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ading…
Transcript

01. 해수의 성분

1. 지구상의 물

2. 해수의 온도

3. 해수의 염분

VII. 해수의 성분과 운동

배운내용 이해하기

1. 저위도에서 고위도로 갈수록 표층 해수의 온도가 낮아지는 까닭은 무엇인가?

태양 고도가 낮아져 단위 면적당 도달하는 태양 복사 에너지의 양이 줄어든다.

2. 수온 약층에서 해수의 연직 운동이 일어나기 어려운 까닭은 무엇인가?

큰 차가운 해수가 아래쪽에 있고, 밀도가 작은 따뜻한 해수가 위쪽에 있으므로 연직 운동이 일어나지 않는다.

  • 염류

■ 염분

해수에 녹아 있는 여러 가지 물질

- 해수를 증발시키면 염류가 흰색의 앙금으로 남는다.

- 짠맛을 내는 염화 나트륨이 가장 많이 포함되어 있으며,

그 밖에 염화 마그네슘, 황산 칼슘, 황산 칼륨 등이 있다.

  • 이 바닷물의 염분은 35‰이다.

배운내용 이해하기

  • 염화 나트륨이 가장 많고 염화 마그네슘이 다음으로 많다.
  • 염분
  • 바닷물 속의 염류가 차지하는 비율은 어느 바다에서나 거의 일정하다.

→ 염분비 일정 법칙

1. 염분이 35‰인 해수 1000g에 들어 있는 전체 염류의 양은 몇 g인가?

35g

해수 1000 g에 들어 있는 전체 염류의 양을 g 수로

나타낸 것

- 염분이 35‰인 해수 1000 g에는

물이 965 g, 염류가 35 g 들어있다

• 태양 복사 에너지에 의해 가열되고, 바람에 의해 혼합됨.

• 깊이에 따른 수온 변화가 거의 없음.

• 바람이 강할수록 두꺼움.

→ 바람이 강할게 부는 겨울철에 두껍게 발달.

→ 적도에서는 매우 얇고 중위도에서는 두꺼우며,

고위도에서는 거의 존재하지 않음

■ 수온의 연직 분포

2. 염분이 35‰인 해수에 들어 있는 염화 나트륨의 구성비는 몇%인가?

  • 혼합층 아래쪽으로 수심이 깊어짐에 따라 수온이 급격하게 낮아짐.
  • 따뜻한 해수가 위, 차가운 해수가 아래에 있으므로 대류현상이 일어나기 어려움.
  • 혼합층과 심해층 사이의 물질과 에너지의 교환을 차단하는 역할을 한다.

혼합층

  • 수온 약층 아래에 있으며, 태양 복사 에너지가 도달하지 못해 수온이 매우 낮음.
  • 연중 수온의 변화가 거의 없음.

→ 혼합층의 온도가 낮은 겨울일수록 혼합층과 심해층의

온도차이가 적다.

  • 위도에 따른 수온 변화도 거의 없음.
  • 심해층의 두께는 고위도>저위도>중위도 순이다.

배운 내용 이해하기

수온약층

77.7%

심해층

학습목표

염분의 분포

  • 파란선은 고위도 초록선은 중위도 붉은선은 저위도이다.

1. 육지에 있는 물은 대부분 어떤 형태로 존재하는가?

  • 바람은 저위도보다 중위도에서 강하게 불어 혼합층이 두껍다.
  • 수온 약층은 표층 해수의 온도가 높은 저위도에서 뚜렷하게 나타난다.

빙하

  • 심해층은 해수면에 비하여 위도에 따른 수온 변화가 거의 없다.

● 지구 상에서의 물의 분포와 중요성을 설명할 수 있다.

● 우리나라 수자원의 수요와 공급원을 설명할 수 있다.

2. 우리나라에서 강수량이 가장 많은 계절은 언제인가?

Summer

■ 우리나라 주변 바다의 염분 분포

천문학자 칼 세이건은 보이저 2호가 우주에서 찍은 지구의 사진을 보며‘창백하고 파란 점’이라고 표현하였다.

① 왼쪽은 겨울철, 오른쪽은 여름철이다.

■ 표층 해수의 온도 분포

② 하천의 유입으로 해안에 가까울 수록 염분이 낮아진다.

③ 우리나라는 여름철에 강수가 집중되어 겨울철이 여름철에

비하여 염분이 높다.

④ 황해는 동해보다 하천수의 유입이 많아 염분이 낮다.

  • 염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⑤ 남해는 난류의 영향으로 다른 해역에 비하여 염분이 높다.

[위도에 따른 표층 수온 분포]

증발량과 강수량

■ 전 세계 해양의 염분 분포

  • 우리나라 주변 바다의 표층 수온 분포

물의 중요성

- 증발량, 결빙량이 많을수록 염분이 높다.

[위도에 따라 해수면에 도달하는 태양 복사 에너지의 양 분포]

- 강수량, 해빙량, 하천수의 유입이 많을수록

염분이 낮다.

  • 위도에 따른 수온 분포

생명체를 이루는 기본 물질, 생명체의 생명 활동 유지

-물의 이용

  • 위도별 염분 분포

① 표층 수온은 여름이 겨울보다 높다.

② 2월에 동해는 황해보다 수온이 높다.

① 표층 염분은 증발량이 많을수록 높다.

③ 8월에는 황해가 동해보다 수온이 높다.

: 식수와 음식물 세척, 농작물 재배,

공업 제품 생산, 운송, 어업, 휴양 등

② 표층 염분은 강수량이 적을수록 높다.

④ 동해의 표층 수온은 고위도로 갈수록 낮아진다.

③ 표층 염분이 가장 높은 해역은 중위도

(20˚~30˚)이다.

⑤ 등온선은 먼 바다에서 대체로 위도와 나란한 경향

을 보인다.

④ 적도 부근 해역은 강수량이 증발량보다

많다.

- 물 사용량 증가 원인

⑤ 위도 30° 부근 해역은 증발량이 강수량

보다 많다.

: 인구 증가, 활발한 산업 활동,

생활 수준 향상

■ 우리나라 수자원의 특징

- 물 부족 문제

[전 세계 해양의 표층 수온 분포(8월)]

등온선은 대체로 위도와 나란하지만,

해양의 주변부에서는 해류와 수륙 분포 등의 영향으로 위도와 나란하지 않다.

  • 위도에 따른 수온 분포

학습목표

: 물의 오염, 기후 변화, 사막화 등에 의해 점차 심각해지고 있다.

- 연평균 강수량과 계절에 따른 강수량 변화가 심하다.

- 산지가 많아 하천이 짧고 경사가 급하여 여름에 내린 비가 대부분 바다로 흘러간다.

- 가을에서 봄 사이에 가뭄 피해가 나타나기도 한다.

  • 해수의 온도에 영향을 주는 요인을 설명할 수 있다.

  • 수온의 위도별 분포와 연직 분포를 설명할 수 있다.

우리나라 수자원의 이용

하천

우리나라는 물 부족국가

■ 해저지형

■ 해륙 주변부

대륙붕, 대륙 사면,대륙대로 이루어져 있다.

경사가 급한 지역으로 수심 2,000∼3,000m 사이에 위치한다.

경사가 완만한 육지의 연장부로 수산 자원,

석유나 천연가스와

같은 지하자원이 많이 매장되어 있다.

파도에 의해 침식된 후

침강하여 정상부가

평평한 해산

01. 해저 지형

심해저에 높이 솟아 있는 해저 지형으로, 화산에 의해 생성됨

■ 심해저 심해 평원, 해령, 해산 등으로 이루어져 있다.

화산 활동에 의해 새로운 해양 지각이 생성된다

수심이 3~6km인 넓고 평탄한 해저 지형

폭이 좁고 깊은 골짜기로 해양 지각이 소멸되며, 대륙 사면과

심해저의 경계에 생성된 골짜기

2. 해수의 운동

3. 해양 환경

2. 해수의 운동

■ 우리나라 주변의 해저 지형

  • 황해와 남해는 수심이 얕아 빙하기에는 우리나라, 중국, 일본이 육지로 이어져 있었다.
  • 동해는 수심이 깊고 심해 평원이 있으며, 화산 활동에 의해 형성된 울릉도와 독도가 있다.

Ⅶ -3. 해양 환경

03. 조석

01. 표층 해류

02. 우리나라 주변의 해류

■ 조석과 조류

Ⅶ -2. 해수의 운동

■ 밀물과 썰물

Ⅶ -2. 해수의 운동

수온과 염분이 높다.

■ 난류

  • 조석

■ 해류

  • 밀물 바닷물이 육지 쪽으로 밀려오는 것
  • 썰물 바닷물이 바다 쪽으로 빠져나가는 것
  • 만조 밀물에 의해 해수면의 높이가 가장 높아진 때
  • 간조 썰물에 의해 해수면의 높이가 가장 낮아진 때
  • 쿠로시오 해류의 영향을 가장 크게 받는다.
  • 쿠로시오 해류는 황해 난류와 쓰시마 난류로 갈라지며, 쓰시마 난류는 동해 남부에서 갈라져 동한 난류를 형성한다.

일정한 방향으로 지속적으로 흐르는 해수의 흐름

■ 해류 의 표층 순환

- 밀물과 썰물에 의해 해수면이 높아졌다가 낮아지는 현상

- 우리나라 해안에서는 만조와 간조가 하루에 각각 두 번씩 일어난다.

  • 표층 해류 바람에 의해 해수의 표층을 따라 흐르는 해류

■ 한류

수온과 염분이 낮다.

  • 조류
  • 해류의 발생 원인 한 방향으로 지속적으로 부는 바람과 해수면 사이의 마찰
  • 해류의 종류와 영향 해류는 수온에 따라 난류와 한류로 구분한다.

대기 대순환의 영향으로 동서 방향으로 흐르다가 대륙에 가로막힌 곳에서 남북 방향으로 흐른다.

  • 리만 해류의 영향을 가장 크게 받으며, 일부가 갈라져 북한 한류를 형성한다.

- 조석에 의해 흐르는 해수의 이동으로, 방향은 하루에 4번 바뀐다.

- 조류의 속력은 좁은 해협, 섬과 섬 사이, 만의 입구 등에서 빠르다.

■ 조경 수역

구분 수온 이동 방향 영향

① 조차는 a-c 이다.

고온

저위도→고위도

주변 바다보다 수온이 높다.

난류

② A와 C는 만조, B와 D는 간조이다.

  • 북한 한류와 동한 난류가 동해의 원산만 근처에서 만나 형성된다.
  • 해수의 연직 운동이 활발하여 영양 염류와 플랑크톤이 풍부하다.
  • 한류성 어종과 난류성 어종이 모두 풍부하여 좋은 어장을 이룬다.
  • 여름에는 동한 난류의 세력이 더 강하여 북상하고, 겨울에는 북한 한류의 세력이 더 강하여 남하한다.

③ 관측 기간은 약 하루이다.

[만조]

[간조]

④ 관측 기간 동안 조류의 방향은 4번 바뀌었다.

한류

저온

고위도→저위도

주변 바다보다 수온이 낮다.

⑤ A~B 사이에는 썰물, B~C 사이에는 밀물이 흘렀다.

Ⅶ -2. 해수의 운동

■ 사리와 조금

  • 조차

① A는 쿠로시오 해류이다.

- 조류에 따라 변하는 해수면의 높이를 조위,

조위의 차이를 조차라고 한다.

- 우리나라 주변 바다에서 조차는 황해에서

가장 크고 동해에서 가장 작다.

① 남적도 해류와 북적도 해류는 무역풍에 의해 형성된다.

② B와 C는 난류이고, D는 한류이다.

  • 사리와 조금

② 북태평양 해류와 남극 순환류는 편서풍에 의해 형성된다.

③ C는 D보다 수온과 염분이 높다.

조차가 가장 크게 나타남

사리

그믐, 또는 보름

③ 북반구 중위도에서 표층 해류는 시계 방향으로 순환한다.

조금

상현, 또는 하현

조차가 가장 작게 나타남

④ 쿠로시오 해류는 캘리포니아 해류보다 수온과 염분이 높다.

④ D는 리만 해류에서 갈라져 나온 해류이다.

⑤ 해류의 순환 방향은 남반구와 북반구가 적도를 경계로 대칭이다.

⑤ C와 D가 만나는 곳에서는 좋은 어장이 형성된다.

물의 분포 해수 97.2 %, 육지의 물 2.8 %로 구성

- 육지의 물 대부분은 극지방이나 고산 지대에 눈과 얼음, 또는 지하수의 형태로 존재

- 육지의 물 중 인간이 손쉽게 이용할 수 있는 강이나 호수의 물은 0.03 %

3

m

3

m

3

■ 우리나라의 수자원 이용

우리나라 연간 총수자원 1,240억 가운데 42 %에

해당하는 517억 는 증발산을 통해서 하늘로 올라가고

나머지 58 %인 723억 는 하천으로 흘러간다.

하천으로 흘러가는 58 % 중에서 다시 약 31 %인

386억 는 우리가 이용하지 못하고 바다로 흘러가

버리고 나머지 27 %인 337억 를 이용한다. 우리가

이용하는 27 % 중 10 %인 123억 는 하천으로부터 이용하고 14 %인 177억 는 댐을 통해 이용하며,

나머지 3 %인 37억 는 지하수를 통해 이용

한다.

m

3

m

3

m

3

m

3

m

[조석 자료]

동해

남해

황해

대부분 대륙붕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대한해협에서 남서에서 북동 방향으로 수심이 깊어진다.

전체가 대륙붕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중국 쪽보다 우리나라 쪽에서 해저면의 경사가 급하다.

대륙붕, 대륙 사면, 대륙대, 심해 평원이 있으며, 대륙붕은 동해안을 따라 좁게 분포한다.

동해의 해저 지형(3D 영상도)

붉은색으로 표시된 부분은 해수면 윗부분이다.

울릉도와 독동서

계절에 따른 강수량 변화가 심하다.

어업

해구

(증발량 – 강수량)분포와 유사하다.

위도에 따른

휴양

적도에서 고위도로

갈수록 태양의 고도가 낮아짐

우리나라는 전 국토의 70 %가 산지로 되어 있어 물 공급이 안정적이 아니다.

대륙사면

물의 분포

적도 지방에서 고위도 지방으로 갈수록 표층

수온이 낮아진다.

연평균 강수량은 많지만 인구 밀도가 높아 1인당 강수량은 적고, 생활 수준 향상 등으로 물 사용량 증가

평정 해산

  • 고체 상태로 존재한다.
  • 극지방이나 고산 지대에 분포한다.
  • 지구 온난화의 영향으로 그 양이 점점 줄고 있다.

<1인당 연간 재생 가능 수자원량>

물 기근 국가

3

(1,000 m‹ 미만)

만성적인 물 부족을 경험

물 부족 국가

경제 발전, 국민 복지, 보건이 저해

3

(1,700 m‹ 미만)

주기적인 물 압박을 경험

물 풍요 국가

3

(1,700 m‹ 이상)

지역적 또는 특수한 물 문제만을 경험

[조금]

[사리]

수송

생명유지활동

구분 조차 달의 위상

연평균 강수량으로 봤을 때 우리나라는 현재 물 부족이 심각한 정도는 아니다.

심해 평원

물의 중요성

지하수

→ 단위 면적당

도달하는 태양 복사 에너지의 양이 적어짐

우리나라는 인구 밀도가 높아 1인당 수자원량이 적다.

공업 제품의 생산

-

  • 이 바닷물 속에는 염화 이온(Cl )이 가장 풍부하다.

해령

1인당 연간 재생 가능 수자원량으로 봤을 때 우리나라는 현재 물 부족 국가로 분류할 수 있다.

농작물 재배

해산

대륙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