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ading…
Transcript

권리

헌법

4.인권보장과 헌법

교과서 98~113쪽

1.인권보장의 역사

& 확대되는 인권

2. 인권보장과 헌법

& 시민참여

3. 국내외의 인권문제

단원

진행순서

인간이라면 누구나 누릴 수 있는 권리

인권

천부인권

자연권

불가침

보편성

양도불가

항구성

인권 보장의 역사

시민혁명과 인권운동

교과서 100~101쪽

Zoom in for Details

인권의 확대

(교과서 103~104쪽)

자유권 → 사회권 → 연대권

확대

현대에는

환경권, 주거권, 안전권, 문화권, 정보분야 인권 등

새로운 영역으로 점차 확장중

4-1단원 내용 정리

입헌주의

국민의 기본적 인권을 보장하기 위해

국가의 통치 및 공동체 생활이

헌법에 따라 이루어져야 한다는

정치 원리

헌법에 보장된 국민의 기본적 권리

기본권

인간의 존엄과 가치 및 행복추구권

평등권, 자유권, 참정권, 사회권, 청구권

기본적 인권 보장을 위해

헌법에 규정된 제도적 장치

민주적 선거제도

복수정당제도

기본권 구제제도

권력분립제도

기본권 제한 규정

헌법재판소 - 위헌법률심판, 헌법소원,

정당해산심판, 권한쟁의심판, 탄핵심판

<기본권의 제한>

헌법 37조 2항 국민의 모든 자유와 권리는

국가 안전보장, 질서유지, 또는 공공복리를 위하여

필요한 경우에 한하여

법률로써 제한할 수 있으며,

제한하는 경우에도 자유와 권리의 본질적 내용을 침해할 수 없다.

준법의식과 시민참여

준법의식 필요

< 법의 기능 >

- 자유와 권리 보장

- 사회질서유지

- 정의 실현

시민

권리 위에 잠자는 자는 보호받지 못한다

- 독일 법학자 루돌프 폰 예링

자신에게 주어진 권리를 지키려고 노력하지 않으면 마땅히 누려야 할 권리도 침해당할 수 있다

시민참여 필요

민원제기, 청원, 서명운동, 정책요구, 집회

시민불복종의 정당화 조건

시민

불복종

공공성

비폭력성

최후 수단성

양심성