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ading…
Transcript

나의 롤모델

1203

김경보

롤모델 소개

Introduction

이름 : 알프레드 아들러

국적 : 오스트리아

출생-사망 : 1870.2.7 ~

1937.5.28

활동분야 : 정신의학

주요저서 : 개인심리학의 이론과 실제(1924)

요약

Summary

오스트리아의 정신의학자

‘개인심리학’ 수립

인간의 행동과 발달을 결정하는 것

2. 이를 보상 또는 극복하려는 권력에의 의지

즉 열등감에 대한 보상욕구라고 생각하였다.

1. 열등감·무력감

부연 설명

권력에의 의지?

종속이나 협동을 물리치고 남을 지배하는 권력을 지향하면서 스스로 강대해지려는 강렬한 의지를 말한다.

일생

Life

1870년-오스트리아 빈 출생

유년기-헝가리계 유대인인 아들러는 폐렴에 걸려 죽을 고비를 넘겼고 동생 또한 병으로 죽자 의사가 되기로 결심하였다.

의대진학-빈 대학에서 의학을 공부한 후 1895년 의사가 되었다.

1902년-오스트리아 빈에서 지그문트 프로이트가 주최하는 정신분석학회 '수요모임'에 초대되어 프로이트, 융 등과 함께 활동하였다.

롤모델 선정 이유

Reason

1. 차별화

Differentiation

알프레드 아들러가 살던 그 시대 당시에는

지그문트 프로이트의 '원인론'이 대중들에게 보편화되어져 있는 상태였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이에 대립되는 자신만의 '목적론'을 창시한 것이 독보적이었으며 자신만의 길을 걸어나가는 모습이 존경스러웠고 훌륭했다.

원인론과

목적론의 이해

부가 설명

2. 열등감

Two-sided

우리는 '열등감'이라고 하면 부정적으로 생각하며 이겨낼 수 없는 힘든 존재라고 본다.

하지만 아들러 심리학에서는 열등감이 심한 사람은 오히려 항상 남보다 잘되고 앞서려고 한다고 한다. 그래서 오히려 이를 부정적으로 보지 않고 이겨낼 수 있다는 점에서 색달랐다.

ex) 나폴레옹, 등소평(키가 작았음.)

3. 인간관계 개선

Courage

아들러 심리학에서는 과거를 따지기 전 용기를 주는 것을 강조하며 인간관계 개선을 중시한다.

이러한 점에서 다른 심리학과는 달리 개인과 개인이 사는 주변 사회를 중요시한 점이 흥미로웠다.

아들러 심리학은 왜 용기를 강조하나?

C

사람이 어지럽고 헛소리가 들리고 다 죽어갈 지경인데, 젖을 몇 살까지 먹고, 부모는 언제 이혼했나 등을 물으면 더 미칠 지경이 된다.

그래서 자기를 북돋아주며 스스로에게 용기를 부여하는 일은 상당히 일리 있다.

아들러 심리학에서는 왜 인간관계를 중시하는가?

C

아들러는 '공동생활', '노동', '사랑' 세 가지를 중시하는데 항상 일하고 사랑하고 남과 잘 어울려야 병에 걸리지 않는다고 본다.

개인 심리학

Detail

생활 양식

Life style

아들러는 출생 순위와 성격 형성의 관계에 주목해 열등감을 연구하게 되었다.

생활양식이란 삶을 영위하는 근거가 되는 기본적 전제와 가정의 의미로 받아들였으며, 열등감과 보상이 생활양식의 근본을 결정한다고 정의했다.

C

생활 양식의 분류

■ 지배형

부모가 지배하고, 통제하는 독재형으로 부모가 막무가내로 자녀를 통제할 때 자녀의 생활양식은 지배형으로 변함.

■ 기생형

부모가 자녀를 지나치게 과잉 보호할 때 나타나는 태도로 의존성의 특성을 지님.

■ 회피형

부모가 수시로 자녀의 기를 꺾어버리는 행동을 하며, 이는 매사에 소극적이며 부정적인 태도를 갖게 함.

■ 사회적 유용형

긍정적 태도를 지닌 성숙한 사람으로 높은 사회적 관심과 활동성을 지니며, 다른 사람과의 협업을 통해 인생의 과제를 완수하기 위해 노력함.

열등감

Inferiority

■ 기관열등감

부모에게서 물려받은 신체에 대한 열등감으로 외모, 건강, 실체적 불완전 등이 있음.

■ 과잉보호

과잉보호로 자란 아이들은 자존감이 낮아 어려운 고비를 만나면 스스로 해결할 능력이 부족하다고 믿어 열등감에 빠지게 됨.

■ 양육태만

부모가 자녀에게 최소한의 사랑과 관심을 주지 않아 아이는 자신을 불필요한 존재로 여겨, 열등감을 극복하기보다는 문제를 회피하려 함.

목적론

Teleology

인간의 행동은 과거 경험이 아닌 미래에 대한 기대에 의해 결정된다.

과거의 트라우마로 인해 현재의 사회적, 인간적 관계가 영향을 받는다는 프로이트와 달리 트라우마의 여부와 상관없이 '사회에 어울리기 싫은 내면의 목적이 과거의 트라우마를 들춰 내는 것'이다.

기타

Etc.

관련 책 소개

본받을 점

아들러에 의하면 열등감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더 높은 목표를

향해 노력하는 것이라고 하였으며 모든 사람들에게 더 발전하

려는 노력을 하게 만드는 추진력이 된다고 한다. 그래서 열등감

이 우월감을 향해 나아가게 하는 촉진제로써의 역할로 생각했

다는 점에서 그의 생각과 가치관을 본받아야 한다고 생각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