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troducing 

Prezi AI.

Your new presentation assistant.

Refine, enhance, and tailor your content, source relevant images, and edit visuals quicker than ever before.

Loading…
Transcript

$

!

%

언특 국특

복습 퀴즈

남해고 2학년 /오푸름

1. 언어의 기능을 한 문장으로 나타낸다면?

언어

특성

언어는 인간을 인간답게 만드는 OO조건이자 인류의 문화유산을 OO하고 발전하게 만드는 OOO이다.

언어의 기능

a

언어는 인간을 인간답게 만드는 필수 조건이자 인류의 문화유산을 계승하고 발전하게 만드는

원동력이다.

2. 다음은 '언어와 사고'에 관한 설명이다.

빈 칸을 채우면?

언어

특성

언어와 사고 중에서 어느 것이 먼저인지 정확히 말하기는 어렵지만, 언어와 사고가 OOOO을 하는 것은 분명하다.

a

언어와 사고 중에서 어느 것이 먼저인지 정확히 말하기는 어렵지만, 언어와 사고가 상호작용을 하는 것은 분명하다.

언어와 사고

1.

어린이는 언어 능력이 발달하면서 OOO도 함께 신장되고, 사고력이 높아지면 OO능력도 더욱 높아진다.

2.

KEY

아프리카 서부에 있는 라이베리아의 바사인들은 무지개 색을 두 가지로 구별한다. 무지개 색을 분류하는 말이 두 가지이기 때문이다.

▶ 언어가 우리의 OO에 영향을 미친다.

BUT,

어떤 색깔을 지칭하는 단어가 없다고 해서 그 색깔을 전혀 인식할 수 없는 것은 아니다.

BUT

언어가(언어만이) 우리의 OO를 지배하는 것만은 아니다.

2. 다음은 '언어와 사회'에 관한 설명이다.

빈 칸을 채우면?

언어

특성

@

1) 언어는 사람이 살아가는 OO

구조와 밀접한 관계를 맺는다.

2) 지역 방언 ☞ 지역 OO

사회 방언 ☞ OO의 특성

(계층, 연령, OO, 성별)

KEY

'다슬기'의 지역 방언

강원도 : 꼴팽이, 꼴뱅이

전라도 : 대사리

경남 : 고둥, 민물고동

경북 : 고디

충청도 : 올갱이

동일한 대상이라도 사회에 따라 OO가 다를 수 있다.

4. 다음은 '언어와 문화'에 관한 설명이다.

빈 칸을 채우면?

1) 언어는 그 언어를 사용하는 민족의 독특하고 고유한 문화를 OO한다.

언어

특성

#

2) 농경 문화 ; 쌀(4), 농기구

언어에는 언어 OOO의

문화가 담겨 있다.

1. 다음 문장을 통해 알 수 있는

국어의 특성은 무엇인지 쓰시오.

국어

특성

지혜가 책을 빌렸다.

a.

지혜가 책을 빌렸다.

a

조사와 어미가 발달했다.

= 국어의 OOO적 특성

Q2.

2. 국어 문장의 특성을 어순을 중심으로 영어와 비교하여

서술하시오. (단, 다음 단어를 모두 활용할 것.)

바꾸다

목적어

국어

특성

주어

문장과 담화의 특성

서술어

자유롭다

성분

문장

OO 중심의 언어이다.

명사로 문장을 끝낼 수 없다.

ㅁA.

국어 문장은 주어-서술어-목적어의 어순인

영어와 달리 '주어-목적어-서술어'의 어순으로 나타난다. 또한 국어의 어순은 서술어가 주로 문장의 맨 뒤에 오지만, 다른 성분들은 다소

자유롭게 위치를 바꿀 수 있다.

3. 다음 설명으로 알 수 있는

국어 문장의 특성은?

국어에서는 중심이 되는 말이 뒤에 오는 경향이 드러난다. 이러한 경향은 문장에서 서술어가 원칙적으로 맨 뒤에 온다는 특성에서도 잘 드러난다.

국어

특성

Q3.

국어는 첨가어적 특성을 지닌다.

문장과 담화의 특성

보조사가 발달하여 의미를 더한다.

국어는 주어-목적어-서술어의 어순이다.

국어는 일정한 맥락에서 주어를 생략한다.

국어에서는 꾸미는 말이 대개 꾸밈을 받는 말 앞에 온다.

Q4.

4. 다음 대화에 두드러지는 국어 문장의 특성은?

국어

특성

문장과 담화의 특성

정우 : 나는 성격도 좋은 것 같아.

수연 : 응?

정우 : 나는 성격도 좋다구.

수연 : '성격은 좋아'라고 해야 맞는 말 아닐까?

해준 : 혹은 '성격만 좋아'라고 하거나.

정우 : 뭐?!

A.

"보조사가 발달되어 있다."

화자의 심리를 나타내는 역할을 수행함.

5. 다음 제시된 문장을 통해

알 수 있는 국어의 특성을

서술하시오.

(단, 제시된 문장을 바탕으로

서술할 것.)

국어

특성

Q5.

문장과 담화의 특성

할머니께서는 피자를 좋아하신다.

My grandmother likes pizza.

a

할머니께서는 피자를 좋아하신다.

a.

영어 문장과 달리 국어 문장에서는 조사 '께서', 선어말어미 '-시-', 어말 어미 '-ㅂ니다'의 높임 표현이 사용된 것으로 보아 국어에는 높임 표현이 발달한 것을 알 수 있다.

6. 국어의 어휘는 고유어, 한자어,

외래어로 나눌 수 있다. 다음 설명에

해당하는 것은?

국어

특성

어휘의 특성

Q6.

붉은색을 표현하는 어휘가 영어에서는 'RED'하나인데 반해 국어에서는 발갛다, 벌겋다, 빨갛다, 뻘겋다, 새빨갛다, 시뻘겋다, 붉다, 불긋불긋하다 등과 같이 다양하다. 이를 통해 미묘한 어감의 차이를 드러낸다.

+

"고유어"에는

의성어와 의태어 등의 상징어가 발달

"그는 방긋 웃었다."와 "손을 덥석 잡았다."에서

사용된 OOO와,

"바삭바삭한 과자"와 "참새가 짹짹 우는 소리"에서

사용된 OOO는

모두 문장의 의미를 구체화시키고

말맛을 더해주는 효과를 지님.

FIN.

7. 국어 음운의 특성을 세 가지로 정리하려고 한다.

올바르게 다시 나열하시오.

마찰음이

독특한

많지 않다.

첫소리에

음운

대립이

오지

못한다.

국어

특성

음운의 특성

있다.

다른

언어에

비해

둘 이상의 자음이

Learn more about creating dynamic, engaging presentations with Prez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