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ading content…
Loading…
Transcript

밥 구경을 못하다

밥 구경을 못한지 사흘째가 되자

하늘이 노랗게 보이기 시작했다.

공밥 먹다

너는 일은 하지 않고

공밥만 먹으려고 하냐?

밥 먹듯 하다

그는 거짓말을 밥 먹듯 한다.

2. 표현과 어휘의 세계

(1) 빵과 밥

찬밥 더운밥 가리다

우리가 지금 찬밥 더운밥 가릴 처지가 못 된다.

눈칫밥 먹다

친구의 집도 가난한 탓에 눈칫밥을 먹으며 지내야 했다.

죽도 밥도 안 되다

지금 그만두면 죽도 밥도 안 된다.

학습 목표

글의 표현 방식을 파악하고

표현의 효과를 평가한다.

'빵과 밥' 본문 정리

빵과 밥의 특성

주제

공동체 의식

밥에 담긴 우리 문화의 과

특징

빵 밥

빵과 밥에 관련된 동서양의 문화를

적으로 서술함.

글의 표현 방식

대조

글의 표현방식 보석맵 만들기

우리나라

ㅅㅇ 사람들의 주식

서양

ㅇㄹㄴㄹ 사람들의 주식

다양한 표현 방식을 활용하여

대상을 하고 적으로 표현함.

풍유법

속담이나 격언 따위를 사용하여 본뜻은 숨기고 비유하는 말만으로 숨겨진 뜻을 암시한다.

생생

구체

예) 등잔 밑이 어둡다.

1. 보석맵을 접는다.

관용

속담 등 적 표현을 통해

독자의 공감을 이끌어 냄.

ㄱ에서 손에 들고 다니며

먹기도 함.

ㄱ을 걸어 다니면서 먹지

않음.

비슷한 성질이나 모양을 가진 두 사물을 '~같이', '~처럼', '~듯이'와 같은 연결어로 결합하여 직접 빗대어 표현한다.

직유법

2. 자신의 색깔 펜을 하나 정해서 첫번째 보석에

표현 방식을 적는다. '풍유법', '직유법', '설의법', '의인법'

예) 울부짖는 사자처럼 코를 고시는 우리 아빠

3. 두번째 보석에는 p.77에 있는 표현 방식의 뜻을 적는다.

주로 빵 ㄱㄱ에서 사서 먹음.

가게

쉽게 판단할 수 있는 사실을 의문의 형식으로 표현하여 상대편이 스스로 판단하도록 한다.

설의법

주로 ㅈ에서 직접 지어

ㄱㅈ과 함께 먹음.

4. 세번째 보석에는 예시를 붙인다.

가족

예) 세상은 그 얼마나 아름다운가.

식은

ㅅㅇ 것을 주로 먹음.

'빵과 밥' 표현 방식과 효과

5. 네번째 보석에는 예문을 한 사람당 한 가지씩

만들어 적는다.

사람이 아닌 무생물이나 생물의 모습을 사람처럼 표현하는 방법

온기

의인법

주로 ㅇㄱ를 유지하여

ㄸㄸ하게 먹음.

예) 나무가 춤을 춘다.

따뜻

대조

'빵과 밥' 글 전체

강조

직유

길거리를 지나다니다~

생생

대조

우리말에서 찬밥은~

법을 사용하여 두 대상의 차이점을 드러내어 말하고자 하는 대상의 특징을 함.

법을 사용하여 빵을 들고 지나가는 사람들을

하게 표현함.

법을 사용하여 찬밥과 더운밥의 의미 차이를

대조적으로 표현함.

법을 사용하여 타향에서 느끼는 가족에 대한 그리움을 함.

법을 사용하여 밥에 담긴 정의 의미를 독자에게 질문함으로써 을 이끌어 내고 있음.

풍유

'물을 떠난 고기가~

직유법

강조

여러 가지 표현 방식

마치 살려달라고~

해금의 소리를

에 빗대어 표현함.

아마도 끈적끈적한~

설의

공감

직유법

무엇인가를 달라고~

풍유법

빈 수레가 요란하다, 아는 것이 힘이다, 시간은 금이다

해금이 내는 소리의 특성을

에 비유

어린 아이의 칭얼거림

의인법

사람

거문고가 선비의~

거문고와 해금을 에

빗대어 표현함.

직유법

얼음같이 찬 손, 꿀처럼 단 늦잠, 팝콘 같은 벚꽃

대조법

줄을 튕기고 난 후에~

글조각 정리하기

현악기에서 나는 소리와

해금에서 나는 소리의 을 대조적으로 표현함.

차이점

설의법

누가 자연을 정복할 수 있단 말인가, 사랑도 눈물 없는

사랑이 어디 있는가, 이 얼마나 멋진 공부인가

1. 자신의 펜 색깔 하나를 정하고,

4절지 맨 위에 학번 이름을 쓴다.

2. 카드를 자른다.

3. 카드를 돌려가며 읽고 물음에 답한다.

4. 카드를 번호 순서대로 4절지에

붙인다.

의인법

해금은 숱하게~

해금이 힘겹게 소리를 내는 것을 의 행동에 빗대어 표현함.

사람

대조법

의인법

강물은 말 없이 흐른다, 꽃이 웃는다, 바다가 불러주는 자장 노래에

사람이 아닌 것을 사람처럼 표현하는 방법

애원하는 사

람의 소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