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resented by Jo Hyun Mok
YangBuk elementary school
▣ 여러 가지 씨를 관찰하기
▣ 씨가 싹 트는 조건
▣ 수천 년 만에 싹 튼 씨
▣ 식물의 한살이 관찰 계획을 세우고 씨 심기
▣ 싹이 터서 자라는 과정
▣ 식물이 자라는 데 필요한 조건
▣ 잎과 줄기의 자람
▣ 꽃과 열매의 자람
▣ 벼의 한살이
▣ 여러 가지 식물의 한살이를 비교
- 옥수수, 비비추, 감나무 등
▣ 유채씨로 바이오디젤
▣ 식물의 한살이 관찰 계획을 세울 수 있다.
▣ 씨 심는 방법을 알고 바르게 심을 수 있다.
(과 64-67p)
준비물 : 씨, 팻말, 꽃삽, 물뿌리개, 한살이 책
▣ 식물을 키우려고 합니다. 무엇이 필요할까요?
▣ 식물을 키우는 방법을 알아봅시다.
무엇을 관찰할까요?
한살이를 관찰할 식물을 선택하기
▣ 성장 기간이 비교적 짧은 한해살이 식물을 안내하고 선택한다.
☞ 줄기의 굵기
☞ 식물의 길이
☞ 잎의 개수
☞ 잎의 넓이
☞ 강낭콩, 봉숭아, 나팔꽃, 토마토, 고추, 벼 등
관찰 계획서
어떻게 관찰할까요?
☞ 관찰자 이름
☞ 식물의 이름
☞ 씨를 심을 곳
☞ 기르는 방법
☞ 관찰 방법
길이 재기
사진 찍기
그림 그리기
☞ 관찰 내용
☞ 흙은 깊이 파서 뒤집어 잡초를 제거하고 돌을 고른 다음, 흙을 일구고 평탄하게 하여 심는다.
☞ 이랑을 만들고 씨 두께의 두세 배 깊이로 씨를 심는다.
☞ 씨를 심은 다음에 물을 뿌리고 팻말을 만들어 꽂는다.
② 화분에 거름 흙을 3/4정도 넣는다.
① 작은 돌이나 망 등으로 물 빠짐 구멍을 막는다.
③ 씨 두께의 두세 배 깊이로 씨를 심고 흙을 덮는다.
④ 충분히 물을 주고 팻말을 꽂거나 이름표를 붙인다.
▣ 순서에 따라 준비물을 이용하여 화분에 각자 선택한 씨를 심어 봅시다.
㉠ 화분에 거름흙을 3/4 정도 넣는다.
㉡ 햇빛이 잘 드는 곳에 화분을 두고 관찰한다.
㉢ 물뿌리개로 물을 충분히 주고 팻말을 꽂는다.
㉣ 씨 두께의 두세 배 깊이로 씨를 심고 흙을 덮는다.
㉤ 물이 적절히 빠지도록 작은 돌이나 망으로 물 빠짐 구멍을 막는다
㉤ → ㉠ → ㉣ → ㉢ → ㉡
② 꽃삽
③ 거름흙
① 씨
⑤ 물뿌리개
④ 탈지면
▣ 씨가 싹 트는 과정에 대하여 말할 수 있다.
(과 68-69p, 실관 36p)
준비물 : 강낭콩씨, 옥수수씨, 유리컵, 탈지면, 물, 돋보기
▣ 식물을 키우려고 합니다. 무엇이 필요할까요?
① 투명한 유리컵에 탈지면을 가득 채운다
② 강낭콩씨와 옥수수씨를 탈지면의 윗부분에 놓은다
③ 탈지면을 충분히 적시고도 남을 정도로 물을 붓는다.
④ 며칠 동안 싹트는 모습을 관찰한다.
본잎
떡잎
줄기
떡잎
떡잎
본잎
어린뿌리
떡잎 사이로 본잎이 자라 나온다
뿌리
뿌리가 나온다
딱딱하다
껍질이 벗겨지면서 떡잎이 두 장 나옴
부푼다
본잎
떡잎싸개
뿌리
딱딱하다
부푼다
떡잎싸개가 나온다
뿌리
뿌리가 나온다
떡잎싸개 사이로 본잎이 자라 나온다
딱딱하다.
→ 부푼다.
→ 뿌리가 나온다.
→ 껍질이 벗겨지면서 두 장의 떡잎 사이로 본잎이 나온다.
→ 부푼다.
→ 뿌리가 나온다.
딱딱하다.
→ 떡잎싸개가 나온다.
→ 떡잎싸개 사이로 본잎이 나온다.
㉠ 씨에서 뿌리가 나온다.
㉡ 씨가 부푼다.
㉢ 두 장의 떡잎 사이로 본잎이 나온다.
㉡ → ㉠ → ㉢
씨가 딱딱하다.
→ 씨가 부푼다.
→ 뿌리가 나온다.
→ ( )
떡잎싸개가 나온다.
→ 떡잎싸개 사이로 본잎이 나온다.
▣ 식물이 자라는데 필요한 조건에 대하여 말할 수 있다.
(과 70-71p, 실관 37p)
▣ 식물이 잘 자라게 하려면 무엇이 필요한지 이야기하여 봅시다.
물, 흙, 공기, 온도 등
물을 적당히 줍니다.
물을 주지 않는다.
물의 양
공기, 온도, 햇빛 등
햇빛 차단장이에 공기가통하게 창을 만든다.
햇빛을 가리지 않는다.
햇빛을 가린다.
햇빛
공기, 물, 온도, 흙(양분) 등
▣ 식물이 잘 자라기 위한 조건에는 적당한 양의 ( )과 충분한 ( ) 등이 있습니다.
햇빛
물
① 물 ② 온도 ③ 바람 ④ 햇빛 ⑤ 화분의 크기
④ 햇빛
▣ 식물이 자라면서 잎, 줄기의 모양과 크기가 변함을 말할 수 있다.
▣ 강낭콩의 잎과 줄기가 자라는 과정을 여러 가지 방법으로 측정하고 기록할 수 있다.
(과 72-73p)
▣ 식물이 자라면서 어떤 점이 달라지는지 이야기하여 봅시다.
☞ 잎의 개수와 크기
☞ 줄기의 굵기와 길이
☞ 줄기의 개수
▣ 식물의 잎과 줄기의 자람을 측정할 수 있는 방법은?
☞ 잎의 개수를 세어 보고 늘어나는 잎의 개수를 기록한다.
☞ 격자 모양을 그려 잎의 자람 관찰한다.
☞ 줄기 길이는 새순이 난 바로 아래까지 줄자로 잰다.
☞ 새로 난 줄기의 개수를 기록한다.
☞ 일정한 간격으로 선을 긋고 줄기의 자람 관찰하기
▣ 식물이 자라는 모양을 관찰하면서 달라지는 것에 대하여 토의해 봅시다.
▣ 식물이 자라면서 무엇이 변하였나요?
☞ 줄기와 잎의 개수가 점점 많아집니다.
☞ 잎이 넓어지고 개수가 많아집니다.
☞ 줄기가 길어지고 개수가 많아집니다.
☞ 줄기의 끝 부분에서 새로운 잎이 생깁니다.
☞ 하나의 잎자루에 세 장의 작은 잎이 있습니다.
☞ 줄기와 잎자루 사이에서 새 줄기가 나옵니다.
▣ 잎과 줄기의 자람은
☞ 잎의 개수를 센다.
☞ 잎의 크기를 잰다.
☞ 줄기의 길이를 잰다.
☞ 줄기의 굵기를 잰다.
등의 방법으로 측정 할 수 있다.
▣ 식물이 자라면서 잎의 개수가 많아지고 줄기가 굵어지며, 줄기의 길이가 길어지는 등의 변화가 생긴다.
① 물 ② 온도 ③ 바람 ④ 햇빛 ⑤ 화분의 크기
④ 햇빛
▣ 식물이 자라면서 잎, 줄기의 모양과 크기가 변함을 말할 수 있다.
▣ 강낭콩의 잎과 줄기가 자라는 과정을 여러 가지 방법으로 측정하고 기록할 수 있다.
(과 74-75p)
▣ 꽃과 열매가 자라면서 달라지는 모습에 대해 이야기하여 봅시다.
☞ 꽃의 모양과 크기
☞ 꽃의 색깔과 개수
☞ 열매의 모양과 크기
☞ 열매의 개수
▣ 식물의 꽃과 열매의 자람을 측정할 수 있는 방법은?
☞ 꽃봉오리의 개수를 세어 날짜별로 기록한다.
☞ 꽃의 크기를 줄자로 잰다.
☞ 열매의 개수와 크기를 측정하고 기록한다.
☞ 열매의 길이(크기)는 줄자로 잰다.
☞ 열매가 시작되는 지점부터 끝까지 잰다.
꽃과 열매가
자라면서 변한
모양 이야기하기
▣ 꽃과 열매가 자라는 모양을 관찰하며 측정 결과에 대하여 토의해 봅시다.
▣ 꽃과 열매가 자라면서 무엇이 변하였나요?
☞ 활짝 피는 꽃이 많아진다.
☞ 꽃봉오리의 개수가 점점 많아지고 꽃이 피기 시작한다.
☞ 꽃이 지면서 꼬투리가 생긴다.
☞ 식물의 자람에 따라 열매의 개수가 많아진다.
☞ 열매(꼬투리)는 시간이 지남에 따라 점점 커진다.
☞ 꽃이 피고 난 뒤에 꽃이 진 자리에 열매(꼬투리)가 열린다
☞ 열매(꼬투리)는 점점 커진다.
▣ 꽃과 열매의 자람은
☞ 꽃과 열매의 개수를 센다.
☞ 꽃의 크기를 살펴본다.
☞ 열매의 크기를 잰다.
☞ 줄기의 굵기를 잰다.
등의 방법으로 측정 할 수 있다.
▣ 식물이 자라면서 꽃과 열매의 개수가 많아지고 꽃은 점점 펴지고 열매는 점점 커지는 등의 변화가 생긴다.
① ② ③ ④
① → ④ → ③ → ②
벼의 한살이
▣ 벼의 한살이를 말할 수 있다.
▣ 내가 기른 식물의 한살이를 정리할 수 있다.
(과 80-81p, 실 38p)
벼의 한살이
벼의 한살이 알아보기
벼의 한살이
싹이 튼다
볍씨
꽃이 핀다
잎과 줄기가 자란다
열매가 자란다
싹이 튼다
잎과 줄기가 자란다
볍씨
꽃이 핀다
열매가 자란다
내가 기른 식물의 한살이
내가 기른
식물의 한살이
식물의 한살이
비교하기
식물의 한살이 비교하기
씨
싹이 튼다.
잎과 줄기가 자란다.
꽃이 핀다.
열매가 자란다.
식물의 한살이 비교하기
떡잎 싸개가 나온다
두 장의 떡잎이 나온다.
씨 → ( ) → 본잎 → ( ) → 열매
꽃
떡잎
강낭콩은 떡잎이 나오고, 옥수수는 떡잎싸개가 나온다. 등
▣ 한해살이 식물의 특징을 말할 수 있다.
▣ 여러해살이 식물의 특징을 말할 수 있다.
▣ 한해살이 식물과 여러해살이 식물의 공통점과 차이점을 말할 수 있다.
식물의 한살이 비교하기
(과 82-85p, 실 39-41p)
식물의 한살이 비교
▣ 여러 가지 식물의 한살이를 비교하여 봅시다.
한해살이 식물의 한살이
▣ 봄에 나서 가을에 열매 맺고 죽는 식물, 이름처럼 한 해만 산다.
한해살이
식물의 한살이
☞ 벼, 강낭콩, 봉숭아, 맨드라미, 나팔꽃, 해바라기, 강아지풀, 코스모스, 채송화, 토끼풀, 오이, 토마토, 호박 등
싹이 튼다
잎과 줄기가 자란다
볍씨
꽃이 핀다
열매가 자란다
여러해살이 식물의 한살이
▣ 식물체의 전부 또는 일부가 2 년 이상 사는 식물
여러해살이
식물의 한살이
☞ 비비추, 민들레, 질경이, 쑥, 엉겅퀴, 할미꽃, 여러가지 나무 등
▣ 씨가 싹 터서 본 잎이 나오고 여러 해 동안 자라 꽃을 피우고 열매를 맺는다.
▣ 봄에 나뭇가지에서 새순이 나오고 여름에 꽃을 피우고 열매를 맺으며 겨울에 나무 상태로 지내는 것을 반복한다.
☞ 땅속 부분이 죽지 않고 살아남아 이듬해 다시 새순이 난다.
☞ 열매에서 익은 씨가 땅에 떨어져 다시 싹 트고 자라 한살이가 반복될 수도 있다.
식물의 한살이
비교하기
식물의 한살이 비교하기
☞ 여러 해 동안 죽지 않고 새순이 자라 꽃을 피우고 열매를 맺는 과정을 반복한다.
☞ 한 해 동안 싹 트고 자라 꽃을 피우고 열매를 맺어 대를 잇고 죽는다.
☞ 씨가 싹 터서 자라 꽃을 피우고 열매를 맺어 대를 잇는다.
식물의 한살이 비교하기
떡잎 싸개가 나온다
두 장의 떡잎이 나온다.
강낭콩
봉숭아
옥수수
꽃이 핀다
씨 → 싹이 튼다. → 잎과 줄기가 자란다. → ( ) → 열매가 자란다. → 열매(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