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ading content…
Transcript

통일국토의 미래

2504 김의진

[목차]

before entering

1. 보고서의 목적 및 필요성

2. 통일이 이루어져야 하는 이유

3. 통일, 경제적으로 바라보기

4. 통일, 지정학적으로 바라보기

5. 본론내용 요약 및 보고서의 한계

6. 참고자료 및 출처

[1. 보고서의 목적 및 필요성]

한국지리 교과서

7-2 ‘북한 지역의 특성과 통일 국토의 미래’ 부분 토대로..

1) 왜 현재 분단된 남북이 통일을 이루어야하는가의 당위성

'경제적,지정학적' 서술

<서론>

2) 왜 우리가 통일에 관심을 가져야하는지의 당위성

'인도주의적' 서술

[통일이 이루어져야 하는이유]

'세월의 흐름'에 따라 국민들의 통일의식이 약화된 건 사실

계속되는 남북한의 긴장상태

왜 통일?

‘통일을 꼭 해야 할까’, ‘통일은 과연 우리에게 꼭 필요한 것인가’ 하는 의문

But,

경제적 차원, 지정학적 차원, 인도주의적 차원에서 봤을 때 꼭 이루어져야함

[통일, 경제적으로?]

분단비용: 분단이 지속되는 한 '계속적으로' 발생하는 비용

통일비용: 남북한 통일 이후 '한시적으로' 발생하는 비용

<본론>

분단비용 > 통일비용

[북한의 지하자원]

북한은 지하자원이 수십억 톤씩 묻혀있는 '초대형 보물창고'

두만 지괴, 길주-명천 지괴는 신생대 제 3기에 형성된 지괴로

갈탄과 천연가스가 풍부

경제적으로? 2

평북-개마 지괴는 시원생대 변성암으로 구성되며

철과 금속이 풍부

평남 분지는 고생대 퇴적암으로

조선계 해성층에는 석회암,

평안계 육성층에는 무연탄이 풍부

[북한의 관광자원]

금강산(석산)

경제적으로? 2-2

기반암이 화강암

비교적 흙산에 비해 식생밀도도 낮음

비교적 흙산에 비해 토양층이 얇음

백두산과 더불어 관광자원으로 이용

[내수시장 균형유지]

2017년 북한의 인구는 2549만 명

경제적으로? 3

2017년 남한의 인구는 5147만 명

= 약 7700만 명

내수시장 균형유지 최소 인구 : 약 1억 명

[북한 어디에 있나]

<본론2>

북한,내륙과 해양을 연결할 수 있는

동아시아의 중심지에 위치해 있다

[아시안 하이웨이]

: 아시아 32개 나라를 지나 유럽과 연결되는

56개 노선의 국제 간선도로망

지정학적으로?

[동아시아 국제 철도망]

지정학적으로? 2

시베리아 횡단철도

경의선

만주철도

'부산서 기차 타고 베를린 간다'

[안하면 손해~ 북한과 통일]

1. 경제적 혜택 상당수!

(통일비용과 분단비용, 지하 및 관광자원, 북한의 인구 내수시장 균형유지)

2. 항공? 아니, 이젠 지상으로 유럽간다!

(아시안 하이웨이, 동아시아 국제 철도망)

<결론>

비상교육

이기은씨 네이버블로그

나무위키

pinterst

비상교육

비상교육

모바일 환경

(자료 나온 순서대로)

출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