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ading…
Transcript

5. 혼합물의 밀도

II-3. 밀도

(1) 혼합물의 밀도는 성분 물질의 혼합 비율에

따라 달라진다.

물에 소금을 녹일수록 소금물의 밀도가 점점 커진다.

4. 뜨고 가라앉는 현상

철로 만든 배는 내부에 빈 공간이 많아 물보다 밀도가 작으므로 물 위에 뜬다.

고무보트 속에는 공기가 들어 있어 물보다 밀도가 작으므로 물 위에 뜬다.

(3) 밀도 차를 이용하는 예

애드벌룬에 헬륨을 채우면 밀도가 공기보다 작아서

하늘로 뜬다.

잠수부의 허리띠에는 납덩어리가 붙어 있어 잠수부의 밀도를 크게 하므로 물속에

가라앉는다.

3. 밀도

1. 금속의 밀도

(3) 여러 가지 물질의 밀도

①물을 눈금 실린더에 넣는다.

②눈의 높이가 액체의 평평한 부분과 수평이 되게 하여 눈금을 읽는다.

2. 질량과 부피

4. 뜨고 가라앉는 현상

1. 금속의 밀도

물질의 질량과 부피를 측정하고 단위 부피당 질량을 비교해 보자.

(1) 밀도가 작은 물질은

밀도가 큰 물질의

( ).

③금속을 가는 실에 매달아 물에 완전히 잠기게 넣은 후

눈금을 읽는다.

물질이 차지하는 공간의 크기

장소에 따라 변하지 않는 물질의 고유한 양

위로 뜬다

g, kg 등 mL, L, cm3 등

①윗접시 저울을 수평한 곳에 놓고, 영점 조절 나사를 돌려 저울의 수평을 맞춘다.

윗접시 저울 등 눈금 실린더 등

(2) 밀도가 큰 물질은

밀도가 작은 물질의

( ).

아래로 가라앉는다

④과정 ②와 ③의 결과를 이용하여 금속의 부피를 구한다.

3. 밀도

1. 금속의 밀도

밀도

(1) ( ): 어떤 물질의 질량을 부피로 나눈 값, 즉 단위 부피당 질량

②금속을 왼쪽 접시에 올려놓는다.

③오른쪽 접시에 분동을 무거운 것부터 올려서 수평을 맞춘다.

(2) 밀도는 물질의 종류에 따라 다르며, 양에 관계없이 일정한 세기 성질이므로 물질을 구별할 수 있는 특성이다.

④저울이 수평이 되면 분동의 질량을 합하여 금속의 질량을 구한다.

Ⅱ-1. 물질의 특성

② 질량이 같아도 부피가 달라

차상엽

나무

식용유

사염화 탄소

플라스틱

글리세린