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troducing
Your new presentation assistant.
Refine, enhance, and tailor your content, source relevant images, and edit visuals quicker than ever before.
Trending searches
· 고려모형에 대한 이론
- 기존 학교 교육 문제점
- 고려모형에서 지향하는
도덕교육이란?
- 고려모형을 뒷받침하는
근거
- 연구에 있어서 문제점
- 학생들에게 주의하는
일 가르치기
· 기존 학교 교육의 문제점
- 정보에 중점, 인지적 영역 중시
→ 인격적 정체성, 사회적 관계 문제 해결 소홀
· 이에 대한 대응책
- 정의적 영역 중시하는 고려모형
· 지양해야 되는 것
- 규칙, 금지사항 분석
· 지향해야 되는 것
- 자신, 타인과 관련된 인간 전반적인 품위 초점
· 1967 ~1971년 청년기 학생들 요구에 관한
집중연구에 기초
- '유쾌한 대우는 누군가의 욕구, 감정, 관심에
대한 고려를 나타내며, 불쾌한 대우는 그
반대를 나타낸다.'
→ 인간 욕구는 근본적으로 다른 사람들과
사이좋게 지내고, 사랑하고 사랑받는 것이라는 점, 이런 욕구를 충족하도록 돕는 일이 조직된 교육이 해야 될 일이라고 주장
① 현실보다 설문지상에 더 이타적인 경향
→ 자기꾸밈현상
② 연구와 실제와의 관계 파악 어려움
- 주의 기울이기를 배우는 일이 왜 효과적인가?
→ 내적 동기 부여, 자발적 행동이 목적
- 학생들에게 주의하는 일을 가르치기는 관찰학습과
사회모델링을 중시
→ 잠재적 교육과정과 연관해서 이해
· 고려모형에 대한 실제
- 다른 사람의 입장이
되어보기
· 다른 사람의 입장이
되어보기
- 감수성 카드의 절차
- 감수성 카드에서 주의점
- 결과
- 관점
· 감수성 카드 예시
- 당신은 당신의 가장 친한 친구가 그(혹은 그녀)를 괴롭게 하는 뭔가를 하고 있음을 알고 있다.
- 어린 동생 때문에 지치고 마음이 산란한 당신의 어머니는 당신이 말씀드리고자 하는 중요한 어떤 일을 귀담아 듣지 않으신다. 당신은 어떻게 하겠는가?
- 당신이 사촌에게 코트를 빌려준다. 코트를 돌려받을 때 옷섶에 담배에 그슬린 자국이 있다. 당신은 어떻게 하겠는가?
① 고려해야 할 상황을 소리 내어 읽거나 칠판에 쓴다.
② 학생들에게 이런 상황에는 어떻게 하겠는지를 종이에 기록하도록 요구한다.
③ 암시된 행동 과정을 묻거나 또는 종이들을 모은 다음 시작할 하나를 고른다.
④ 유사한 응답을 보인 한 집단의 학생들에게 상황, 응답, 이후에 일어남직하다고
생각한 바에 대하여 역할 놀이를 권한다.
⑤ 그 응답에 대한 그리고 역할 놀이의 어떤 다른 측면들에 대한 학급의 비판을 시작한다.
⑥ 역할 놀이나 학생들에 의해 암시된 상세 응답들에 대한 토론을 계속한다. 단, 관심이
강하게 유지되는 한에서만 그렇게 한다.
⑦ 학급과 교사의 순서로 다소간의 요약을 한다. 하지만 여기서 교사가 하나의 응답에
대하여 눈에 띄고 두드러지게 집착하는 일이 조장되어서는 안 된다.
- 카드에 대해 말하기, 역할놀이, 무언극, 글로 써서 묘사하기, 그리기, 집단으로 토론하기 해야 함
→ ' 정확한 개인적 및 사회적 학습이 언어상의 응답뿐만 아니라 정서상의 응답에도 달려있기 때문이다.'
- 도덕적 분류가 높은 수준을 지향하는 토론의 근거로 사용 X
71개 상황 카드
-> 역할 놀이, 무언극, 창조적 글쓰기, 토론, 예술 작업, 연구 조사 등
=> 제3자적*객관적 관점
63개 갈등 상황
→ 성에 대한 태도, 세대 갈등, 사회 계층에 대한 태도, 인종·문화·종교·정치적 갈등, 심리적 갈등
☞ 다른 사람 역할 취해보도록 격려
· 고려모형에 대한 실제
- 규칙 시험하기
· 규칙 시험하기
- 당신은 무엇을 예상하는가?
- 당신은 나를 누구라고 생각하는가?
- 누구의 관심사인가?
- 내가 왜 해야 하는가?
자신의 책무를 처리하는 중
경험하는 갈등
→ 규칙이라는 관념의 복잡성,
규칙 vs 규칙, 규칙 vs 기호,
도덕에 있어 결정의 중요성
사회적·도덕적 기대 / 법적 기대
1. 자녀에 소홀한 아버지
2. 의무 교육
3. 성인기의 법적 연령
4. 라커
5. 상관과 노동자
인격 인지 및 자아 규정에 관한 쟁점
1. 이미지 고정
2. 속죄양 만들기
3. 대중적 인물 이상화
4. 의사소통 붕괴
집단 관계
→ 집단 활동의 개인적·정치적 중요성을 발견하도록 함
권위의 탈신비화
1. 부모
2. 집단
3. 사회 규칙
4. 미디어
5. 신화
6. 학문
· 고려모형에 대한 실제
- 당신은 무슨 일을 했었겠는가?
· 당신은 무슨 일을 했었겠는가?
- 6개의 소책자
- 역사상의 극적인 순간들이
도덕적 숙고를 위한 도약판을 제공
- 6개의 소책자들로 구성
(각각은 서로 다른 무리의
역사적 형편들을 중심으로 구성)
- 위 6가지의 사건들을 포함한
자료들은 역사, 사회과, 영어 과목의 수업에 통합되어 사용될 수 있다.
· 고려모형에 대한 요약 및 평가
- 고려모형 정리
- 기본 입장
- 연구결과의 문제점
- 라이프라인 시리즈
- 한계점 / 비판점
- 도덕적 감정이 중심에 있는
도덕교육의 접근법
- 맥페일의 라이프라인 시리즈
(교사들의 지침: 고려하기 학습)
- 도덕교육은 총체적 인성을
받아들이는 것으로 이해
- 청소년들의 상호작용 관계를 분석한 결과?
: 인간의 기본적 요구는 다른 사람과 함께 지내고 싶고 사랑하고 또 사랑받고 싶어 하는데 있다.
- 청소년들의 자신에 대한 좋은 대우란?
: 자신의 욕구, 느낌 그리고 관심을 고려해주는 것
→ 인간 사이의 개방성과 상호성 그리고 온정적 고려가 절실히 필요함
→자기꾸밈 현상
- 민감성, 결과, 관점이라는 세 단위로 구성
- 학생들이 가정이나 학교, 이웃 생활에서 겪을 수 있는 인간관계적
문제들을 역할 놀이와 극적 재현을 활용하여 따뜻한 배려와 고려가
나타나는 태도와 행동을 형성하도록 도와주기 위한 것
- 학생들이 성인으로 다가감으로써 그들이 접하게 되는 보다 복잡한
문제들을 학교, 가정 그리고 직업이라는 사회 환경 속에서 제시하고 있다.
- 규칙과 개인, 당신은 무엇을 예상하는가?, 당신은 나를 누구라고
생각하는가?, 누구의 관심사인가?, 내가 왜 해야 하는가?
이 5가지 단원으로 구성
- 역사상 극적인 순간들이 도덕적 숙고를 위한 도약판으로 제공
- 생일, 고독한 감금, 체포, 거리의 장면, 비극, 병원에서의 광희.
이 6가지 소책자로 구성
라이프라인 자료
+ 다른 모형의 이론적 통찰력
= 제대로 된 도덕 수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