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troducing 

Prezi AI.

Your new presentation assistant.

Refine, enhance, and tailor your content, source relevant images, and edit visuals quicker than ever before.

Loading content…
Loading…
Transcript

문화예술교육개론

우리는 왜 문화예술교육전문가가

되려하는가?

얼떨결에 강의하게 된 최준영입니다.

미술과 주변을 배회했던 융합형 인간입니다.

?

강의 시작

지역사회 연계 문화예술교육에 관심 갖고 연구 및 발표 활동

최선을 다해 강의 잘 마무리 하겠습니다.

코로나-19로 달라지는 세계

가수앞에 뜬 영상관객들

https://www.youtube.com/watch?v=NBEbfvlBiiU

공연과 전시

전시도 온라인으로…코로나가 몰고 온 '디지털 미술관' 바람

https://www.youtube.com/watch?v=2NHlY9AfDbY

5개월 전 본격적인 새로운 시대가 시작되었다!

융합과 통합으로 가는 세계 (영역 파괴)

장르A+장르B=새로운 장르C

융합과 통합

예) 스마트폰

장르A, 장르B, 장르C, = 장르

예) UFC, 팬텀싱어

함께 공부할 내용

1. 문화예술교육이란?

함께 공부할 내용

2. 대한민국의 문화예술교육들!

3. 나도 문화예술 교육자!

문화예술교육 개론 교재 목차

제1부. 문화예술교육의 이론적 해석

교재 목차

제2부. 문화예술교육 정책의 이해

제3부. 문화예술교육 현장의 이해

제4부. 문화예술교육사의 역할과 정체성

강의 계획

강의계획

1주차. 문화예술교육개론 전반

2주차. 지역사회 문화예술교육 기획하기

3주차. 발표 및 정리

문화예술교육개론이란?

?

예술교육 전공학생과 예술관련 지도자를 위해 다양한 자원을 하나로 묶어 문화예술교육에 대한 전반적인 이해와 문화예술교육자로서의 기초역량을 개발하기 위한 학문.

문화예술교육개론

다양한 영역의 필수 내용을 간접 경험을 통해 학습하고, 양질의 문화예술교육을 위한 공통요건 학습에 목적이 있음.

문화예술교육은?

문화+예술+교육

지적 능력

Topic

예술교육 프로그램

문화 예술

필요로 하는 사람, 지역

공연, 전시, 교육, 복합

기능적 능력

문화 예술 활동을 통해 나의 고객이, 나의 지역사회가

행복하고 풍요로워질 수 있도록 돕는 행위

문화예술교육사는?

지역사회가 안고 있는 문제

대책 연구

대상 선정, 예술교육 기획

문화예술교육사는?

전문가 연결

프로그램 진행

직접 교육

문화예술교육사가 갖추어야 할 역량!

예술 역량

사회적 안목

기획 역량

소통 역량

운영자, 전문가 집단과의 네트워크 형성

프로그램 공동 개발

갖추어할 역량

사회적 문제를 인식하고 바라볼 수 있는 역량

문제 진단을 통한 가장 합리적인 프로그램 개발

기획서 작성, 예산 획보, 참가자 모집, 진행,

정리, 피드백

자신의 전공을 바탕으로 다른 예술 분야와

역사, 문화 등 사회 전반에 대한 폭넓은 지식

예술+기획력+ 진행+ 티칭

문화예술 교육의 범위와 대상

내용: 순수예술과 대중예술의 모든 영역

Topic

대상: 유아에서부터 청소년, 장년, 노인에 이르기까지 모두

장소: 학교, 공연장, 미술관, 문화센터, 주민센터 등

문화예술교육관련 기관

국가문화예술지원 시스템

https://www.ncas.or.kr/main/main.jsp

학교예술교육포털

http://artsedu.kice.re.kr/

Topic

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

https://www.arte.or.kr/index.do

문화예술강사지원

https://www.arte.or.kr/business/school/tutor/intro/index.do

Topic

연구 과제

학교 예술교육 포털

강의 과제

국가문화예술 지원 시스템

예술교육활동 분석 및 방향 제시

http://www.toyo.or.kr/programs/2020/area1/%EC%A0%84%EB%82%A8/area2/%EB%82%98%EC%A3%BC%EC%8B%9C/page/1 꿈다락토요문화학교

오늘 함께 이야기 나눌 내용들

1. 국가문화예술지원시스템, 학교예술교육포털, 학교문화예술교육진흥원

운영시스템의 바람직한 점과 보완해야할 점 및 대안

2. 체험프로그램 꿈길 사이트 운영 시스템 벤치마킹을 통한 문화예술교육 시스템의 운영 방안

3. 내가 지역문화예술교육 전문가가 된다면?

국가예술지원시스템

https://www.ncas.or.kr/main/main.jsp?target=mypage

피드백

바람직한 내용- 보완할 내용

1. 지역문화예술 육성-우리마을 아트페스티벌(지역민의 주도)

다양한 지역적 특성, 환경 고려한 프로그램 개발 필요

2. 예술단체 구성 프로젝트-재정 지원, 신속한 정보 제공

프로그램 운영 단기- 장기적 안목으로 학생들 교육 필요

Topic

3. 다양한 지역, 다양한 분야 프로그램 운영-기능 위주 사업 아닌 다양함

사업의 대부분이 대도시 중심 문제

4. 소외계층 문화예술 지원-다양한 문화복지정책 수행

더 많은 대기업의 프로그램 지원 참여 필요

5. 예술전공자, 문화예술사에게 필요한 사이트-스마트폰 어플 접근성 필요

실시간 소통 가능한 시스템 , 예술 전문 인력 지역별 참여 할 수있는 시스템 필요

http://artsedu.kofac.re.kr/

학교예술교육 포털

Topic

한국문화예술교육 진흥원

https://www.arte.or.kr/index.do#none

종합의견

바람직한 내용- 보완할 내용

6. 지역별 문화예술관련 운영 기관, 문화재단, 단체 프로그램 조회 공모 가능

-한 눈에 볼 수 있음

해외 예술지원 사이트 볼 수 없음

7. 보조금 지원사업 정보, 지원 신청 업무(온라인 환경)-기간별, 지역별 카테고리

Mou체결 단체만 연결(그 외 예술단체 연결 어려움)

Topic

8. 다양한 지역, 다양한 분야 프로그램 운영-기능 위주 사업 아닌 다양함

사업의 대부분이 대도시 중심 문제

9. 소외계층 문화예술 지원-다양한 문화복지정책 수행

더 많은 대기업의 프로그램 지원 참여 필요

10. 코로나-19 피해 예술인 기반 마련-민간 소극장 예술단체 활성화 도모

바람직한 내용- 보완할 내용

11. 세부적(유아, 문인, 지역예술인)나누어 공모-중복 사업 없게 함

지역별 공통 양식 필요

12. 실력과 재능 있는 예술인 기회주는 공모

웹디자인 완성도 떨어짐

Topic

13. 대구 축제학교 -축제 공연 예술 전문가 초청(공연 기획, 디자인)

전국 단위 기회주었으면 좋겠음

14. 절은 예술가들을 위한 창작 플렛폼 제공-(인사미술공ㄷ간, 한국창작예술아카데미)

일반인, 다양한 계층 참여기회 확대 필요

15. 진행중인 공모뿐 아니라 마감된 공모, 공모결과도 볼수 있게 운영 바람-

바람직한 내용- 보완할 내용

16. 보금금 지원 업무의 전국 표준화와 지원 사업의 통계 정보 공유 바람직함

17. 코로나-19극복 예술 배너사업-기간별, 지역별 카테고리

유튜브, sns상에서도 볼 수 있도록 사업 운영되었으면.

Topic

18 .국가예술지원 시스템 많이 알려져있지 않고 지원받는것도 까다롭다.-

젊은 예술가 기회 방안 마련 필요

19. 문화예술 장르별, 분야별 배분-균등하지 않은 부분에대한 공정성 문제

더 융합 프로그램 참여 어려움 야기, 전문화된 정책방향 설정-지원 방식 조정 필요

20. 문화예술지도-지도 표기, 행정구역단위 표기 두 방식 운영 필요

바람직한 내용- 보완할 내용

21. 사업 공모 최소 3년 활동 인증에대한 문제 제기

-젊은 에술가 접근 어려움

Topic

가장 이상적인 대안은?

https://www.ggoomgil.go.kr

진로체험 사이트 '꿈길' 벤치마킹

정부, 관련 기관, 예술 운영단체

예총, 음악협회, 미술협회 등

대안은

통합

예술가, 예술교육자

지방자치단체, 공연장, 미술관, 문화재단

예술 소비자-학생, 일반

그럼 우리는 어떤 전문가가 되어야할까?

문화예술교육사 2급 자격증 +

( ) =

문화예술교육 전문가

경험

공연 전시 경험, 교육경험,

협업 경험, 기획 경험

어떤 전문가?

예술 경영, 행정 등 학위

장기적인 직업의 방향은?

문화예술교육 컨설턴트

문화예술교육 디자이너

지역사회나 기관, 또는 단체의 사회문제 진단-문화예술 처방

미래에는?

사회복지사가 동사무소나 시청에 채용되는것처럼

문화예술교육사가 동사무소나 시청에 채용되어 지역사회의

문화예술 프로그램을 기획하며 지역민들의 행복을 책임져야함

우리의 준비는?

끊임없이 자료를 수집하라!-기발하고 멋진 프로그램 보관

(나만의 밴드, 노트 기록)

아이디어 저장하는 습관-TV하나, 책 하나를 보더라도 연결고리를 찾아라!

노력

주변과 지역사회에 관심을 가져라!

다른 예술들과 친해져라! 다양한 자격증을 따라!

가르치는 경험의 기회를 가져라!

과제

내가 사는 지역사회나 동네에 필요한 예술교육 프로그램 기획하기

과제

1번 과제

지역사회 인구, 지역의 특징, 예술 인프라(공연장, 전시장),

문화예술 프로그램 현황(시 단위, 동 단위),

예술 소외 계층 또는 문화예술 프로그램 필요 대상자 파악

Learn more about creating dynamic, engaging presentations with Prez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