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troducing
Your new presentation assistant.
Refine, enhance, and tailor your content, source relevant images, and edit visuals quicker than ever before.
Trending searches
ㅂ/ㅃ
산추
Φ
다동타
Φ
ㅅ/ㄷ
보보
오양이
ㄷ/ㅈ
기
9
37
90
86.04
모
해당 연령의 값
ㅣ/ㅟ
아동의 자음정확도
아동의 생활연령
9
37
검사 후 치료사의 조언 적음
생활연령 구하는 법 : 검사년월 - 생년월
ex) 2010년 12월생 아동을 2014년 8월 검사 실시
2014년 8월 - 2010년 12월 = 3년 8개월
즉 이 아동의 생활연령은 3세 8개월
-정조음 : +로 표기
-대치 : 오류 분석란에 오조음/목표음소로 표기
-왜곡 : 오류분석란에 D라고 표기
-생략 : 오류분석란에 Φ로 표기
-바르게 조음된 음소의 수를 음소의 위치를 고려한 전체 음소의 수로 나누어 100을 곱한 것
-자음을 정확하게 발음한 백분율 *(43-오류음소 수)/43X100
- 모음을 정확하게 발음한 백분율 * (10-오류 음소 수)/10X100
-그림낱말검사
① 첫 번째 그림 자료를 보여주며 “이건 뭐죠?”라고 질문
a. 정반응 : “응, 그렇구나”
b. 다른 단어 : 반응유도문장 제시
ex) 목표단어 - ‘고양이’, “야옹이라고 소리내는 동물이 뭐지요?”
c. 틀린 경우 : 오반응 또는 NR
d. 모방유도
ex) “선생님을 따라해 보세요~”
② 아동의 반응을 검사지(낱말발음전사란)에 표시
③ 30번 문항까지 같은 과정으로 실시
- 그림문장검사
① 아동에게 그림 자료를 제시한 후 제목과 이야기 상황을 들려줌
② 목표낱말을 포함한 문장을 발화하면 검사지에 표시
-완전습득 연령은 특정 음소에 대하여 95%~100%
-숙달 연령은 75%~94%
-관습적 연령은 50%~74%
-출현 연령은 25%~49%
- 자음검사
- 모음검사
이름말하기 또는 따라 말하기가 가능한 아동(정상아동, 지적장애, 청각장애, 뇌성마비, 행동장애)의 조음평가에 활용
‘나무’에는 ‘참새’ ‘세 마리’가 ‘짹짹’거립니다
나는 ‘바지’를 입고 ‘단추’를 채웁니다
나는 ‘코끼리’에게 ‘땅콩’을 줍니다
20141202 장은빈
20141204 정연지
20141205 정희은
20141206 주란
20141207 천영심
20141208 최은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