마. 대표작곡가는 바흐, 헨델, 베토벤이다
라. 소네트 시를 음악으로 옮긴 형식의 작품이다.
악곡 소개
곡의 구성
비발디의 <사계>는 <작품번호 8 - 화성과 창의에의 시도>라는 바이올린 협주곡집에 들어있는 12개의 협주곡 중 1번부터 4번까지의 4곡을 말함.
- 비발디가 작곡을 할 때 '봄의 인상을 어떻게 그려야겠다.'하는 식으로 쓴 것은 아님
협주곡이라는 장르는 보통 3악장으로 이루어져 있다.
비발디의 ‘사계’의 경우 봄, 여름, 가을, 겨울 각 3악장씩 총 12악장이 됨
르네상스 시대에 이탈리아에서는 소네트라는 시가 유행하고 있었다. ‘사계 합주 협주곡’은
봄, 여름, 가을, 겨울을 읊은 소네트를 충실하게 음악으로 묘사한 곡이다. 음악으로 자연을
묘사한 최초의 곡으로 알려져 있다.
봄(1,2,3악장)
여름(1,2,3악장)
겨울(1,2,3악장)
가을(1,2,3악장)
형성평가
2.
비발디 작곡 "사계"의 작품에 대한 설명으로
올바른것은?
http://blog.naver.com/misschoco/10098636102
네이버 블로그 이지은 사계 관련 광고 박카스 소나타
http://blog.naver.com/misschoco/10110585723
어떤 특징들이 있는가요?
형성평가
짧은 음표들이 많이 사용된다.
음표들이 반복적으로 사용된다.
1. 다음중 바크시대의 음악과 거리가 먼것은?
바로크적인 느낌이 느껴집니까?
가. 장조와 단조의 조성이 확립되었다.
나. 다성음악의 절정기였다.
다. 오페라가 탄생하였다.
라. 오라토리오, 칸타타 등 종교음악이 탄생하였다.
형성평가
1.픽토그램에 대한 설명으로 바르지 못한 것은?
세 작곡가의 음악을 조금씩 들어보며
바로크 시대의 음악적 특징을 찾아 이야기나누어 봅시다
바흐 브란덴부르크협주곡
헨델 수상음악
바로크시대 음악의 특징
헨델 메시아 할렐루야
비발디 '사계' 중 여름3악장
가. 장조와 단조의 조성이 확립되었다.
나. 다성음악의 절정기였다.
다. 오페라가 탄생하였다.
라. 오라토리오, 칸타타 등 종교음악이 탄생하였다.
마. 피아노(피아노포르테)가 만들어졌다.
학습목표
절대 음악
(제목이 없는 음악)
1. 바로크시대 음악의 특징과 작곡가에
대하여 소개할 수 있다.
2. 비발디 합주 협주곡 ‘사계’에 대해
설명할 수 있다.
3. 표제음악과 절대음악에 대하여
설명 할 수 있다
4. 사계 음악을 듣고 느낌을 표현 할 수 있다.
음악 이외의 다른 예술과 직접 관계를 갖지 않고 순수한 음의 예술성을 추구하는 음악.
NO
베토벤 교향곡 제5번 운명? C단조
Pictogram Your Life -
The Love Story of Athar and Nadir
* 픽토그램 : 사물, 시설, 행위, 개념 등을 쉽게 알아볼 수 있도록
상징적인 그림으로 나타낸 일종의 그림 문자
* 픽토그램의 특징
① 쉽고 빠르게 정보를 전달함.
② 단순하고 의미가 명료함.
③ 세계 어디서나 공통으로 사용할 수 있음.
http://modangs.tistory.com/871 픽토그램 사이트 모음
3단원: 음악감상의 세계 (바로크음악)
(제목이 있는 음악)
표제 음악
서양음악사 연대표 (교과서 P.74~75)
바로크의 뜻!
1. 고대(Antiquity) : 선사시대 ~ 200년
2. 중세(Middle Ages) : 200년 ~ 1450년
3. 르네상스(Renaissance) : 1450년 ~ 1600년
4. 바로크(Baroque) : 1600년 ~1750년
5. 고전[Classic) : 1750년~1810년
6. 낭만(Romantic) : 1810년~ 1900년
7. 20세기(Twentieth Century) : 1900년 ~
일그러진 진주!!!
고전미, 형식미, 균형미를 좋아했던
사람들이 다채로운 장식이 가미된 예술을 비꼬는듯한 표현으로 바로크라는 이름이 붙였으며 17세기 르네상스 이후 유럽에서 유행한 예술 양식이다.
http://blog.daum.net/giftjoa/166
어떤 뜻을 나타내거나 어떤 사물을 묘사하기 위해 지어진 것으로, 곡의 내용을 암시하는 표제가 붙은 음악.
19세기에 낭만파 음악가인 베를리오즈 등에 의해서 발달했다.
(작곡가 소개)
비발디 (1678 ~ 1741, 이탈리아)
바로크시대의 대표 음악가
카톨릭 성당의 사제 였으며 바이올린 연주자, 작곡가로 활동하였고, 많은 협주곡과 오페라를 남겼다. 특히 바이올린 협주곡의 기초를 마련하는 등 기악곡의 발전에 많은 공을 세웠다.
바흐 (음악의 아버지)
(1685 ~ 1750, 독일)
헨델 (음악의 어머니)
(1685 ~ 1759, 독일→영국)
비발디(바이올리니스트 겸 작곡가)
(1678 ~ 1741, 이탈리아)
협주곡이란?
독주 악기와 관현악 합주에 의한 악곡.
형식: 합주협주곡
독주 악기와 관현악단은 서로 교대·경쟁·반복하는 식으로 연관을 맺는다. 독주자 그룹이 관현악단에 대비되는 17세기와 18세기초의 합주협주곡에서 비롯되었다. 아르칸젤로 코렐리와 게오르크 프리드리히 헨델이 많은 작품을 남겼으며 요한 제바스티안 바흐는 유명한 〈브란덴부르크 협주곡〉에서 독주 악기들을 사용했다.
독주 악기군을 오케스트라 전체와 대립하여 연주하는 형식
이 곡의 독주악기군은
독주 바이올린과 2대의 바이올린이다.
1. 픽토그램에 대해 설명 할 수 있다.
2. 픽토그램으로 비발디 사계 중 봄을 표현
할 수 있다.
3. 자신의 픽토그램을 소개할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