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troducing
Your new presentation assistant.
Refine, enhance, and tailor your content, source relevant images, and edit visuals quicker than ever before.
Trending searches
교회법 연구란 무엇인가?
1) 판례, 사례들을 가지고 분석
십계명-하느님 공경: 제 214 조 그리스도교 신자들은 교회의 합법적 목자들에 의하여 승인된 고유한 예식의 규정대로 하느님께 경배를 봉행하고 또한 교회의 가르침에 맞는 영적 생활의 고유한 형식을 따를 권리가 있다.
주일의무: 제 1247 조 신자들은 주일과 그 밖의 의무 축일에 미사에 참여할 의무가 있다.
제 113 조 ① 가톨릭 교회와 사도좌는 하느님의 제정으로 법인의 자격을 가진다.
제 207 조 ① 하느님의 제정으로 그리스도교 신자들 중에는 교회 안의 거룩한 교역자들이 있는데 이들을 법에서 성직자들이라고 부르고 그 외의 신자들은 평신도들이라고 부른다.
성사- 제 840 조 주 그리스도께서 세우시고 교회에 맡기신 신약의 성사들은 그리스도와 교회의 행위이니만큼[...]
신자들의 권리와 의무
성사를 청할 수 있는 권리, 집회의 자유, 단체를 만들 수 있는 자유, 신분을 선택할 수 있는 자유
수원교구 내 비성체분배권자의 권한 부여?
성직자의 의무와 권리
독신의 의무, 생활비, 휴가(30일), 피정, 연수 등
수원교구의 휴가는?
수도자의 의무와 권리
공동생활 의무, 기도생활 등
수원교구 내 수도회는 몇년에 한 번 감사를 실시한다?
구 교회법 제1240조에서는 장례미사가 거부되어야 할 사람은 “① 배교자와 이단자 및 이교자, ② 자기 시신을 화장하도록 명한 자, ③ 숙고하여 자살한 자, ④ 기타 공공연하고 명백한 죄인들”
현행 교회법 제1184조에서는 “죽기 전에 어떤 참회의 표시가 없는 한 교회의 장례식이 박탈되어야 할 자로 ① 배교자와 이단자 및 이교자, ② 가톨릭 신앙을 반대하는 이유로 화장을 선택한 자, ③ 공개적 추문으로 교회의 장례식을 허가해 줄 수 없는 그 밖의 분명한 죄인들”
2차 바티칸 공의회는 『전례헌장』 제73항을 통해 병자성사는 ‘생명이 위급한 지경에 놓인 사람들만을 위한 성사가 아님’을 밝히며, 병자성사가 ‘종부성사’(Extrema Unctio)이면서 동시에 ‘병자의 도유’(Unctio infirmorum)라고 일컫는 것이 더욱 적절할 것임을 밝혔다.
1972년 병자성사 예식서 1) 병자가 도유를 받은 다음 건강을 회복하였다가 다시 병들거나, 같은 병세가 계속되다가 더 깊어지는 때(9항), 2) 위험한 수술을 앞두고 있으면 수술받기 전(10항), 3) 병세가 위중해 보이지 않더라도 노쇠하여 기력이 많이 떨어진 노인들에게(11항), 4) 병자성사로 위로를 받을 만큼 철이 든 어린이에게도 병자성사를 주어야 함(12항)
제1004조 1항 병자성사는 이성의 사용을 하게 된 후 병이나 노령으로 위험하게 되기 시작한 신자에게 집전될 수 있다.
2항 병자가 회복되었다가 다시 중병에 빠지거나 혹은 같은 병이 지속되다가 더욱 위독하게 되면 이 성사를 다시 줄 수 있다.
‘임종자들의 성사’(sacramentum exeuntium)라고 가르쳤다(DS 1698)
구법전 제940조 1항 ‘병자성사는 이성사용이 가능한 신자가 병 또는 고령으로 인하여 죽을 위험에 있는 경우가 아니라면 줄 수 없음’
트리엔트 공의회와 1917년 교회법전은 죽을 위험에 있는 병자가 회복되었다가 다시금 죽을 위험에 처하게 되면, 병자도유를 다시 받을 수 있음을 밝힘으로써 병자도유에 대한 교회적 이해에 관한 쇄신 가능성을 열어두었다고 할 수 있다(DS 1698, Can. 940 §2). 그렇지만 병자도유 후 병자가 회복되었다가 같은 질병으로 인해 다시금 죽을 위험에 놓이게 되었을 경우와 관련하여 1917년 교회법전 제940조 2항은 병자성사가 그 병자에게 반복될 수 없음을 규정하고 있다.
2) 법철학, 법신학을 중심으로 하는 연구
평등, 자유, 정의, 공평, 분배, 보상 등과 같은 법적 개념들 혹은 가치 연구
문제제기: 철학이 아닌 신학이다. 왜 하느님의 모상인 인간이기에, 하느님 때문에 우리가 격상되는 것이고, 하느님 때문에 인간이 존중받아야 한다는 것이지요. 일반 사회, 국가와 다른 점, 헌법과 다른점. 헌법은 무엇이예요? 국가는 국민이다. 국가의 주권은 국민으로부터 나온다. 하지만, 교회는 하느님에로부터 나온다는 것.
그렇다면 혹시, 사회법, 그리고 한국개별교회법, 혹은 현재 우리 안에 존재하는 여러가지 규범들이 그 법정신과 다른지, 그 법정신에 위배되는 것은 아닌지, 혹은 잘하고 있는지를 살펴보아야 하는 것이지요.
3) 실천신학 학문에 가까움
문제점 발생, 현실진단, 분석 이후
해결책 모색, 후속조치, 개정, 입법 등
교회법은 신학인가?
1983년 교회법전 10대 개정원칙
교회법전의 법적 성격, 내적법정과 외적 법정의 관련성
교회법전 내에 사목을 증진하기 위한 수단
특수한 특별권한을 교회법전에 포함시킬 것
교회 내의 보조성의 원리, 신자들의 권리 보호
주체적 권리 보호를 위한 소송절차, 속지주의 원칙, 그러나 속인주의로 변화를 추구, 형법 개정,
교회법전을 체계적으로 새로이 배치할 것.
제2장 교회법 제533조에 나타난 본당신부의 상주의무에 관한 교회의 가르침
1. 초대교회에서부터 트렌트 공의회 전까지 39
1.1. 디다케 40
1.2. 트렌토 공의회 이전 교회의 가르침 41
2. 트렌토 공의회 문헌에서 1917년 법전까지 나타난 상주의무 43
2.1. 트렌토 공의회(Concilium Trientium, 1545~1563년) 43
2.2. 트렌토 공의회 이후 반포된 비오 5세 교황령(S. Pius V, Const. Cupientes, 8 iul. 1568년) 51
2.3. 1564년에 설립된 공의회성(S.C.Concilii)의 교령들에 나타난 본당 신부 상주 의무 52
2.4. 비오- 베네딕토 1917년 교회 법전 54
2.5. 제2차 바티칸 공의회 문헌 56
2.6. 개정위원회의 작업들 5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