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troducing
Your new presentation assistant.
Refine, enhance, and tailor your content, source relevant images, and edit visuals quicker than ever before.
Trending searches
미술의 성립은 자기표현으로서의 조형충동과 미를 표현하고자 하는 의지가 합쳐질 때 성립
1. 놀이적 행동 - 자기표현, 혹은 현실과의 교류
2. 자연, 초자연적인 이미지의 재현
인간 본연적 행동이며, 예술적 창조의 조짐이 됨
출생 시의 인간은 일반 성인의 1/30정도
생후 2개월 - 색채지각
생후 3개월 - 크기, 모양, 형태로 구별
생후 6개월 - 항상성과 모양 항상성을 획득
어원적 접근 image
상징적 대화
그림이 이야기한다
McNiff(1991)
이미지는 자율적인 개체
Moon(2003)
이미지를 살아있는 것으로 간주
미술치료에서 이미지를 과도하게 해석하는 것은 이미지를 죽이는 것이다
이미지 '살인'이라고 봄
Landgarten(1981)
내담자가 변화하고 성장하도록
이끄는 주체
원래 그대로라면 힘든 내용이 축소된 현실에서는 다루어볼 여지가 존재함
조망권을 통해 통찰을 얻을 가능성 상승
감정적으로 압도당할 위엄이 줄어든다
'외현화' : 문제와 사람을 분리하는 것
시간과 공간적이 차원에서 조망이 제공됨
감상자
작가
작품을 보며 동질성을
통한 위로를 느끼게 됨
억압된 무의식이 표출되고
자기표현의 과정에서 내면
세계가 성장함
Kramer는 모든 미술은 치료적이라고 표현했으나 한계점이 분명히 존재한다.
그것을 보는 사람의 마음에 파동을 일으킨다
진심은 서로 통하는 성질을 지니고 있기 때문에 보는 이에게도 촉발됨
양자 간에 동질성이 일정이상 있어야 한다.
- 인상 그대로 받아들이는 과정
- 순수한 어린이 감성으로 감상
- 작품에 나타난 표현상의 차이를 재료나 기법으로 분석
- 작품의 의도, 표현, 의미를 해석해서 심리적 의미를 파악
- 작품의 가치를 인식하는 단계로 종합적인 이해가 필요
내적구조와 일관성이 없는 빠른 표현만 집중
충동적이거나 파괴적인 방식으로 작업한 작품
내적 구조에 치중하여 표현을 억압한 작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