되는방법(2)
일반대학졸업
의학전문대학원진학
일반학과4년
의학전문대학원4년 의무석사학위 취득
의사국가면허시험
인턴(수련의)1년
레지전트(전공의)4년
전문의 자격시험
직업전망
응급이학과 의사가 있는이유
고령화로 인해 의료 서비스에 대한
수요가 높아지고 있다.
전문해당 전문의들이 응급실이나 현장에서 바로 응급처치를 시행할 수 없을 뿐만 아니라, 여러 장기를 동시에 침범하는 복합 질환이나 다발성 외상 환자의 경우에 기존의 세분화된 현대 의학으로는 효율적인 응급처치가 점점 힘들어지고 있습니다.
적성 및 흥미
- 사람을 대하는 데 능숙하고 생명을 소중히 여기는
마음과 환자에 대한 배려심이 있는 사람
- 의학적인 지식과 영어를 읽고 쓰는 능력이 요구되며
의료진 및 환자들과 의사소통을 잘 할수있는 능력
- 수술이나 치료를 위해 정교한 손동작을 할수있는 능력
- 치료방법에 대한 빠른 판단력과 분석력이 있어야 하며,
위급상황에 대처할 수 있는 능력
되는 방법(1)
응급의학과 의사에 힘든점
실제 응급의학과 의사가 말하는
응급의학과 의사의 힘든점
응급의학과 세부분야
의과대학진학
의예과2년
본과(의학과)4년 의학사학위 취득
의사국가면허시험
인턴(수련의)1년
레지전트(전공의)4년
전문의 자격시험
롤모델
소생의학 심정지, 쇼크의 원인과 효과적인 소생법을 연구하는 분야이다. 또한 응급 기도 관리, 소생 후 관리도 소생의학의 영역이다.
외상학 응급 외상학의 가장 중요한 목표는 예방 가능한 사망을 최대한으로 줄이는 것이다. 외상에서의 예방 가능한 사망이란 적절한 시간내에 치료를 받았다면 막을 수 있었을 외상 환자의 사망을 말한다.
중환자의학 생명을 위협하는 위독한 질환이나 외상의 치료를 연구하는 분야이다.
소아응급 어린이는 생리적 특성과 질병 양상이 성인과 다르며 특히 외상은 어린이 사망과 장애의 주원인이다. 소아 응급환자는 심리적 신체적 특성에 따른 특별한 주의가 필요하며 아동학대등 특수한 상황에 따른 대응과 치료 또한 필요하다.
재난의학 사고, 테러, 자연재해 등으로 인해 해당 지역에서 외부의 도움 없이는 적절한 응급의료를 제공할 수 없는 상태를 의학적 의미의 재난이라고 한다.
환경응급학 고체온증(열사병, 일사병), 저체온증, 화상, 동상, 감전, 번개 손상 고산병과 감압병, 여행의학에서 항공의학 및 선상의학 등 각종 환경의 변화에서 비롯된 응급질환의 치료를 연구하는 분야이다.
독물학 각종 약물과 천연물 등 독극물로 인한 중독의 진단 및 치료, 연구를 하는 분야이다.
슈바이처
슈바이처는 아프리카에 있는
환자들을 치료하시는데
힘을쓴 사람입니다.
소생의학 외상학 중환자의학 소아의학
재난의학 환경응급학 독물학
목표대학
응급의학과 의사
저는 서울대 의예과에 진학을
목표로 열심히 노력중입니다.
응급의학은 즉각적인 의학적 주의가 필요한 극성 질환이나 손상의 치료를 연구하는 의학의 한 분야입니다.
1학년 8반 8번 윤여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