다중지능 이론
그렇다면 시각장애인은?
공간지능의 정의
시각적·공간적 세계를 정확하게 지각하는 능력과 그런 지각을 통해 형태를 바꾸는 능력을 말한다. 또한 이 지능에는 색, 선, 모양, 형태, 공간과 이런 요소들 간에 관계를 정확하게 지각하고, 추상적인 것을 구체화하는 시각화 하는 능력을 말한다
공간지능이 필요한 직업들
- 공간지능 + 음악지능 : 공연연출가, 작곡가
- 공간지능 + 신체운동 : 엔지니어, 보석세공인, 설치예술가, 정비기술자
- 공간지능 + 논리수학 : 항해사, 파일럿, 항공 관제사
- 공간지능 + 자연지능 : 화장품 관련 직업, 메이컵아티스트, 요리사
공간지능을 이야기 할 때 반드시 시각과 연결되어 있다고 생각하기 쉽지만 그렇지 않습니다. 청각, 언어 장애인과 같이 의사소통 기관이 손상된 사람들도 언어지능을 발달시킬 수 있는 것처럼 공간지능 역시 시력을 잃은 시각 장애인들에게서도 발달될 수 있습니다.
공간지능을 담당하는 후두엽
가드너의 다중지능의 정의
후두엽은 일차적인 시간 정보가 전달되어 시각인지가 일어나고 예전에 본것을 기억해내는 역할을 함으로서 기억속에 이미지를 서로다른 차원으로 전환시켜준다.
1970년 이후부터 새로운 개념의 지능이론이 등장하기 시작했다. 그중 가장 주목할 만한 것이 하버드대 교육대학원 교육심리학과 교수인 하워드 가드너의 다중지능 이론이다. 가드너는 종래의 IQ개념에 대항해 다중지능 이론을 제시하면서 교육학과 심리학 분야에 돌풍을 일으키고 있다. 그에 의하면 사람 속에는 8가지 종류의 지능이 함께 존재한다고 한다. 무지개가 7가지색으로 구성된 것이라면 인간의 소질 적성 능력과 관련해 다음과 같은 8가지지능이 존재한다는 것이다.
사고와 표현
공간지능의 향상 방법
심적지도
심적회전
진북
마음만으로도 물체를 더 빠르고 효과적으로 회전시킬 수 있도록 단련하여 두뇌의 공간지각 능력을 향상시켜 줍니다.
주변 환경에 대한 심적 지도를 만들어 중요한 물체의 상대적인 위치를 기억함으로써 랜드마크와 같은 정보를 성공적으로 활용할 수 있도록 단련하는 것입니다.
끊임없이 변화하는 기복적인 지시사항을 놓치지 않으면서, 동시에 점점 더 복잡한 지시사항도 잘 수행할 수 있도록 제시되는 정보를 머리 속에 잘 저장하도록 훈련합니다.
201500015 장재완
201500019 하명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