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troducing 

Prezi AI.

Your new presentation assistant.

Refine, enhance, and tailor your content, source relevant images, and edit visuals quicker than ever before.

Loading…
Transcript

디자인교육론

1. 강의계획 설명

2. 디자인 교과의 필요성

3. 디자인 이란?

4. 한국 중등학교 디자인 교육과정(2015 개정 미술과/전문교과 교육과정)

5. 미술교육과 디자인교육(과정)의 성격, 목표, 내용, 체계

6. 미술 교육과 디자인 교육, 미술 교육의 발전사

7. 미술표현의 발달단계와 디자인 개념의 발생

8. 중간고사 *과제 대체

9. Bauhaus의 기초 교육과정

10. 디자인의 특성1_조형성

11. 디자인의 특성2_창의성 1조

12. 디자인의 특성3_디자인적 사고 4조

13. 디자인의 특성4_통합적 사고 2조

14. 디자인교육과 융합_디자인교과와 다른 교과의 융합 3조

15. 기말고사

교육

과정

1. 내가 겪은 초 / 중 / 고 디자인과 관련된 수업의

진행 과정을 분석하고 정리 해 보자. -중간고사 대체 개별과제-

- 교과서, 학생, 지도방법, 과목(단원), 목표, 내용,

이론, 실습설명, 차시 및 시간, 실습과정,

결과물 도출, 감상 , 평가체계 등

토론/실습

2. 미술과 디자인의 공통점과 차이점은? (토론)

- 공통점 :

- 차이점 :

1. 초 / 중 / 고 수업 중 디자인과 관련된 수업이 있었는가?

- 과목, 내용, 결과물, 수업방식, 만족도

2. 디자인 수업이 교과로서 필요한가?

2주차 토론

- 필요/불필요 하다면 그 이유는 무엇인가?

천재교육 초등 3~4학년 미술 교과서 목차

천재교육 고등 미술 교과서 목차

천재교육 중등 1~2 학년 미술 교과서 목차

천재교육 초등 5~6학년 미술 교과서 목차

미술과

디자인

영남대학교 시각디자인학과 전공연혁

산업혁명 직후의 디자인은 순수미술에서 획득한 미술적 요소를 산업에 응용하는 픽토리얼 디자인으로 이해하였으나, 19세기부터는 기계·기술의 발달에 따른 대량생산과 기능주의 철학에 입각한 새로운 개념의 디자인으로서 이해되기 시작[네이버 지식백과] 디자인 [Design] (학문명백과 : 예술체육, 조명식)

토론 : 미술과 디자인의 공통점과 차이점

J.Ruskin

동덕여대 시각, 실내디자인 학과 연혁

산업 없는 생활은 죄악이고

미술 없는 산업은 야만이다.

19세기 심미적 이상주의 사상에 뿌리

미술의 조건

표현, 사상, 작품

디자인의 조건

시각문화

심미성

조형성

예술은 원형을 만들며, 디자인은 연속물을 만든다.

예술은 스스로를 위해 존재한다.

디자인은 계약을 통한 서비스이다.

디자인은 객관성을 요구한다.

예술은 주관적이다.

디자인은 지적 타협이다.

예술은 타협을 배제한다

디자인은 현실을 지향한다.

예술은 유토피아를 지향한다.

디자인은 이해할 수 있어야한다.

예술은 그럴 필요가 없다.

디자인은 확고한 관습에서 출발한다.

예술은 관습을 탈피한다."

- 쿠르트 바이데만 -

미술과 디자인의

공통점, 차이점

기능성

심미성

경제성

독창성

3주차 토론

2015

개정교육과정

교과서구매사이트

https://www.ktbookmall.com/user/shop/01_normal/buy_intro__high.do?cat=13&s=%EB%94%94%EC%9E%90%EC%9D%B8

NCS 교과서

https://www.ncs.go.kr/unity/hth01/hth0103/selectHighSchoolCourseList2022.do?pageIndex=1&searchKeyword=%EB%94%94%EC%9E%90%EC%9D%B8

교육과정(총론,각론) http://ncic.re.kr/mobile.dwn.ogf.inventoryList.do

1907년 헤르만 무테지우스가 주창하여 뮌헨에서 설립된 건축가, 디자이너의

단체. 공업미술과 디자인의 질을 향상

시키고 수출을 진흥시키는 것이 목적. 유럽 여러나라에도 영향을 미쳤으나, 1933년 나치정권에 의해 해산

Bauhaus의 설립

- 발터 그로피우스에 의해 1919년 독일 바이마르시에 설립

-'예술'과 '기술'의 통합 영국의 '미술공예운동'과 독일의 '공작연맹' 영향

- 새 '건축술'의 확립과 건축가 육성을 목적으로 설립된 종합조형학교 겸 연구소

- 그로피우스가 말한 '건축' : 협의의 건축기술이 아닌 건축, 건물공간, 가구를

포함한 인간 환경 전체의 조형을 뜻하며 중세 대성당과 같이 건축을 현대 종합

예술로 차원을 높이는 것이 목표였다.

Bauhaus

기초교육과정

1. 바우하우스의 설립과 기초과정 설치

2. Johannes Itten 초빙

2. Moholy Nagy 초빙

3. 교육과정으로서 '기초과정' 설치

-그로피우스에 의해 초빙된 이튼, 핑거, 마르크스 등

■ 초창기 바우하우스의 이념 : 새로운 건축 추구

-이튼이 1923년 바우하우스를 떠나고 후임으로 헝가리 화가 모홀리나기가 예비과정을 담당.

그 결과 합리주의+기능주의 중심적 교육 경향 대두

- 바우하우스 초기 교육내용 :

· 기초교육의 합리주의 성향, 방법의 표현주의 성향

■ 바우하우스 기초과정 의의와 목적

■ 요하네스 이텐(스위스 예술가, 이론가, 교육자 1888.11.11.~1967.5.27)

■ 바우하우스 기초과정

- 바우하우스 교육은 [디자인/건축]의 교육인 동시에 [디자인에 의한교육]명제

- 1919년 바우하우스의 교수가 되어 예비과정/기초과정을 담당

- 이텐의 초빙과 교육과정에서 기초과정 설치

- 이텐의 기초과정 운영(1919-1923)

- 모홀리나기와 요제프 알베르스, 바실리 칸딘스키 등이 이어서 맡게됨.

"모든 조형활동의 최종적인 목표는 건축이다"

그러나, 이텐의 '정신주의적'이라 할 수 있는 교육이념이 그로피우스와 달라 23년 해고

(신비주의적, 정신주의적, 예술적, 수공업적) 경향

기초과정

(예비과정)

전문과정

건축과정

바우하우스 역사

제 1기 바이마르 바우하우스

제 2기 데사우 바우하우스

제 3기 베를린 바우하우스

제 4기 뉴 바우하우스

·교육자, 예술가 라기 보다 종교가적 성향이 강함

·스위스로 돌아가 1926년 베를린 학교 설립 후 스위스에 머뭄

·이텐은 바우하우스와 자신의 학교에 있어 독자의 '조형론'과 '색채론'을 주장하여 전개

- 모든 학생을 위한 바우하우스의 '기초과정' 설치 주장

- 1932 나치 탄압에 의해 폐교(미국으로 망명)

이튼 방침 초기 교육내용 : 합리주의(기능주의적) + 표현주의(신비주의, 정신주의, 예술적 수공예 혼합)

건축을 예술의 우위에 두고, 모든 조형활동을 통합하여 조형활동의 기반으로서 수공예(예술)와 기계의 조화를 목표

핀란드의 디자인 교육

https://terms.naver.com/entry.nhn?docId=2440280&cid=51661&categoryId=51662

디자인은 인간의 삶과 밀접하게 연결되어 있다.

디자인은 사물, 인간, 사회, 자연 등 모든 분야에서 아름다움을 행하는 작업이며, 디자인 교육은 이런것을 종합하고, 새로운

창조물을 만드는 능력을 길러주는 역할을 한다.

∴인간능력, 문화의 발달과 형성에 기여

디자인 교과의 필요성

1. 시각예술

시각예술과 미술교육의 관계성

미술과 같이 인간의 직접적인 시각을 동원하지 않으면 안되는 예술

1)미술교육과 시각 : '본다'는 절대성을 가진 예술

시각에 의해 인식되는 작품을 제작하는 표현 형식을 취한다

3) 현대사회의 시각문화 환경에서의 "Visual Literacy"

능력육성

- 보다=알다=인식,사고

(청각예술:음악, 언어예술:문예,제감각의 종합:무용,연극,영화)

영화 연극 무용

2)미술교육(표현,감상)-시지각 능력, '미적 지각능력'의 육성

이와 같이 우리를 둘러싸고 있는 시각 매체들은 순수미술에 관한 것이기 보다 오히려 여러가지 대중문화들이 중심을

이루고 있는 것이다.

아른하임 미술과 시지각(생각하고 사고하는), 보이지 않는 것도 볼 수 있도록...

인간 시지각 능력의 확장

미술이 이들 예술과 다른점은 어떤점일까?

?

조형예술로서의 미술

완성과정? (수용과정)

?

인간

?

"예술은 인간의 미적지각을 더욱 더

예리하고 민감하게 만들어 준다"

kagan, M(1975). 미학강의 p.232

?

현대 인간의 환경

1.시각예술 2.공간예술 3.물질예술

4.완성예술 5.조형예술

(대개념/뮤즈예술-문예, 음악, 무용, 연극 - 시간예술)

2. 공간예술

4. 완성예술

5. 조형예술

10주차 조별 발표

3. 물질예술

미술(디자인)의 특성

- 예술작품

음악, 문학

- 에른스트 모이만(Ernst Meumann) 독일 교육자

내용이 시간의 추이에 따라 전개될 수 있는 예술.

상연예술 연기자에 의해 상연(현실화) 되지 않으면 완성되지 않는 예술

동일작품이더라도, 상연자에 따라 달라짐.

조형예술= <물질>재료

완성예술 작품이 객관적, 공간적, 물질적, 항상적 대상으로 존재

2D 3D

- 시간예술 :

- 공간예술 :

- 시공간(종합)예술 :

문예 : 언어 음악 : 음, 박자 무용 : 리듬적 운동 영화 : 음, 언어, 빛

Communication 과정

조형예술

일정한 공간을 구성하는 일에 의하여 형상화되는 예술.

- 니콜라이 하르트만(Nicolai Hartmann) 독일 철학자

디자이너(예술가) ↔ 완성작 ↔ 수용자

영화, 영상, 연극, 무용

정신적 내용이 영속성을 가진 실재적인 매개물, 재료 속에서 형성됨으로써

시대를 초월하여 영속되는 성질을 획득

시간적 흐름과 공간적 연장의 조건 속에서 표현되는 예술.

완성작품의 수용과 해석과정, 해석 배경의 문제/이해

작품이 물질적 재료를 매개로 실재적 공간성을 유지

물질 물체를 이루고 있는 재료, 또는 그 본바탕

공간지각 물질재료를 활용하여 공간에 일정 형을 표현

미술 / 디자인 : 물질(재료, 용구)을 다루는 능력(기술)을 기르는 교육

미술 / 디자인 : 공간지각 능력 발달 육성

제작자로부터 독립하여 완성품으로 존재

*디자인 교육에서는 어떤 재료와 용구를 주로 사용하는가?

학과별 분석 : 시각, 산업, 생활 제품 디자인 등

*물질(재료, 용구)를 사용하여 작품을 제작할 시, 교육적 측면

에서 어떤 현상이 발생하는가?

물체의 대소, 장단, 고저, 원근, 깊이, 방향, 형상, 자세, 위치 등

물체가 3차원 공간을 점하고 있는 상태 관계를 빠르고 정확하게

인지하는 능력 발달.

∴ 이러한 특성에 의해 인간 능력의 발달과 형성에 기여

시간예술(영화, 연극, 무용)-공간성을 가지면서 시간적으로 발전

-이미지를 효과적으로 표현하기 위한 물질 선택과 취급 능력의 육성

-물질 자체의 미를 발견하는 감각과 지각 능력의 육성

-물질, 용구를 다루는 능력(기술)을 기르는 교육

가시적인 것, 비가시적인 것→

실체화, 형상화하는 유일 학문

시공간예술

재생예술=상연예술

완성예술

공간예술

재생 불필요

(색, 형, 재료로 공간적 형상화)

미술(디자인)의 속성으로서의 교과성 : 창의적인 발상력, 구상력, 표현력에 의한 조형 = 창조성

예술교육의 속성(감상)으로서의 교과성 : 인간의 내적 감정에 작용 = 창의성, 정서성, 미적감수성

디자인의 특성

시각문화 이해로서의 교과성 : 시각환경의 Literacy, 시각성 - 시각대상에 대한 직관성/비주얼 리터러시,

"작품 또는 인식 등의 시각적인 시각성"

출처 : 박휘락 미술논리 및 논술지도 수업 中

시각적 문해력(visual literacy)은 정보를 이미지의 형태로 해석하고 협의하고 의미를 만드는 능력이다. 이것은 이미지는 “읽힐 수 있다”, 그리고 의미는 읽기의 과정을 통해 소통될 수 있다는 아이디어에 기초하고 있다.[위키백과]

'인간'의 본성과 '조형' 본능

인류의 특성

정치 Homo politics

언어 Homo loguens

놀이(문화) Homo ludens

미적인 인간 Homo Aestheticus

Homo Sapoens

공작인(도구를 만드는 인류) = Homo faber

최초로 도구를 만든 인류 = Homo habilis

놀이와 상상 그리고 창조적 힘으로 끝없이 삶을 허구와 이미지로 충만하게 하는 인류 = Homo pictor

직립보행

인간의 조형적 사고의 시작

도구를 만든다는 사고

조형 형태를 기능과 일치 시킨다는 사고

기능과 미의 추구

날카로운 실용성(用)+좌우 대칭의 균형미(美)

출처 : 동아일보

조형성

인간 손의 구조적 특성 : 모지대향성

* 손의 기능에 대해 설명해 보자

인간의 발달 수단으로서 손과 두뇌의 상보성을 촉진하는 조형교육의 중요성

원리

Design

Q. 디자인 할 때 필요한것?

조형요소, 원리

1. 대상(목적) 2. 표현

형태

점,선,면,색,형,형태,

명암,질감,양감,공간,

동세,농담,기운,여백 등

조형

요소

움직임의 자세

조형요소와 원리

조형

원리

통일,변화,균형,조화,

대비,강조,비례,율동 등

일정한 규칙을 따라

주기적으로 움직임

조형 요소 분류

조형요소와 원리

조형요소 = 재료

조형원리 = 요리과정

조형요소와 원리

조형요소 = 재료

조형원리 = 요리과정

조형요소 분류

1.개념요소 2.시각요소 3.상관요소

눈에 보이지 않고

개념으로 이해

실제 눈을 통해

지각

각 요소의 결합으로

연관된 요소(2개 이상이 어울어져 구현)

이인성 풍경

https://mud.toox.co.kr/bbs/board.php?bo_table=board_3&wr_id=164

점, 선, 면

형, 크기, 색채, 질감

방향, 위치, 공간, 중량

조형요소 분류 - 1.점

- 길이, 너비, 깊이, 차원X. 추상적이고 개념적인 가상의 존재

- 크기가 없고 위치만 지님

- 시각적으로 인지되므로 조형요소중 가장 원초적 의미를 가짐

·

·

조형요소 분류 - 2.선

- 점의 연속 반복, 움직임 등에 의해 발생, 너비와 길이가 중요

- 시각적으로 존재하나 추상적인것으로 인간에 의해 표현

- 형태를 그리는 도식의 역할

※실습 : 선을 이용하여 다양한 패턴 만들기

젠탱글 : '젠(zen:선)'과 '탱글(tangle:얽히다)'의 합성어

선이 서로 얽혀 이뤄진 모양의 패턴을 그리는 낙서

http://picdeer.com/eunjeong_9sim

조형요소 분류 - 3.면

- 넓이를 가지고 공간과 독립된 영역 구획

- 원근감, 질감 포함 색채 효과에 의해 공간감, 입체감 구현

조형요소 분류 - 4.색

색채와 감정, 연상과 상징, 조화

조형요소 분류 - 4.색

색의 3속성- 명도 : 밝고 어두운 정도

채도 : 맑고 탁한 정도(순수, 선명도)

색상 : 색의 고유한 속성

색상대비(색이 서로 영향을 주는 것)

https://terms.naver.com/entry.nhn?docId=960339&cid=47310&categoryId=47310&expCategoryId=47310

조형요소 분류 - 4.색

색채와 감정, 연상과 상징, 조화

http://news.jtbc.joins.com/article/ArticlePrint.aspx?news_id=NB10408049

https://terms.naver.com/entry.nhn?docId=2797629&cid=55595&categoryId=55595

황은 토우주의 중심이라 하여 가장 고귀한 색으로 취급되어 임금의 옷을 만들었다.

청은 목만물이 생성하는 봄의 색, 귀신을 물리치고 복을 비는 색으로 쓰였다.

백은 금결백과 진실, 삶, 순결 등을 뜻하기 때문에 우리 민족은 예로부터 흰 옷을 즐겨입었다.

적은 화생성과 창조, 정열과 애정, 적극성을 뜻하여 가장 강한 벽사의 빛깔로 쓰였다.

흑은 수인간의 지혜를 관장한다고 생각했다.

https://news.joins.com/article/7642262

조형요소 분류 - 4.색

색채와 감정, 연상과 상징, 조화

http://www.iricolor.com/index3.html

※실습 : 형용사 이미지 스케일에서 떠오르는 색상 조합 후

색종이를 오려 붙여보기

조형요소 분류 - 4.색

1. 1주차 수업 느낌과 내 상황(감정)을 형용사로 표현

2. 색종이의 색과, 면을 활용하여 표현

조형 원리 분류

조형요소와 원리

조형요소 = 재료

조형원리 = 요리과정

조형요소와 원리

조형요소 = 재료

조형원리 = 요리과정

조형원리 분류

1.비슷함 2.다름 3.기타

균형, 비례

통일, 반복, 조화, 리듬,점이, 대칭

변화, 대비, 강조, 긴장, 변형, 동세

이인성 풍경

조형원리 분류 _ 1. 비슷함[통일]

시각적 질서와 안정감을 주는 하나됨

①게슈탈트 법칙

https://vimeo.com/154483592

[단순성의 법칙]

[공동운명의 법칙]

사람은 복잡한 이미지를

단순한 형태로 인지함.

움직이는 요소들의 방향이 같은

것을 묶어 한 요인으로 지각.

[대칭성의 법칙]

[공동영역의 법칙]

닫힌 공간에 존재하는 요소들은

그룹의 일부분으로 인식됨.

사람은 사물 한가운데를 중심

으로, 대칭 형태로 보는 경향이

있다.

조형원리 분류 _ 1. 비슷함[반복]

화면 내에 특정한 요소(이미지, 색상, 형태, 텍스처, 방향, 각도 등)를 지속적으로 반복시킴으로써 전체적으로 유사성을 느낄 수 있음.

형태와 색, 방향, 각도의 반복

단점 : 형태를 지나치게 통일 시키면 지루함, 실증이 날 수 있음.

조형원리 분류 _ 1. 비슷함[조화]

서로 다른 요소들 사이의 어울림과 혼합

다양성을 가진 통일성

비슷한 요소들의 배치, 결합을 통해

요소들이 서로 분리되어 보이지 않아야함.

각 요소가 전체적으로 통일된 효과를 발휘할 때 나타남.

조형원리 분류 _ 1. 비슷함[율동,리듬]

규직적 반복이 만들어 내는 시각적 리듬

같거나 유사한 요소들의 뚜렷한 반복에 의해 발생. 반복, 방사, 점이 활용

조형원리 분류 _ 1. 비슷함[점이]

차차 자리를 옮아가다 - 점진적인 변화, 그라데이션

점진적 변화

차차 자리를 옮아가며 변화

그라데이션

운일암-1/ 1989/120X200cm

포마 노경상 산수화

조형원리 분류 _ 1. 비슷함[대칭]

차차 자리를 옮아가다 - 점진적인 변화, 그라데이션

중심축을 기준으로

같은형태가 배치

자연의 패턴, 서로 바라보며 짝을 이룸

조형원리 분류 _ 2. 다름[변화, 변형]

변화

단조로움을 피하기 위해

형태, 색채, 크기 등의 다양함을 주는 것.

변형

형상이나 모양, 부피가 달라짐.

조형원리 분류 _ 2. 다름[대비]

서로 반대되는 요소가 같이 있을 때

강한 효과. 역동적이고 극적인 아름다움.

라파엘로 아테네 학당, 프레스코 벽화 (579.5×823.5cm)

청록색이 보임

조형원리 분류 _ 2. 다름[강조]

전체 속에서 특정 요소를 부각하거나

시선을 집중 시킴으로 주제를 강화.

확대, 왜곡, 대비, 분리 등에 의해 발생.

조형원리 분류 _ 2. 다름[긴장]

긴(팽팽함, 다급함,움츠림)

장(팽팽함, 당기다)

조형원리 분류 _ 2. 다름[동세]

https://terms.naver.com/entry.nhn?docId=3569192&cid=58862&categoryId=58867

정지된 화면에서 움직임을 느낄 수 있는 것.

- 경험을 통한 예측가능 동세

- 상황인지 및 공감을 통한 감정이입 동세

- 조형적 요소들에 의한 동세

- 흐린 윤곽과 모호한 형태에 의한 동세

- 중복이미지에 의한 동세

조형원리 분류 _ 3. 기타[균형]

인간의 선천적인 본능, 균형감각

시각적인 무게감의 동등한 분배.

한쪽으로 기울어지지 않은 평형 상태, (상하좌우)

라파엘로 아테네 학당, 프레스코 벽화 (579.5×823.5cm)

https://terms.naver.com/entry.nhn?docId=960342&cid=47310&categoryId=47310

조형원리 분류 _ 3. 기타[비례]

https://terms.naver.com/entry.nhn?docId=960342&cid=47310&categoryId=47310

전체와 어떤 부분,

부분들 간의 크기 관계

비례가좋으면 저절로 균형이 잡힘

디자인은 우리 주변

어디에나 있어.

DESIGN

그냥 보기좋은것 화려한 것 등

디자인은 예쁘게

꾸미는것 아닌가요?

造形

Design

만들 조,형상 형

계획하다, 설계다하다

조형은 형체를

만드는 것을 뜻해.

사용 목적에 따라 작품이나 제품의 모양, 색상, 소재 등에 대해 계획 또는 도안하는 것

공부를 하고있었는데

의자가 고장이났네?

의자 판매점에는 다양한

의자가 있었다. 어떤것을

사야할까?

디자인은 우리의 생활을 보다 편리하고 쾌적하고 아름답게 만들기 위한

계획이나 설계를 포함하는 모든 조형 행위

교실안, 내주변

디자인 된것들은

무엇이 있을까?

디자인 작품이 실생활에서 사용 가능하고, 사용 목적에 맞아야 한다는 거야. 용도에 맞는 재료를 사용했는지, 사용 목적에 적합한 구조와 형태를 지니고 있는지를 살펴보는 거지.

디자인은

우리의 삶을

편리하고,

쓸모있고,

아름답게

만들어

많은 도움이

된다.

디자인에는

조건이 있어.

디자인 작품의 기능과 조화된 형태와 색, 재질 등의 아름다움을 뜻해. 디자인의 아름다움은 소비자가 공감할 수 있어야 하기 때문에 시대성이나 민족성, 개인성 등이 복합적으로 나타나.

실용성(합목적성)

조형성(심미성)

경제성(생산성)

독창성(창의성)

디자인을 재료의 선택부터 제품이 완성되는 전 과정에 걸쳐 가장 합리적이고 경제적인 효과를 얻을 수 있어야 한다는 거야.

독창성은 다양한 아이디어를 내거나 남들과 다르게 생각할 수 있는 능력으로, 현대 디자인에 와서 크게 강조되고 있는 부분이야.

디자인의 분야

디자인의 다양한 분야

디자인은 현재

목적과 결과물에 따라

시각,제품,환경 등으로

나누고 있어.

Service Design Night

다양한

디자인 분야

시각디자인

visual communication

- 매체를 통해 시각에 전달함으로써 실용적인 정보 전달을 목적으로 한 디자인

- 대중을 상대로 시각 소통이 목적

- 인쇄, 영상, 전시 등의 시각매체를 이용해 정보를 빠르고 쉽게 전달

우리가 지하철을 타고 쉽게 어디든 갈 수 있고, 최신형 스마트폰이나 컴퓨터를 쉽게 쓸 수 있는 이유는 시각디자인이 있기 때문입니다.

건축이든, 패션이든, 음악이든

시각디자인은 어디에나 있습니다.

출처:한양사이버대학교 시각디자인학과 개요

시각디자인

시각

디자인

분야

분야

제품디자인

Product Design

- 인간 생활의 발전에 필요한 제품 및 도구를 다량으로 완전하게 생산하기 위한 디자인

작게는 우리가 쓰는 필통 디자인~자동차 디자인등 일상 생활 에서 많이 접하고 있는 대부분의 제품들을 디자인하는 것이다. 현재는 인체 구조와 관련된 의자나 신발 등 인체 공학과 관련된 제품 연구가 활발히 이루어져 사람들의 안전과 쾌적함이 더욱 높아졌다.

이렇게 과학 기술과 예술의 결합을 통해 사람들의 생활을 보다 윤택하게 하는 산업 디자인은 앞으로 사람들의 정신적, 심리적 요소까지도 포함시킬 것이라고 기대하고 있다.

[네이버 지식백과] 디자인 - 우리 생활을 편리하고 쾌적하고 아름답게

(음악미술 개념사전, 2010. 7. 12., 양소영, 윤해린, 김나영, 김명숙, 김동영, 이은영, 김철성, 박명옥, 박용혁)

제품디자인

제품

디자인

분야

분야

환경디자인

Environmental Design

- 우리 주변의 자연과 생활 공간을 보다 쾌적하고 아름답게 꾸미는 디자인 활동

- 자연과 사람이 함께 어울리며 조화롭게 살아갈 수 있는 것을 추구

실내 디자인을 할 때에는 햇빛의 방향과 통풍 등 자연 환경적인 요소를 생각하고, 분위기를 고려한 색채와 장식을 선택해야 한다. 예를 들어 공부방은 눈에 부담을 주지 않는 조명과 차분한 배색으로 꾸미고, 사람들이 자주 모이는 거실은 밝고 안정된 느낌으로 꾸미는 것이 좋다. 실외 디자인을 할 때는 자연 환경과 인공 구조물, 건물 상호간의 조화를 고려하는 것이 중요하다. 공원이나 놀이터 같은 곳은 목적이나 기능에 맞게 시설물을 배치하고, 주변과 잘 어울릴 수 있도록 디자인해야 돼.

[네이버 지식백과] 디자인 - 우리 생활을 편리하고 쾌적하고 아름답게 (음악미술 개념사전, 2010. 7. 12., 양소영, 윤해린, 김나영, 김명숙, 김동영, 이은영, 김철성, 박명옥, 박용혁)

환경디자인

환경

디자인

분야

분야

개념

Design

기본적인 조건범주(인간, 사회, 환경, 기술, 재료, 커뮤니케이션, 마케팅, 매니지먼트 등)에서 파생되는 다양한 가치를 창출하여 인간의 삶의 질을 향상 시킬 수 있는 것.

개념

디자인은 철학이고 과학이며 방법론적인 해결을 요구하며 끊임없이 진행되는 과정이고 실체를 요구하는 문화적 도구

디자인은 사회를 변화시킬 수 있는 생활의 철학

디자인은 선택과 타협

경북대 조철희 교수 강의 인용

디자인은

무엇인가?

디자인과 미술, 그리고 기술의 관계(욕망을 디자인하라, 29p.)

미술

기술

디자인

미술적

디자인

공학적

디자인

+

기술, 경제, 공학, 미학, 사회, 문화, 생태, 등이 복합

요구

문제의 발견 / 공감하기

정의

문제 정의하기

디자인의

과정

구현

프로토타입 만들기

시험

테스트하기, 검사하기, 문제제기

굿디자인의

영향

굿 디자인은 마음으로 전해진다.

"Good design touches the soul"

굿 디자인은 기능 뿐만 아니라

인간의 영혼에도 긍정적 영향을 준다.

심리적 만족감▶자부심▶행복

15~18c초 생략

http://mdesign.designhouse.co.kr/article/article_view/108/53812?per_page=18&sch_txt=

일제강점기 1910-1945

https://m.blog.naver.com/PostView.nhn?blogId=clay21&logNo=150142822832&proxyReferer=https%3A%2F%2Fwww.google.com%2F

1876 갑신정변

1897 대한제국선포

근대1기

조선말기

통일신라시대

고려시대

선사시대

삼국시대

조선후기

현대

근대

초기

오스트리아 분리파

독일 유겐트스틸

다다이즘

중세 사회

인쇄와 사진술 발달

아르누보(신 예술)

아르데코

20C 초 조형활동

바우하우스

미술 공예 운동

고대 사회

독일 공작 연맹

원시 사회

산업혁명

방직기

Walters Art Museum illuminated Manuscripts

큐비즘

글+그림 최초 삽화필사본

(illustrated manuscripts)

예술 + 공예 + 교육

예술 + 공예 + 공업

Morris, W. 수박풀벽지, 1867

역사

- 제품품질 향상

아르데코

고대로마 문자(라틴)

폴 캐론 ARCA 18c 주택 세인트 빈센트 세인트 몬트리올 골동품 석판화 그림

쇼베동굴(프랑스)

초현실주의

파리 중심 1920~1930년대 장식미술,

모더니즘+장식미술 = 장식적, 기능적

쥘 세레, Hippodrome, Leona Dare, 1883

최초의 증기 인쇄기(1804)

색 석판화

수도원 필사본

알폰스 무하, 'JOB' 담배종이회사 포스터

1851 만국박람회

쇼베동굴(프랑스)

뒤샹, 계단을 내려오는 누드(1912)

국제 타이포그래피 스타일

구성주의

팝아트

니에프스의 사진(1826)

바우하우스 전시회 포스터(슈미트, 1923)

수메르 쐐기 문자

레오나르도 다 빈치

신조형주의. 데스틸

미니멀아트

스위스 국제주의 양식

단순, 가독성, 객관적

역사적인 양식X,

자연형태 모티브

헨리 콜의 예술 교육

- 일반 예술 수업은 모든 사회 계급에서 실시되는 국민 교육의 한 부분으로서, 공업생산물을 제조하는 생산자는 물론 소비자에게 올바른 판단을 할 수 있게 기초를 심어주려는 목표.

- 미적 기교와 솜씨라는 원칙을

공업생산물에 응용하여 적용

인체에 근거해 비례체계를 연구한 드로잉

메소포타미아 원통형 인장

미국 주간지에서 망점을 이용한 최초의 인쇄 사진(1873.12.2)

발달은 교육에 의해 촉진된다.

유전에만 의존하지 않는다.

(환경에 영향을 받아 상호작용 한다.)

초등 발달단계와 미술지도

미술표현

발달단계

답을 정하기 힘든 문제,

'과학기술과 자연보호 중 어느 쪽이 중요한가?'

과학기술과 자연보호 둘중 택 1?

과학기술의 진보를 통해 자연 보호 문제를 한꺼번에 해결하자

[통찰]

새로운 사태에 직면하여 장면의 의미를 재조직화함으로써 갑작스럽게 문제를 해결함.

또는 그런 과정. 쾰러는 학습이 시행착오에 의하여 일어나는 것이 아니라 이러한 과정에 의하여

일어난다고 보았다. [네이버 국어사전]

[통섭]

큰 줄기(통)를 잡다(섭), 즉 ‘서로 다른 것을 한데 묶어 새로운 것을 잡는다’는 의미로, 인문·사회과학과 자연과학을 통합해 새로운 것을 만들어내는 범학문적 연구를 일컫는다. [네이버 국어사전]

알토대학교에는 IDBM(International Design Business Management)이라는 독특한 MBA 커리큘럼이 있다. IDBM은 기술, 디자인, 마케팅 교육을 혼합한 과정으로, 다른 분야 간 통섭을 통해 경영 능력을 향상시키는 게 목표다. 특정 분야에 국한된 지식과 교육으로는 결코 미래를 선도하는 혁신적이고 창의적인 제품과 경영자가 나오기 어렵다는 알토대학교의 교육 철학이 담겨 있다. [네이버 지식백과] 통섭 - 지식의 융합 (창조경제와융합, 2014. 4. 15., 신동희)

통합적 사고

https://ottugui.tistory.com/620

종합적 사고

https://terms.naver.com/entry.naver?docId=6452924&cid=68053&categoryId=68053

Learn more about creating dynamic, engaging presentations with Prez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