 거름종이를 깔고 입자가 작은 순으로 쌓아 올린다.
푸른 메틸렌블루 용액이 맑고 투명하게 정수되었다.
실생화 적용 실험
-연못물 정화
물에 떠있던 선태류나 불순물 등은 잘 걸러졌지만 여과된 물의 상태가 살짝 뿌옇고 미세한 입자가 떠다니는 것으로 보아 메틸렌블루용액의 정화와 비교했을 때 보단 미흡하다. 실생활에 사용하기에는 조금 부족하고 미흡하다고 볼 수 있음
더 다양한 여과체를 사용하고,각층마다 거즈를깔아 주었다면 더욱 효과적일 것이다
더러운 물을 깨끗하게 정수 할 수 있다는 것을 보고 놀라고 신기했음. 개발도상국의 제3세계 시민들이 알게되어 물을 정수하여 사용하면 좋겠다고 느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