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troducing 

Prezi AI.

Your new presentation assistant.

Refine, enhance, and tailor your content, source relevant images, and edit visuals quicker than ever before.

Loading content…
Loading…
Transcript

제국주의 시대와 각국의 민족 운동 (1)

- 서양 열강의 침입과 인도의 민족운동

서양 열강의 아프리카 진출

서양 열강의

아프리카

진출

1) 영국

- 토착민 지배층을 통한 간접 통치를 주로 함

- 수에즈 운하의 관리권 차지, 이집트를 보호국화

- 남아프리카의 줄루 왕국을 정복, 남아프리카에

정착한 네덜란드인의 후손인 ‘보어인’을 몰아내고

식민지화(보어 전쟁, 1899~1902)

2) 프랑스

- 토착민을 프랑스 시민으로 동화시키는 정책 사용

- 튀니지, 알제리, 니제르, 모로코, 말리, 세네갈 등의

북서아프리카 지역과 마다가스카르 등 차지

다른

유럽 열강의

진출

3) 독일 : 카메룬, 토고(독일령 남서아프리카) /

나미비아, 탄자니아(독일령 동아프리카)

4) 벨기에 : 콩고 지역(현재 콩고민주공화국) 차지,

벨기에 국왕 '레오폴드 2세'의 잔혹한 식민 통치

5) 이탈리아 : 리비아, 에리트레아 지역 차지 /

에티오피아 침공 실패

6) 포르투갈 : 현재의 앙골라, 모잠비크 지역

7) 독립 상태 : 라이베리아, 에티오피아

열강들의 충돌

열강들의

충돌

- 영국의 종단정책(카이로~케이프타운)과

프랑스의 횡단정책(서아프리카) 충돌

→ ‘파쇼다 사건(1898)’의 발생

- 독일이 모로코의 분할을 둘러싸고

프랑스와 두 차례 충돌

→ ‘모로코 사건’의 발생(1905, 1911)

제 2차 모로코 사건 직후

모로코에 주둔하는

프랑스군의 사진.

서양 열강의 아시아 진출

서양 열강의

아시아 진출

1) 영국

1-1) 인도

- 17세기 초 동인도 회사를 구심점으로 진출

- 플라시 전투(1757)에서 프랑스를 꺾고

벵골 지역의 지배권 확보

- 19세기 중반까지 인도 내의 상당수 영토

간접 지배

- '세포이 항쟁'을 진압한 후에는 영국 본국에서

직접 통치를 하게 됨

1-2) 동남아시아

- 미얀마 식민지화 및 영국령 인도에 병합

- 보르네오 섬 북부, 말레이 반도(말레이시아,

싱가포르) 차지

2) 프랑스

- 베트남을 보호국화, 청-프 전쟁을 통해

베트남에 대한 지배권을 확보

- 베트남, 캄보디아 일대를 통합해 ‘프랑스령

인도차이나 연방’ 조직, 후에 라오스 지역

포함

3) 미국

- 일본을 무력 개항시킴

- 하와이 제도 병합, 태평양 지역으로 진출

- 미-서 전쟁(미국-에스파냐 전쟁)으로

에스파냐로부터 필리핀 획득

프랑스와

미국

4) 네덜란드

- 인도네시아 지역에 동인도 회사 진출,

19세기 이후 지역 세력을 제압하고

직할 통치령으로 전환

5) 독일

- 남태평양의 비스마르크 제도, 마셜 제도 등

점령

6) 러시아

- 19세기부터 시베리아 개척 및 중앙아시아로의

남진, 흑해 방면의 진출을 통해 오스만 제국

압박

그 외의

유럽 국가들

인도의 민족운동

인도의

민족운동의

전개

1) 재정 파탄, 지방 세력의 반란 등으로

무굴 제국 쇠퇴 → 영국이 인도 지역 진출

2) 19세기 인도의 민족주의 의식 성장

- 영국의 분열 정책 하에서 근대 교육을 받은

지식인 및 종교 지도자 + 산업자본을 이용해

성장한 자본가들이 인도 개혁의 주체가 됨

- '브라흐마 사마지' 운동 : '람 모한 로이' 주축,

인도의 전통 종교인 힌두교 교리로의 복귀 등

종교적 민족주의 운동 전개

→ 이후 카스트제 반대 및 사회적 악습 타파 등

사회 개혁 운동으로 발전

영국군에게 체포당한 무굴제국의

마지막 황제 바하두르 샤 2세.

3) 세포이 항쟁

- 열악한 조건에 의한 해외 파병 문제,

종교적 이유로 발생

- 무굴 제국의 황제를 구심점으로 삼아

인도인의 단결 유도

- 영국은 항쟁 진압 중에 무굴 제국의 황제를

폐위, '인도 통치 개선법(1858)' 제정

→ 인도의 동인도 회사 해산 및 영국의 직접

통치 실시, 이후 '영국령 인도 제국' 성립

4) 인도 국민회의의 성립

- 인도의 지식인을 회유하고 포섭하기 위해

영국이 단체 조직을 지원, 영국의 지배에

협조하면서 인도인의 권익 확보 등 활동

세포이 항쟁과

인도국민회의

인도 국민회의의

초창기 결성 모습.

벵골 분할령

- 힌두교와 이슬람교의 갈등을 이용한

'벵골 분할령' 발표, 영국은 이슬람교도를

후원하여 '전 인도 이슬람교도 연맹' 조직

- 인도 국민회의의 방향성 전환, 틸라크 등이

주도한 '콜카타 대회'에서 4대 강령 채택 및

반영 운동 본격화

★ 4대 강령 : 영국 상품 불매 / 스와라지

(인도인에 의한 자치 확보) / 스와데시

(국산품 애용) / 국민교육의 진흥

→ 벵골 분할령의 철회와 인도인의 ‘명목상’

자치권 인정(1911), 영국이 영국령 인도 제국의

수도를 ‘콜카타’에서 ‘델리’로 이동

1차 대전

전후의 인도

5) 1차 세계대전 전후의 인도

- 영국 정부에서 1차 세계대전 승리를 위해

자치권의 실질적 양도를 조건으로 인도에

병력 지원을 요청

- 1차 세계대전 직후 '롤라트 법'을 제정하여

인도인들의 반영 운동 탄압, 암리차르 학살

등을 자행

6) 간디와 네루의 반영 운동

- 간디의 '비폭력-불복종 운동(사티-아그라하)'

전개

→ 공직 거부, 국산품 애용, 납세 거부(소금 행진 등)를

통한 반영 운동

- 인도 국민 회의를 중심으로 한 자와할랄 네루의

불복종 운동 전개

Learn more about creating dynamic, engaging presentations with Prez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