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ading…
Transcript

2024학년도 2학기 <문학치료>

<일의 기쁨과 슬픔> (장류진)

오늘날, 우리 사회에서

직장인으로 살아간다는 것

노동의 의미: 사전적

[1] 몸을 움직여 일함

[2] 사람이 생활에 필요한 물자를 얻기 위하여

육체적 노력이나 정신적 노력을 들이는 행위

노동의 의미: 마르크스

노동의 의미: 로크

시험 정보

노동은 가장 현실적인 주객 통일의 방법이자

인간의 자아실현 과정

작품감상

단답형 2문항 / <일의 기쁨과 슬픔>, <몰>

인간이 공유 상태인 사물에 노동을 부여하는 것

>모든 개인은 노동을 통해 소유권의 주체가 될 수 있다고 봄

직장인의 전형, '거북이 알'

서답형 2문항 / <오늘 뭐 먹지?>, <치즈 달과 비스코티>

point 1. '거북이 알'이 겪는 갈등과 사회 구조

업무능력, 추진력 등 우수한 직장인

노동은 삶과 편의에 최대한 도움이 되도록

자연을 이용하는 것

point 2. '거북이 알'이 느끼는 감정

비 상식적 계기로 좌천

서술형 2문항 / <혼모노>, <자개장의 용도>

급여를 사내 포인트로 받게 됨

point 3. 오늘날 우리 사회에서의 '노동'의 의미

복지몰에서 제품을 구입 후, 중고 거래 앱에서 현금화

탈감정화, 열정의 상실(p.275~276)

오늘날의 직장

직장, 소통의 일방성

폭력에 순응할 수밖에 없는 직장인

노동의 의미: 헤겔

함께 일하고 돈을 벌기 위한 공간

>이해관계의 논리를 따름

오늘날의 노동 소외

업무가 개인에게 본래적 가치가 되지 않음

돈을 버는 기쁨과, 업무 중 발생하는 고통을

감내하는 공간

"합시다, 스크럼"

"사시는 동안 적게 일하시고 많이 버세요."

노동은 사적 소유권의 근거를 넘어 주체와 객체가 통일되는 과정

청유형 형식의 명령문

소통의 일방성과 갑을 관계의 폭력성

인간이 자기의식과 자기 정체성을 확보하는 계기

노동이 그 자체로 목적이 되지 못하고,

오직 돈을 벌기 위해 어쩔 수 없이 감당해야 하는 것으로

격하되고 있는 현실 지적 (=노동 소외)

주체는 노동 과정에서 객체에 내재된 질서나 법칙을

일정 정도 받아들이면서 자신의 욕구나 목적을 객체 속에 실현함

현대 직장인의 탈감정화의 심화, 열정 상실,

노동 소외 현상을 다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