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용존산소량
바닷물에 녹아 있는 산소의 양이다. 산소와 같은 기체는 바닷물의 온도가 높을수록 잘 녹는다. 따라서 한류에 녹아 있는 산소의 양이 더 많다.
7-2 해수의 성질
B. 염분
A. 염류
- 해수에 녹아 있는 여러가지 물질
- 바닷물 1kg(1000g) 소속에 녹아 있는 전체 염류의 양을 g수로 나타낸 것
a. 단위 : psu(실용염분단위), ‰(퍼밀)
염류의 양(g)
염분(‰) = ━━━━━━━━ ×1000
바닷물의 양(g)
b. 염류의 근원
b. 전 세계 바닷물의 평균 염분
-> 약 35 psu
7-3 해수의 운동
C. 염분의 변화
- 표층 염분은 지역이나 계절에 따라 변한다.
http://ljk9830.com.ne.kr/leejk/home1/q/q031.htm
마무리 정리
계절에 따른 해수의 평균 표면 염분
전 세계 해수의 평균 표면 염분
- 확인 문제 -
염분에 영향을 주는 요인
a. 증발량과 강수량
- 증발량 > 강수량 -> 염분 높다
- 증발량 < 강수량 -> 염분 낮다
해수에 녹아있는 여러가지 물질을 염류라고 한다. 대표적 물질로는 염화나트륨, 염화마그네슘이 있다. 해수 1kg에 녹아있는 염류의 총 량을 g수로 나타낸 것을 ‰(퍼밀)이라고 한다.
해수의 염분 분포는 지역과 계절에 따라 염분이 서로 다르다. 우리나라의 경우 계절에 관계없이 동해의 염분이 황해의 염분보다 높고 중위도 지역의 염분이 가장 높다. 이는 강수량과 증발량 등이 염분에 영향을 주기 때문이다.
바다에 따라 바닷물에 포함된 염분의 양은 다르지만 염류가 차지하는 비율은 어느 바다에서나 항상 이정한데 이를 염분비 일정의 법칙이라고 한다.
b. 강물의 유입
- 육수의 유입이 많으면 -> 염분이 낮다.
c. 해빙과 해수의 결빙
- 빙하가 녹으면 염분이 낮아진다.
- 해수가 얼어서 빙하가 생성되면 염분이 높아진다.
위도별 수온의 연직 분포
마무리 정리
표층 해수의 경우 위도에 따라 태양 복사 에너지의 양에 따라 다르다. 그래서 수온은 계절에 따라 변한다. 기본적으로 바다는 깊이에 따라 혼합층, 수온약층, 심해층으로 구분된다. 혼합층의 두께는 바람의 세기에 영향을 받으며 수온 약층은 대류가 일어나지 않아 안정한 층이고 심해층은 수온이 낮고 변화가 거의 없다.
c. 고위도 지역
- 표층 수온이 매우 낮아 표층과 심치의 수온차가 거의 없다.
마무리 정리
주로 바람의 영향으로 강물처럼 일정한 방향으로 이동하는 바닷물의 흐름
a. 표층해류 : 수온 약층 위에 있는 해수가 일정하게 흐르는 것
무역풍, 편서풍, 극동풍 등 지속적으로 부는 바람의 영향 지구의 자전 효과가 더해저 일정한 방향으로 흐르는 해류가 나타난다.
b. 저위도 -> 고위도 : 난류
b. 대기 대순환과 해류
고위도 -> 저위도 : 한류
c. 심층해류 : 온도와 염분 차이로 인해
깊은 바닷속에 흐르는 해류
: 온도, 염분차이
- 심층 해류 순환의 요인
c. 해류의 방향(지구의 자전의 영향)
- 북반구 : 시계방향
- 남반구 : 시계 반대 방향
바다는 일정한 방향으로 계속적인 흐름이 있는데 이를 해류라고 한다. 수온 약층 위에 있는 해수가 바람과 지구의 자전의 영향으로 일정한 방향으로 흐르는 것을 표층 해류, 깊은 바다속에서 온도와 염분의 차이에 따라 해류가 발생한다.
d. 해류의 역할
- 따뜻한 난류는 고위도록, 찬 한류는 저의도로 흐른다.
-> 저위도의 남는 열에너지를 고위도로 전달한다.
- 해류의 종류에 따라 주변 지역에 영향을 미친다.
- 바다와 육지를 데우면서 지구 표면의 온도를 고르게 한다.
-> 지구의 기후를 조절하는 역할
- 세계의 해류의 분포와 대기순환의 관계
a. 표층 순환
- 세계의 해류가 서로 연결되어 흐르는 큰 순환
- 표층 순환은 적도를 중심으로 대칭적
b. 표층 순환의 요인 : 지구의 자전, 바람
* 조경수역 *
한류와 난류가 만나는 해역을 조경수수역이라 하며, 산소와 영양 염류가 풍부하여 좋은 어장이 형성된다.
- 난류
오징어, 멸치, 고등어등의 난류성 어종이 풍부
- 한류
대구, 명태 등의 한류성 어종이 풍부
동해의 울릉도 부근 해역에서는 동한 난류와 북한 한류가 만나 조경수역이 형성된다.
7-4 해저지형과 해양 오염
달의 모양 - 그믐달, 상현달, 보름달, 하현달
2. 해저 지형
1. 조석 현상
- 조석 : 해수면의 주기적인 변화
만조: 해수면이 가장 높을 때
간조: 해수면이 가장 낮을 때
-조석 주기: 12시 25분
하루에 만조가 2번, 간조가 2번
* 우리나라 주변의 해저 지형
조석은 매일 50분씩 늦어진다.
1. 동해
평균 수심 약 1684m, 해저 지형의 경사가 급하고 평균 수심이 가장 깊은 바다, 대륙붕, 대륙 사면, 대륙대, 심해 평원 등이 나타남
2. 남해
- 조석의 원인
평균 수심 약 100m, 대부분의 지역이 대륙붕으로 되어 있는 얕은 바다, 남쪽으로 갈수록 대체로 수심이 깊어짐
3. 황해
달의 인력, 태양의 인력, 지구자전의 원심력
평균 수심 약 44m, 전체가 대륙붕으로 되어 있는 얕은 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