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와 날씨와의 차이점은 잘 기억하고 있지요?
지난주 뉴스에서 나온 기상 이변 현상을 보셨나요?
오늘은 지구 기후 변화의 원인 지구 온난화에 대해 알아봅시다.
열수지 복사 평형[heat budget]
열수지
: 1년 동안 지구에 흡수된 태양 복사 에너지량과 지구에서 방출된 지구 복사 에너지량
<iframe width="550" height="400" src="<iframe src="https://prezi.com/embed/iiscauaugzi4/" id="iframe_container" frameborder="0" webkitallowfullscreen="" mozallowfullscreen="" allowfullscreen="" allow="autoplay; fullscreen" height="315" width="560"></iframe>/embed" webkitallowfullscreen="1" mozallowfullscreen="1" allowfullscreen="1"></iframe>
지구 열수지
<8~13>
복사 평형
약 30 %
알베도(반사율)
지구에 흡수되는 태양 복사 에너지량 = 방출되는 지구 복사 에너지량
온실효과
기체가 흡수한 태양 및 지구 복사 에너지를 지표면으로 재복사하여 일정한 지표 온도를 유지하는 효과
온실 기체의 농도 증가로 대기에서 흡수되는 에너지가 증가하여 대기(대류권)와 지표면 온도가 상승하는 현상
Let’s start with a question.
대기에서 흡수하는 기체들은 무엇이 있을까?
지구복사가 대기에 거의 흡수되지 않고
대부분 우주 공간으로 빠져나감
적외선 영역에 집중
2.5~25 마이크로미터
<전자기파>
감마선, X선, 자외선, 가시광선, 적외선, 전파
0.4~0.7 마이크로미터
전체 태양 복사 에너지의 약 40%를 차지함
선택적 흡수
자외선 - 성층권의 오존
적외선 - 수증기, 이산화탄소
수증기, 이산화 탄소, 메테인 등의
온실기체가 지구 복사 에너지를 흡수하여
적외선의 형태로 지표로 재복사함
온실 가스가 많아지면 어떤 일이 발생할까?
온실가스 중 가장 많은 영향을 주는 것은 무엇일까?
① 자료 (가)를 분석하여 육지와 해양에서 나타나는 온도 변화의 경향을 파악해 보자.
② 자료 (나)에서 온실 기체의 농도가 어떻게 달라지는지 알아보고, 가장 큰 영향을 주는 성분은 무엇인지 찾아보자.
③ 자료 (다)에서 1986년~2005년 대비 평균 해수면 높이가 양(+)의 값을 보이기 시작하는 연도는 언제이며, 그 까닭을 자료 (가)~(라)를 분석하여 찾아보자.
④ 자료 (가)~(라)를 분석하여 지구의 기후 시스템 변화 지표들이 어떻게 변하고, 그에 따른 미래의 지구 환경이 어떻게 변해갈지 예상하여 발표해 보자.
결과 1. 지구의 온도는 어떻게 변화하고 있는지 설명해 보자.
결과 2. 지구의 온도 변화에 가장 큰 영향을 주는 요인은 무엇이라고 생각하는지 이야기해 보자.
5. 지구 온난화로 인해 해수의 온도가 상승하여 해수의 ( )이 일어나고, 빙하가 녹아 바다로 흘러들어가면서 해수면이 ( )하고 있다.
6. 우리나라의 기후는 점차 고온 다습한 아열대 기후로 변해가고 있으며, 주요 작물 재배지가 ( )하고, 바다에서 잡히는 주요 어종이 바뀌고 있다.
7. 기후 변화에 관한 국제 연합 기본 협약, 교토 의정서, 파리 협정 등의 국제 협약을 통해 ( )감축과 지구 ( )방지를 위한 국제적인 노력을 하고 있다.
남극의 빙하가 녹고 있다고 하는데 얼마 정도인지 확인해보자.
어떠한 경고를 주는 것일까?
우리는 기후 변화의 시기가 아닌
기후 위기 시대에 어떤 변화를 해야할까?
https://climate.nasa.gov/images-of-change?id=212#212-pedersen-glacier-melt-alaska
https://sealevel.nasa.gov/resources/101/video-25-years-of-antarctic-land-ice-elevation-change-anomalies-west-coast-fly-over
미국의 파리 기후협약 탈퇴
우리나라 정책은?
http://www.korea.kr/special/policyCurationView.do?newsId=148867400&pWise=nb5
파리 기후 협약
http://stat.me.go.kr/nesis/mesp/info/statPolicyAir2.do
그레타 툰베리
기후 행동 정상 회의 연설
나의 탄소발자국을 그려보자.
내가 할 수 있는 기후 위기 비상행동은 무엇이 있을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