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troducing
Your new presentation assistant.
Refine, enhance, and tailor your content, source relevant images, and edit visuals quicker than ever before.
Trending searches
개미처럼 단순하지도
순종적이지도 않다.
날기 위한 자유는
날개를 떠받치면서, 동시에 진행을 방해하는
공기의 저항 안에서만 존립
개미 집단보다 훨씬 정교하고 교묘하게 여러 방향에서 권력이 작동한다
Antz, 1998
이상적 인간 = 잘 정돈된 자아 = 도덕적 인간
이상적 사회 = 잘 정돈된 사회
= 철학자 왕이 통치하는 사회
기개적 군인의 도움을 받아
노동자들을 올바른 길로 인도하는 사회
플라톤의 국가 개념이 개미 사회를 왜곡해서 보게 하지는 않는지?
1. 올바른 사회의 모습이 객관적으로 존재하며
2. 철인왕이, 그리고 철인왕만이
그 모습에 대한 참된 지식을 지님
Tetra Grammaton
The four-letter name of God, in JudeoChristian lore. Four Hebrew letters(Tetra, "four"; "Gramma"-something, "letter") without vowels between them, usually Romanized "YHVH" or similarly. Pronunciation of this name is a BadThing for Hebrews, and its intonation is forbidden for them. Popular English/Christian guesses at the vowels include "Jehovah" and "Yahweh"(Y and J, and V and W, are represented by the same letter in Hebrew--I think).
The Universal Jewish Encyclopedia, Volume 9, page 160, confirms this fact. Of the names of God in the Old Testament, that which occurs most frequently (6,823 times) is the so-called Tetragrammaton, YHWH (hwhy), the distinctive personal name of the God of Israel.
The Jewish Encyclopedia of 1901, Volume 12, page 119, states.
It thus becomes possible to determine with a fair degree of certainty the historical pronunciation of the Tetragrammaton, the results agreeing with the statement of Ex. iii. 14, in which YHWH terms Himself hyha. "I will be", a phrase which is immediately proceeded by the fuller term "I will be that I will be," or, as in the English versions, "I am" and "I am that I am." The name hwhy is accordingly derived from the root hwh(=hyh), and is regarded as an imperfect. This passage is decisive for the pronunciation "Yahweh"; for the etymology was undoubtedly based on the known word.
Last edit October 3, 2012
-->고유한 감정, 목적, 이익, 사고로 특징지어지는 존재
-->불가침의 권리를 지니는 존재
-->독립성과 자율성을 지닌 주체
조르쥬 비가렐로, <강간의 역사>, 당대
세르주 모스코비치
"만일 누가
근대가 낳은 가장 중요한
발명을 들라 한다면
나는 주저하지 않고
그것은 "개인(individual)"이라
답할 것이다."
'만인 대 만인의 투쟁'으로 귀결
자체 메커니즘으로 해결된다고 낙관
1. 인간은 사회 없이는 인간으로 존재할 수 없다
2. 사회에는 정치 조직 외에도 많은 것이 있다
개인에게 부정적인 것으로만 이해
그들의 능력을 일정한 지침 속에서 발전시키는 방식으로 작동
완전히 거부할 수 없다.
훈육, 기강
disciplinary
내용
(1)
작업 공간, 교실 및 다른 제도적 공간들을 분할하고,
개인의 활동들을 여러 단계로 쪼개기
(2)
개인들이 해야할 것을 시간표로 짜서, 시간을 분할하기
(3)
단계별 훈련 프로그램을 사용하기
(4)
개인들이 잘 짜맞춰진 기계처럼 함께 일하도록 조직화하기
특징
1. 이 기법은 개인을 훈육, 개선시키기 위해 작동
2. 감시 체계의 확립
죄수는 탑 안을 볼 수 없다
-> 스스로 교도관이 되어 자신을 감시하고 자발적으로 복종
-> 규율 권력(disciplinary power) 작동
3. 권력은 '이데올로기적 왜곡'이 아니라 '지식'을 통해 작동
법률
규율
==> 자발적 복종 유도
소위 고정불변의 진리는 없다.
어떤 길도 다 진리가 될 수 있으므로.
'참되다'는 것은
'내 운신의 폭 안에서 이룰 수 있다'는 것
'참을 깨닫는 것'은
내가 운신할 수 있는 폭이 생각보다 넓고 다채롭다는 것을 깨닫는 것
천 망 회 회 소 이 불 실
노자 도덕경 73장,
하늘의 그물은 성글기 그지없지만, 하나도 놓치는 것이 없다.
풀어줄 것은 풀어주어야 정말 잡아야 할 것을 잡을 수 있다.
이 개념들이 사실은 얼마나 불명료, 불투명한지 확인
고정 관념으로 내 운신의 폭을 스스로 좁히지는 말기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