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저위도에서 고위도로 갈수록 표층 해수의 온도가 낮아지는 까닭은 무엇인가?
태양 고도가 낮아져 단위 면적당 도달하는 태양 복사 에너지의 양이 줄어든다.
2. 수온 약층에서 해수의 연직 운동이 일어나기 어려운 까닭은 무엇인가?
큰 차가운 해수가 아래쪽에 있고, 밀도가 작은 따뜻한 해수가 위쪽에 있으므로 연직 운동이 일어나지 않는다.
해수에 녹아 있는 여러 가지 물질
- 해수를 증발시키면 염류가 흰색의 앙금으로 남는다.
- 짠맛을 내는 염화 나트륨이 가장 많이 포함되어 있으며,
그 밖에 염화 마그네슘, 황산 칼슘, 황산 칼륨 등이 있다.
1. 염분이 35‰인 해수 1000g에 들어 있는 전체 염류의 양은 몇 g인가?
해수 1000 g에 들어 있는 전체 염류의 양을 g 수로
나타낸 것
- 염분이 35‰인 해수 1000 g에는
물이 965 g, 염류가 35 g 들어있다
• 태양 복사 에너지에 의해 가열되고, 바람에 의해 혼합됨.
• 깊이에 따른 수온 변화가 거의 없음.
• 바람이 강할수록 두꺼움.
→ 바람이 강할게 부는 겨울철에 두껍게 발달.
→ 적도에서는 매우 얇고 중위도에서는 두꺼우며,
고위도에서는 거의 존재하지 않음
2. 염분이 35‰인 해수에 들어 있는 염화 나트륨의 구성비는 몇%인가?
→ 혼합층의 온도가 낮은 겨울일수록 혼합층과 심해층의
온도차이가 적다.
1. 육지에 있는 물은 대부분 어떤 형태로 존재하는가?
빙하
● 지구 상에서의 물의 분포와 중요성을 설명할 수 있다.
● 우리나라 수자원의 수요와 공급원을 설명할 수 있다.
2. 우리나라에서 강수량이 가장 많은 계절은 언제인가?
Summer
천문학자 칼 세이건은 보이저 2호가 우주에서 찍은 지구의 사진을 보며‘창백하고 파란 점’이라고 표현하였다.
① 왼쪽은 겨울철, 오른쪽은 여름철이다.
② 하천의 유입으로 해안에 가까울 수록 염분이 낮아진다.
③ 우리나라는 여름철에 강수가 집중되어 겨울철이 여름철에
비하여 염분이 높다.
④ 황해는 동해보다 하천수의 유입이 많아 염분이 낮다.
⑤ 남해는 난류의 영향으로 다른 해역에 비하여 염분이 높다.
[위도에 따른 표층 수온 분포]
증발량과 강수량
- 증발량, 결빙량이 많을수록 염분이 높다.
[위도에 따라 해수면에 도달하는 태양 복사 에너지의 양 분포]
- 강수량, 해빙량, 하천수의 유입이 많을수록
염분이 낮다.
생명체를 이루는 기본 물질, 생명체의 생명 활동 유지
① 표층 수온은 여름이 겨울보다 높다.
② 2월에 동해는 황해보다 수온이 높다.
① 표층 염분은 증발량이 많을수록 높다.
③ 8월에는 황해가 동해보다 수온이 높다.
: 식수와 음식물 세척, 농작물 재배,
공업 제품 생산, 운송, 어업, 휴양 등
② 표층 염분은 강수량이 적을수록 높다.
④ 동해의 표층 수온은 고위도로 갈수록 낮아진다.
③ 표층 염분이 가장 높은 해역은 중위도
(20˚~30˚)이다.
⑤ 등온선은 먼 바다에서 대체로 위도와 나란한 경향
을 보인다.
④ 적도 부근 해역은 강수량이 증발량보다
많다.
⑤ 위도 30° 부근 해역은 증발량이 강수량
보다 많다.
: 인구 증가, 활발한 산업 활동,
생활 수준 향상
[전 세계 해양의 표층 수온 분포(8월)]
등온선은 대체로 위도와 나란하지만,
해양의 주변부에서는 해류와 수륙 분포 등의 영향으로 위도와 나란하지 않다.
: 물의 오염, 기후 변화, 사막화 등에 의해 점차 심각해지고 있다.
- 연평균 강수량과 계절에 따른 강수량 변화가 심하다.
- 산지가 많아 하천이 짧고 경사가 급하여 여름에 내린 비가 대부분 바다로 흘러간다.
- 가을에서 봄 사이에 가뭄 피해가 나타나기도 한다.
오
시
로
쿠
류
해
■ 해륙 주변부
대륙붕, 대륙 사면,대륙대로 이루어져 있다.
■ 심해저 심해 평원, 해령, 해산 등으로 이루어져 있다.
수온과 염분이 높다.
■ 난류
■ 해류
일정한 방향으로 지속적으로 흐르는 해수의 흐름
■ 해류 의 표층 순환
- 밀물과 썰물에 의해 해수면이 높아졌다가 낮아지는 현상
- 우리나라 해안에서는 만조와 간조가 하루에 각각 두 번씩 일어난다.
■ 한류
수온과 염분이 낮다.
대기 대순환의 영향으로 동서 방향으로 흐르다가 대륙에 가로막힌 곳에서 남북 방향으로 흐른다.
- 조석에 의해 흐르는 해수의 이동으로, 방향은 하루에 4번 바뀐다.
- 조류의 속력은 좁은 해협, 섬과 섬 사이, 만의 입구 등에서 빠르다.
■ 조경 수역
구분 수온 이동 방향 영향
① 조차는 a-c 이다.
고온
저위도→고위도
주변 바다보다 수온이 높다.
난류
② A와 C는 만조, B와 D는 간조이다.
③ 관측 기간은 약 하루이다.
④ 관측 기간 동안 조류의 방향은 4번 바뀌었다.
한류
저온
고위도→저위도
주변 바다보다 수온이 낮다.
⑤ A~B 사이에는 썰물, B~C 사이에는 밀물이 흘렀다.
① A는 쿠로시오 해류이다.
- 조류에 따라 변하는 해수면의 높이를 조위,
조위의 차이를 조차라고 한다.
- 우리나라 주변 바다에서 조차는 황해에서
가장 크고 동해에서 가장 작다.
① 남적도 해류와 북적도 해류는 무역풍에 의해 형성된다.
② B와 C는 난류이고, D는 한류이다.
② 북태평양 해류와 남극 순환류는 편서풍에 의해 형성된다.
③ C는 D보다 수온과 염분이 높다.
조차가 가장 크게 나타남
사리
그믐, 또는 보름
③ 북반구 중위도에서 표층 해류는 시계 방향으로 순환한다.
조금
상현, 또는 하현
조차가 가장 작게 나타남
④ 쿠로시오 해류는 캘리포니아 해류보다 수온과 염분이 높다.
④ D는 리만 해류에서 갈라져 나온 해류이다.
⑤ 해류의 순환 방향은 남반구와 북반구가 적도를 경계로 대칭이다.
⑤ C와 D가 만나는 곳에서는 좋은 어장이 형성된다.
물의 분포 해수 97.2 %, 육지의 물 2.8 %로 구성
- 육지의 물 대부분은 극지방이나 고산 지대에 눈과 얼음, 또는 지하수의 형태로 존재
- 육지의 물 중 인간이 손쉽게 이용할 수 있는 강이나 호수의 물은 0.03 %
동해
남해
황해
대부분 대륙붕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대한해협에서 남서에서 북동 방향으로 수심이 깊어진다.
전체가 대륙붕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중국 쪽보다 우리나라 쪽에서 해저면의 경사가 급하다.
대륙붕, 대륙 사면, 대륙대, 심해 평원이 있으며, 대륙붕은 동해안을 따라 좁게 분포한다.
붉은색으로 표시된 부분은 해수면 윗부분이다.
울릉도와 독동서
②
계절에 따른 강수량 변화가 심하다.
어업
해구
(증발량 – 강수량)분포와 유사하다.
위도에 따른
휴양
③
우리나라는 전 국토의 70 %가 산지로 되어 있어 물 공급이 안정적이 아니다.
대륙사면
연평균 강수량은 많지만 인구 밀도가 높아 1인당 강수량은 적고, 생활 수준 향상 등으로 물 사용량 증가
평정 해산
물 기근 국가
3
(1,000 m‹ 미만)
만성적인 물 부족을 경험
물 부족 국가
경제 발전, 국민 복지, 보건이 저해
3
(1,700 m‹ 미만)
주기적인 물 압박을 경험
물 풍요 국가
3
(1,700 m‹ 이상)
지역적 또는 특수한 물 문제만을 경험
수송
생명유지활동
①
연평균 강수량으로 봤을 때 우리나라는 현재 물 부족이 심각한 정도는 아니다.
심해 평원
④
우리나라는 인구 밀도가 높아 1인당 수자원량이 적다.
공업 제품의 생산
-
해령
⑤
1인당 연간 재생 가능 수자원량으로 봤을 때 우리나라는 현재 물 부족 국가로 분류할 수 있다.
농작물 재배
해산
대륙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