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troducing 

Prezi AI.

Your new presentation assistant.

Refine, enhance, and tailor your content, source relevant images, and edit visuals quicker than ever before.

Loading…
Transcript

<헬프> 훑어보기

세계관 worldwiew

<when helping hurts> skimming

관계라는 측면에서의 빈곤

Poverty as the relationship

목표 Goal

107p 회복되어가는 모습을 지켜보는 것이 우리의 목표이어야 한다. 이런 변화는 냉랭하고 결과에 치중하는 사역보다는 고도로 관계 지향적이고 과정에 관심을 기울이는 사역들에서 많이 발생한다.

그들에게 임하신 하나님 나라

All you are owned by Jesus

76p 이 관계들은 모든 삶에서 기본적인 구성요소들이다. 이들이 서로 원할하게 기능할 때 우리는 하나님이 창조하신 그때 그 모습일 수 있으며 하나님이 의도하신 삶을 온전히 경험할 수 있다.

강 건너기 River Crossing

81p 우리는 가난한 공동체들에게 그리스도를 전하는 것이 아니다. 그분은 창세 이래로 그 공동체들을 "그의 능력의 말씀으로"(히 1:3) 유지하시며 활동해오셨다. 따라서 가난한 공동체들에서 일한다는 것은 하나님이 오랫동안 그곳에서 해오신 일들을 발견하고 감사하는 일이기도 하다.

자산에 근거한 공동체 개발법

Asset Based Community Development

164p 많은 기독교 관련 공동체개발전문가들은 사람들이 하나님, 자신, 다른 사람들, 기타 창조세계와 맺고 있는 관계를 회복하게 하기 위해 '자산에 근거한 공동체개발'(asset-based-community-development, ABCD)법을 사용하는 편이 훨씬 유익하다는 것을 깨달았다.

또 비유를 들어 이르시되 천국은 마치 사람이 자기 밭에 갖다 심은 겨자씨 한 알 같으니 이는 모든 씨보다 작은 것이로되 자란 후에는 풀보다 커서 나무가 되매 공중의 새들이 와서 그 가지에 깃들이느니라 (마 13:31~32)

He told them another parable: "The kingdom of heaven is like a mustard seed, which a man took and planted in his field. Though it is the smallest of all your seeds, yet when it grows, it is the largest of garden plants and becomes a tree, so that the birds of the air come and perch in its branches." (Mt 13:31~32)

1. Half Way

우리의 중심

전략과 장애물

Asset Based Community Development

the Center of us

94p 경제적으로 가난한 사람들을 성경은 특별히 절박한 처지에 처한, 그래서 아주 구체적으로 관심을 기울여야만 하는 사람들이라고 지적한다(행 6:1-7). 모든 인간이 물질적으로 빈곤한 사람들과 공통점이 있다 해서 가난한 이들이 처한 독특하고 엄청난 고통을 무시하거나 신구약성경에서 묘사한대로, 그들에 대한 하나님의 특별한 관심을 모른 척할 수는 없다.

해방신학

영지주의

한 이발사가 자신의 기술을 전수하기 위해 젊은 도제를 한 명 들였습니다.

젊은 도제는 삼개월 동안 열심히 이발기술을 전수 받았고 드디어 첫 손님을 맞이하게 되었습니다.

그는 지금까지 배운 모든 기술을 열심히 발휘하여 첫번째 손님의 머리를 열심히 깎았습니다.

그러나 거울로 자신의 머리 모양을 확인한 손님은 투덜거리며 말합니다.

"머리가 너무 길지 않나요?"

초보 이발사는 손님의 말에 아무런 답변도 하지 못하고 당황한 듯 서 있기만 하는 것이었습니다.

그러자 스승 이발사가 웃으며 말했습니다.

"머리가 너무 짧으면 사람이 조금 경박해 보인답니다. 손님에게는 조금 긴 머리가 정말 잘 어울리는 데요?"

그 말을 들은 손님은 금새 기분이 좋아져 돌아갔습니다.

그 후 두번째 손님이 들어왔습니다.

이발이 끝나고 거울을 보던 두번째 손님 역시 마음에 들지 않는 듯 말했습니다.

"머리를 너무 짧게 자른 것 아닌가요?"

이번에도 도제 이발사는 아무런 대꾸도 하지 못했습니다.

그러자 옆에 있던 스승 이발사가 다시 거들며 말했습니다.

"손님, 짧은 머리는 긴 머리보다 훨씬 경쾌하고 정직해 보인답니다. 손님이 지금 딱 그렇게 보인답니다."

이번에도 손님은 매우 흡족한 기분으로 돌아갔습니다.

다시 세 번째 손님이 들어왔습니다.

이발을 마치고 거울을 본 손님은 머리모양은 무척 마음에 들어했지만, 막상 돈을 낼 때 불평을 늘어놓는 것이었습니다.

도제 이발사는 여전히 우두커니 서 있기만 했습니다.

그러자 이번에도 스승 이발사가 나섰습니다.

"머리 모양은 사람의 인상을 좌우한답니다. 그래서 성공한 사람들 대부분은 머리 다듬는 일에 많은 시간과 돈을 투자하지요."

그러자 세번째 손님은 역시 매우 밝은 표정으로 돌아갔습니다.

문을 닫을 무렵 네번째 손님이 들어왔고 그는 이발 후에 매우 만족스러운 얼굴로 말했습니다.

"참 솜씨가 좋으시네요. 겨우 20분 만에 말끔해졌어요."

역시나 도제 이발사는 무슨 말을 해야할지 모른다는 표정으로 멍하니 서있기만 했답니다.

모습을 지켜보던 스승 이발사는 이번에도 손님의 말에 맞장구를 치며 말했습니다.

"시간은 금이라고 하지 않습니까? 손님의 바쁜 시간이 단축되었다니 저희 역시 매우 기쁘군요."

그 날 저녁 도제 이발사는 스승 이발사에게 오늘 있었던 일을 물었습니다.

그러자 스승 이발사는 다음과 같이 말합니다.

"세상의 모든 사물에는 양면성이 있다네. 단점이 있으면 장점도 있고 얻는 것이 있으면 손해보는 것도 있지. 또한 세상에서 칭찬을 싫어하는 사람은 없다네. 나는 손님의 기분을 상하게 하지 않으면서 자네에게 격려와 질책을 하고자 한 것 뿐이라네."

공동체를 이해하기(2)

공동체를 이해하기(1)

  • 떠오르는 경험이나 사례가 있다면 나누어 주세요.

Understanding the community(2)

Understanding the community(1)

사회관

시간관

생각 나눔

빈곤 Poverty

190p 관계의 회복은 외부인들이 무엇을 어떻게 해야 할지 결정하고 또 얼마나 잘 수행되었는지 평가까지 하는 청사진식 접근방법으로 성취하기는 힘들다.

  • 책 내용 중 인상깊거나, 깨달음을 주었거나, 반박하고 싶은 부분이 있다면 나누어주세요.

  • 기아대책이나 현지사업(사역)에 적용할 수 있는 부분, 적용하고 싶은 부분, 적용할 수 없는 부분은 무엇인지 나누어주세요.

2. Super Foreigner

212p 한쪽 끝에는 각 개인에게 내재하는 본질적인 가치와 고유성을 강조하는 개인주의적인 문화들이 있다. 이들은 모든 사람들이 가능한 한 평등하게 대우받아야 한다는 평등주의적인 견해를 지닌다. (중략) 한편 집단주의적인 문화는 개인의 정체성을 무시하고 단체의 복지를 강조한다. 단체의 다른 사람들을 향한 충성심이나 그들을 위한 자기희생을 고귀하게 여긴다.

211p 전 세계 문화들은 시간에 대해 다양하고 대조적인 견해를 보인다. 단일(Monochronic) 시간관은 시간을 얼마 존재하지 않는 가치 있는 자원으로 이해한다. (중략) 시간에 대한 다른 이해는 다중(Pholychronic) 시간관이다. (중략) 다중적 시간관을 가진 곳에는 상품과 서비스들이 덜 생산될지 모르지만 사람들은 더 깊은 공동체정신과 소속감을 가지고 산다.

그렇다면 비전트립은?

how about the short-term minitry

217p 그들에게는 일을 마치는 것보다는 사람들을 사귀는 게 더 중요하다. 이런 상황은 단기선교팀에게는 큰 좌절감을 가지게 할 수 있는데, 해놓은 일도 없는데 시간만 흘러가는 것처럼 느끼기 때문이다. 그러다 보니 그리 오래지 않아 다중시간적인 문화 아래 사는 형제자매들을 깔보고 무능하다고 판단 내리게 된다. 그러면 온정주의가 끼어들게 마련이고, 그때부터 선교팀이 모든 일들을 떠맡아 진행하게 된다. 그러지 않으면 단기선교팀 입장에서는 최악의 산황, 즉 2주라는 시간 안에 이루어놓은 일이 아무것도 없는 상황이 벌어질지도 모르기 때문이다

▲ 이 그림은 HC가 그려야 할까? 주민들이 그려야 할까?

  • 떠오르는 경험이나 사례가 있다면 나누어 주세요.

Merry-Go-Round

and Ronnie Stuiver

Ronnie's idea!

in 2008,

there are1,000 PlayPumps

in Africa

no ads

no water

no fun

What is problem?

Travor Field's Planning!

4. Full Circle

빈곤의 원인은 단순하지 않다.

Jesus

3. Together

72p 가난한 나라 사람들은 부족한 물질을 이야기하면서 그들이 처한 상황을 심리적, 사회적 단어들을 사용하여 표현했다. 즉, 수치와 열등감, 무력감과 모욕감, 두려움과 절망감, 우울함과 고립감, 발언권 박탈 등에 대해 말했다.

  • 어떤 생각이 드시나요?
  • 기아대책의 방향은 무엇일까요?

52p "예수님이라면 어떻게 하실까" 라는 질문에 제대로 답하려면 교회는 그리스도가 중심에 계신, 어느 한쪽에도 치우치지 않은 하나님의 나라에 대한 시각을 가져야한다

  • 떠오르는 경험이나 사례가 있다면 나누어 주세요.

Help 상처를 주지 않고 돕는 방법

WHEN HELPING HURTS

상처를 주지 않고 도움을 주고받는 성경적인 방법

History

Jesus

재림

창조

History

Learn more about creating dynamic, engaging presentations with Prez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