강좌의 성격
철학으로의 초대
철학이 영화를 활용하는 방식
1. 강좌 안내
- 한 영화 --> 여러 철학 주제
- 영화에 녹아 있는 여러 철학적 메시지를 뽑아 보여주기
- 한 철학 주제 <-- 한 영화
- 한 철학 주제에 맞는 영화 한 편을 골라 집중 활용하기
- 한 철학 주제 <-- 여러 영화
- 한 철학적 주제를 여러 영화를 동원해 설명하기
영화와 철학의 상부상조
철학
- 영화에서 일어나는 구체적 사건들을 가장 보편적, 근본적 관점에서 바라보게 함
- 특수한 사건 배후의 보편성, 불변성에 주목
- 영화의 풍부한 텍스트 가운데 한 관점만 부각, 왜곡할 위험 존재
철학 <-- 영화 --> 일상적 삶
(보편&추상) (허구:선별/과장된 구체) (특수&구체)
철학은 뭘 하는 것?
무기물의 운동: 작용-반작용
단세포 생물의 운동: 자극---반응
동물의 운동: 자극--지각--행위
답 없는 답 찾기
인간의 운동: 자극-지각-생각-행위
생각에 대한 생각
지각과 행위 사이에
사유의 머뭇거림이 있고,
머뭇거릴 수 있는 만큼 우리는 자유롭다.
결국 원점으로 돌아오는 물러남
답없는 답을
찾는 가운데
자유로워지는 것
한 발 물러나 더 큰 시야에서 보는 것
- 한 발 물러나 보고 있는 자신도 다시 또 한 발 물러나 봐야하고, 그렇게 보는 자신도 또 다시 한 발 물러나 봐야 한다.
- 이 끝없는 후퇴의 끝은 원점
- 더 큰 시야도 결국 세계 속의 한 관점이라는 점에서 원점
- 그러나 그 원점은 나선형의 상승을 이루는 원점
철학이란?
철학
- 삶의 의미를 설명하기 위해 그럴듯한 가설을 세우고자 하는 시도
- attempt to construct a viable hypothesis to explain the meaning of life
삶이 의미 있음을? 의미 없음을?
철학자
- 존재의 신비에 해답을 찾고자 하는 사람
- trying to find a solution to the mysteries of existence
나는 어떻게 여기에 있으며, 왜 여기에 있는가?
우리 시대에 철학의 의미는?
1:01:14
<삶의 의미>라는 제목의 영화
삶의 의미를 물으면서 철학이 빠질 순 없다.
영화 중반부에 철학 이야기가 나옴
"철학은 삶의 의미를 설명하기 위해 그럴듯한 가설을 세우고자 하는 시도"
"존재의 신비를 해결하고자 하는 사람 = 철학자"
철학수업 듣기 = 던전에 들어와 철학 메뉴 시키기
- 철학에 대한 무지
- 철학적 논의의 공허함, 동상이몽, 빗나가는 의미, 중구난방
- 정답 있는 답 찾기
- 수적 공간: 수학
- 물리적 공간: 자연과학
- 현실 공간: ?
- 정답 없는 답 찾기
- 정답 없는 답도 있음을 깨닫기
- 정답 있는 답과 정답 없는 답을 구분하기
- 정답 있는 답을 정답 없는 답 속에 수용하고 활용하는 현명함 갖기
- 맹목적 신념과 절망적 회의 사이, 중용의 길 유지하기
철학의 방법
<베를린 천사의 시>
<Wings of Desire>
00:00-, 08:40-
머리 굵은 아이로 돌아가는 것
철학에서 하는 질문들이 잘 나온 영화
이 영화가 말하는 것.
어릴 때 했던 그 질문들을 다 큰 우리는 하지 않을까?
철학의 질문
- 가장 기본적인 질문
- 나, 시공간, 마음, 진리, 자유, 선..."이란 무엇인가?"
- 무엇을 위해?
- 삶의 의미, 존재의 신비를 밝히기 위해
- 어떤 방식으로?
- 내가 속한 이 세계 전체를 일관되게 그려냄으로써
- 무엇을 증거로 삼아서?
- 세계에 대해 우리가 확실히 밝혀낸 것들을 증거 삼아
- 문제는?
- 확실하다고 인정하는 것들이 서로 충돌하고,
그 충돌을 해소할 궁극적 판단 토대가 없다
- 가장 확실한 것은 나의 생생한 경험
- 문제는 이 생생한 경험에 대해 각각의 철학적 가설 모두
- 자기를 지지하도록 유리하게 개념화 가능
천사 다미엘은 인간이 아니라 천사라서 내려다 보는 것으로 충분
그러나 인간은 내려다 보이는 그 세상 속에서 부대끼며 살아가야 한다.
철학의 이론적 논의가 공허해 보이는 이유.
천사 다미엘이 인간이 되고자 하는 욕망을 갖는 것과 반대로, 인간은 때때로 천사의 위치, 즉 제3의 관찰자 위치에 서 보는 것이 필요
전체의 조망 하에서 파악하면 무슨 소용?
- 질서 잡힌 삶에서 위안
- 삶을 무의미하게 하는 위협에서 존재의 의미를 복원
- 무엇보다도(현대에 와서는)
세계를 바라볼 수 있는 다양한 시각을 확보함으로써 자유의 범위 확장
여러 분의 머리 속에 회의로 가득차서 이런 생각이 오히려 자연스럽게 느껴지도록 하는 것이 한 학기 동안 이 수업에서 하고자 하는 것