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troducing 

Prezi AI.

Your new presentation assistant.

Refine, enhance, and tailor your content, source relevant images, and edit visuals quicker than ever before.

Loading…
Transcript

Comments!

"문화의 정의는 다양하다." 그리고, 나름 이유가 있다.

"실제로 현지조사 샘플을 보거나 읽은 적이 없어 막막하다"

도서관 지정도서에 읽을 거리들이 몇 권 있다.

"사람들이 보기에 적절한 기독교인의 삶을 살고 싶다."

"인류학은 연구 대상 그 자체를 관찰한다." 빙고!!!

"오늘 수업이 은근 많았어요." 그랬죠?

"실용적이고 실제로 적용할 분야들이 많겠다."

"답은 현장과 현장 속에 있는 사람들에게 있다." 빙고!!!

자문화중심주의 <-- 여러 사람이 언급

지난 시간 복습

학습목표

언어의 정의를 안다

언어가 어떻게 사용되는지를 안다

언어와 문화의 관계를 안다

문화를 공부할 때는 총체적으로 해야 한다. 동시에 비교·상대적으로 생각하는 힘을 키우는 것이 필요하다.

인류학의 기본은 현장연구(현지조사)다. 현자연구는 면담과 참여관찰로 이루어지며 이는 생산하는 공부다.

면담에는 정형·비정형·반정형 면담이 있다.

참여관찰은 일상생활을 함께하는 것이다. 이때는 내부자적 관점으로 그들을 이해해야 한다.

윤리적인 현지조사를 하라. 현지조사의 과정에서 고정관념을 극복하고 신뢰와 유대를 형성하라.

문화가 보는 실재가 언어에서 드러난다

형제 자매

brothers, sisters, siblings

Satan, devil

귀신 마귀

도깨비

각 문화마다 특정 문화 요소에 대한 어휘가 풍성할 수 있고 존재하지 않을 수 있다.

언어와 문화의 관계

영어 문법과 단어만 배우면

영어를 잘 한다?

비언어적 의사소통

※ 과거 우리나라의 경우 공동체에서는 모든 어른이 모든 아이들을 돌봐왔다. 그래서 아이들은 친구의 부모님께도 어머니, 아버지라고 불렀다.

※ 위계사회냐 아니냐에 따라 존칭 또는 타이틀이 달라진다. 서양의 경우 나이에 상관 없이 이름을 부른다.

※ 신학대학교에서 비속어나 상스러운 표현을 절제하고 경건하고 좋은 말을 쓴다.

※ 언어는 세계관을 보여주기도 한다. 예를 들어 시간을 분류하는 것(한국은 과거, 현재, 미래로 나눈다면 영어를 쓰는 국가는 현재 완료, 과거 완료 등의 여러 시제가 추가됨), 의미 있는 시간의 크기를 쪼개는 것 등이 다른 것이 그 예다.

※ 새로운 사회, 새로운 문화권에는 그곳에서 쓰는 언어가 있으므로 우리는 그곳 사람들의 관점으로 언어를 배우고자 노력해야 한다.

거리

표정

대화하는 사람들 사이의 ‘거리’는 대표적인 비언어적 의사소통 중 하나다. 이 말은 사람 사이의 거리가 앞에서 언급한 ‘단어’와 같은 의미가 될 수 있다는 것이다.

* 사랑하는 사람들은 서로 가까이에서 대화한다.

* 거리는 상황(출퇴근 시간의 버스나 지하철)이나 지역(남미는 편안하게 느끼는 거리가 동양보다 훨씬 가까움)에 따라 달라지기도 한다.

* 문화마다 거리가 주는 의미가 있고 그 의미는 다를 수 있다.

표정도 비언어적 요소 중 하나다. 이것은 초문화적이기도 하며 동시에 문화적이기도 하다. 미소, 눈을 마주치는 것, 머리를 만지거나 윙크를 하는 행동 등은 임의적이고 문화마다 의미가 다르다. 이 모든 것들은 문화적 다양성을 보여주며 차이를 나타낸다.

소리 체계

단어와 의미들

교회

소리에 의미가 담기기 위해서는

체계적이어야 한다!

예수 셰우 우셰 ?

단어

의미

언어란 무엇일까?

과연 그렇다면 언어는 어떻게 작동하는가?

소리의 다양성

QUESTION

우리는 왜 하나님을 하나님이라고 할까?

같은 소리라도 다를 수 있다.

문화/언어마다 발음과 강세가 다르다.

한 언어/어휘가 상징하는 것이 하나 혹은 여럿일 수 있다.

문화마다 나타나는 언어의 특징도 차이가 있다.

모음이 많아서 소리가 힘이 있는 경우가 있고,

자음이 많아서 소리에 기교가 들어가는 언어도 있다.

상징

'하나님'이라는 형태의 단어가 하나님을 나타내는 상징이기 때문이다.

단어

'하나님이 우리를 사랑하신다.'

의미 단어(하나님, 우리, 사랑하신), 문법 단어(~이, ~를, ~다)

다매체적이다

말하기, 듣기,

읽고, 쓰기

제스처, 몸짓

초월성이 있다

유의미한 요소들로

구분이 가능하다

우리는 지금 여기서

지난 가을 다녀온 남미를 말할 수 있다.

단어, 구, 문장, 절,

우리는 2000년전 이스라엘의 예수님을

지금 여기서 말할 수 있다.

언어란?

메시지를 주고 받는데 사용하는

소리와 단어와 의미와 문법적 규칙들의

공유된 지식이다.

창의적이다

임의적이다

왜 옆의 그림을

의자라고 하나?

그냥!

Mission Anthropology DAY4

Learn more about creating dynamic, engaging presentations with Prez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